<div><font size="3"><b>- 교과 성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하는 방법 </b></font></div><div><font size="3"><b>- 과목별 성적 산출 방식 </b>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img src="http://cdn.edujin.co.kr/news/photo/202211/40757_82900_202.jpg" border="0"></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 내신 성적과 학생부 기록이다. 학생부교과전형처럼 내신 성적만 좋다고 합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내신 성적이 좋지 않으면 학종 주요 평가항목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학교생활의 기본인 수업을 소홀히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따라서 학생부에 학교활동이 중위권 이상의 대학에 합격할 만한 수준으로 기록돼 있다 해도 내신이 어느 정도 받쳐주지 않으면 그 대학에 합격하기 어렵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그런데 <u>내신 커트라인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것은 학생부 기재 내용에 담긴 학생의 우수성이 어느 정도 수준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결국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 결과로 받은 성적이라는 것이 정확한 답이다.</u>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이런 답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내신 성적을 올리려고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실제 성적을 올리는 데는 실패했다 하더라도, 선생님과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졌다면 그 노력의 과정이 학생부에 기록될 것이기 때문이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결과적으로 학종과 교과전형은 엄연히 다른 성격의 전형이다. 내신 성적에 대한 평가도 다르게 이루어진다. 교과전형은 내신 성적을 일렬로 세워 성적순으로 합불을 가리지만, 학종에서는 좀 더 세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실제로 대학이 밝힌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을 보면 내신 성적 평가가 단순히 숫자 비교에만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입학사정관이 교과 성적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b>교과 성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하는 방법 </b></font></div><div><font size="3">① <u>전체적인 교과 성적</u>은 어느 정도인가?</font></div><div><font size="3">② 학기별/학년별 성적은 <u>고르게 유지</u>되고 있는가?</font></div><div><font size="3">③ 학기별/학년별 <u>성적은 상승/하락</u>하고 있는가?</font></div><div><font size="3">④ 대학 수학에 필요한 <u>기본 과목(예: 국어, 수학, 영어, 사회/과학 등) 성적</u>은 어느 정도인가?</font></div><div><font size="3">⑤ 그 외 과목 성적은 전반적으로 무난한가?</font></div><div><font size="3">⑥ 유난히 <u>소홀함을 보인 과목</u>은 없는가?</font></div><div><font size="3">⑦ 희망 <u>전공과 관련한 기본 과목</u>은 어느 정도 이수했는가?</font></div><div><font size="3">⑧ 희망 <u>전공과 관련하여 도전적인 과제나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 어떤 노력</u>을 하였는가?</font></div><div><font size="3">⑨ 희망 <u>전공과 관련한 과목과 다른 과목</u>은 어느 정도인가?</font></div><div><font size="3">⑩ 과목별 <u>이수자 수</u>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font></div><div><font size="3">⑪ 과목별 등급 외에 <u>원점수</u>(평균/표준편차 포함)는 적절한가?</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이상의 12가지 평가항목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가장 좋지만, 대부분의 학생은 어딘가에 약점을 갖고 있을 것이다. 특정 과목 성적이 좋지 않다거나 특정 시기에 성적이 뚝 떨어진 경험 같은 것 말이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11가지 항목 모두 긍정 평가를 받는 학생은 극소수이다. 그러니 모든 항목에 다 부합해야 한다는 부담은 갖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이 항목 중 한두 가지라도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면, 가능성을 믿고 내신 성적 외의 평가영역 대비에도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이때 명심해야 할 사실이 있다. 내신 성적을 평가할 때는 <u>지원 전공과 관련한 과목의 성적을 특히 중요하게 본다</u>는 것이다. 지원하는 전공 분야에 흥미가 있다면 수업에 열심히 참여했을 것이고 자연히 내신 성적도 잘 받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그래서 <u>다른 과목에서는 하위권을 맴도는데 화학 과목만큼은 1등을 놓치지 않은 학생이 인서울대 진학에 성공한 전설 같은 실제 사례는 지금도 유효</u>하다. 그만큼 내신 성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 1·2·3'의 저자인 에듀진·나침반36.5 신동우 대표는 <u>"전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어려운 학생이라면 자신의 희망 전공과 밀접한 과목만이라도 1등급을 받을 수 있게 노력해 보자.</u> 학종에서는 절대적인 성적만이 아니라 성적 상승 추이, 거기에 들인 노력을 보고서도 학생의 학업의지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등을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이어 "그러니 희망 진로와 관련한 과목, 또는 <u>희망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좋아하는 과목 성적을 반드시 최상위권으로 올려놓자."</u>고 조언했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노력했는데도 성적이 크게 오르지 않았다고 해도 실망하기는 이르다.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학생부에 선명히 나타나 있다면 0.01등급이 올랐든 오히려 성적이 더 떨어졌든 그 자체로 일정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이 학종이 가진 특성이다.</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b>과목별 성적 산출 방식 </b></font></div><div><font size="3"><u>보통교과는 ‘성취도(A-B-C-D-E)’와 ‘석차등급(1~9등급)’으로 성적을 산출하고, 전문교과는 ‘성취도(A-B-C-D-E)’로 성적을 산출한다.</u>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단, 보통교과 중에서 <u>원점수에 따라 ‘성취도(A-B-C)’로 성적을 산출하는 과목이 있다.</u> 공통과목의 과학탐구 실험, 체육·예술의 일반선택 과목, <u>진로선택 과목</u> 등이 그렇다. </font></div><div><font size="3"><br></font></div><div><font size="3">전문교과 중에서는 진로선택으로 편성된 전문교과 과목, 전문교과Ⅰ 과학계열의 융합과학 탐구·과학과제 연구·물리학 실험·화학 실험·생명과학 실험·지구과학 실험· 전문 교과Ⅰ 국제계열의 사회 탐구 방법·사회과제 연구 등이<u> 원점수에 따라 ‘성취도(A-B-C)’로 성적을 산출</u>한다.</font></div><div><font size="2"><br></font></div><div><font size="2"><br></font></div><div><font size="2"><br></font></div><div><font size="2">[출처 : 박지향 기자]</font></div>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