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전략 칼럼
[2026학년도 수능 D-30] 영역별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
- 등록일 25.10.16 10:00
- 조회수 33,957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 @@입시칼럼 -->
<style type="text/css">
/* column style */
#ipsi-column {word-break:normal; word-wrap:normal; text-align: justify;}
#ipsi-column .tablewrap table {width:100%;}
#ipsi-column .tablewrap table thead th {padding:2rem 0; color:#000; font-size:15px;}
#ipsi-column .tablewrap table th {color:#000; font-size:14px;}
#ipsi-column .tablewrap table tbody th {color:#000; font-size:14px;}
#ipsi-column .tablewrap table td {padding:1rem; line-height:1.6; font-size:14px;}
#ipsi-column .tName {color:#800080;}
#ipsi-column .Green {color:#008000;}
#ipsi-column .yellow2 {color:#bfa100;}
#ipsi-column .orange2 {color:#ff6600; font-size:14px;}
#ipsi-column .purple {color:#800080;}
#ipsi-column .blue2 {color:#0070C0;}
#ipsi-column .blue2 {color:#011299;}
#ipsi-column .rGreen {color:#00803a;}
#ipsi-column .red {color:red;}
#ipsi-column .red2 {color: #FF4241;}
#ipsi-column .top_tit {position:relative; display:flex; align-items:center; font-size:2rem; font-weight:bold; padding:1rem 1rem 1rem 9rem; margin:3rem 0 1.5rem 0; background-color:#eaeaea;}
#ipsi-column .top_tit span {position:absolute; top:0; left:0; display:inline-flex; justify-content:center; align-items:center; height:100%; color:#fff; padding:1rem 3rem; margin-right:1rem; background-color:#011299;}
#ipsi-column .top_tit.type_blue {color:blue; margin:3rem 0 0 0; background-color:transparent;}
#ipsi-column .ta_b {text-align:center; font-size:15px; font-weight:bold;}
#ipsi-column .ta_c {text-align:center; font-size:15px;}
#ipsi-column table th {background-color: #F2F2F2; border: 1px solid #ccc; padding: 1rem 5px; text-align: center; font-weight: 500; vertical-align: middle; font-size: 15px; line-height: 1.4; color: #315F97;}
#ipsi-column table th.ta_l {text-align:left; font-size: 14px;}
#ipsi-column table td {border: 1px solid #ccc; padding: 2rem 0.5rem;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middle; word-break: break-all; line-height: 1.4; font-size:14px;}
#ipsi-column table td.ta_l {text-align:left; font-size: 14px;}
#ipsi-column table td.p20 {padding:2rem;}
#ipsi-column table td.b_red {background-color:rgba(255,0,0,0.2);}
#ipsi-column table td .tablt_dl dt {font-weight:500; padding-bottom:1rem;}
#ipsi-column table td .tablt_dl dd {line-height:1.6;}
#ipsi-column table td .tablt_p dt {font-weight:500; padding-bottom:1rem;}
#ipsi-column table td .tablt_p dd {line-height:1.6;}
#ipsi-column .bg_type01 {background-color:#d8bee4;}
#ipsi-column .bg_type02 {background-color:#cdf2e4;}
#ipsi-column .pt10 {padding-top:1rem;}
#ipsi-column .pt20 {padding-top:2rem;}
#ipsi-column .top_depth {text-decoration:underline; padding-top:2rem;}
#ipsi-column .dep_tit {font-weight:bold; padding-top:2rem;}
#ipsi-column .dep_tit2 {font-weight:bold; padding-top:3rem;}
#ipsi-column .dep_tit.topNO {padding-top:0.5rem;}
#ipsi-column .dep_desc {padding-top:0.5rem; line-height:1.6; word-break:normal; font-size:14px;}
#ipsi-column .dep_desc2 {padding-top:1rem; line-height:1.6; word-break:normal; font-size:14px; text-align: center;}
#ipsi-column .table_tit {font-weight:normal; font-size:14px;}
#ipsi-column a {color:#212121; display:inline;}
#ipsi-column a.f_bold {display:inline; font-weight:bold; color:#ff6600; font-size: 14px;}
#ipsi-column .tit_bg {background-color:#1bc7ee;}
#ipsi-column .tit_bg2 {background-color:#ffe7d8;}
#ipsi-column .img {max-width:70%;}
#ipsi-column .txt_bg1 {background-color:yellow;}
#ipsi-column .txt_bg2 {background-color:#baff1a;}
#ipsi-column .txt_bg3 {background-color:#ffceb0;}
#ipsi-column .list_num_style {list-style:decimal; padding-left:1rem;}
#ipsi-column .list_num_style li {list-style:decimal;}
#ipsi-column .line_box {display:block; margin:1rem 0; padding:1rem 2rem; font-size:16px; text-align:center; color:#000; background:#fff; border:1px solid #ddd;}
#ipsi-column .link_box {margin: 2rem; display: block; border: 1px solid #ccc; padding: 1rem 2rem; background: #fff; color: #000; font-size: 14px;}
#ipsi-column strong {font-weight:bold; font-size:14px;}
#ipsi-column .wrap-tabs .tabss {overflow:hidden; margin-bottom:3rem; background-color:#f8f8f8; border-top:1px solid #afafaf; border-bottom:1px solid #afafaf;}
#ipsi-column .wrap-tabs .tabss li {float:left; height:3.7rem; line-height:3.7rem; margin:0 .5rem;}
#ipsi-column .wrap-tabs .tabss li a.on {padding:.2rem; color:#fff; background-color:#011299;}
#ipsi-column .standby {height:20rem; text-align:center;font-weight:bold; display:flex; justify-content:center; align-items:center;}
#ipsi-column .listOnum {
counter-reset: circle 0;
font-size: 14px;
}
#ipsi-column .listOnum li {
position: relative;
list-style: none;
padding-left:2.4rem;
font-size: 14px;
}
#ipsi-column .listOnum li::before {
position: absolute;
top:1.3rem;
left:0;
transform: translateY(-50%);
counter-increment: circle 1;
content: counter(circle);
font-size: 1.1rem;
display: inline-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border: 1px solid #333;
border-radius:50%;
width:1.4rem;
height:1.4rem;
}
#ipsi-column .listOnum2 li {
position: relative;
list-style: none;
padding-left:2.4rem;
}
#ipsi-column .listOnum2 li::before {
position: absolute;
top:0;
left:0;
}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1):before {content:'가.';}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2):before {content:'나.';}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3):before {content:'다.';}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4):before {content:'라.';}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5):before {content:'마.';}
#ipsi-column .listOnum2 li:nth-child(6):before {content:'바.';}
#ipsi-column .list_col2 li {display:flex; flex-wrap:wrap;}
#ipsi-column .list_col2 span {flex:1 1 auto;}
#ipsi-column .img_size {width:70%;}/* 2024-10-14 수정 */
@media screen and (max-width: 1023px) {
#ipsi-column .listOnum li {padding-left:3.2rem;}
#ipsi-column .listOnum li::before {top:2rem; width:2.2rem; height:2.2rem; font-size:2rem;}
#ipsi-column .listOnum2 li {padding-left:3.4rem;}
#ipsi-column .img_size {width:auto;}/* 2024-10-14 수정 */
}
@media screen and (max-width: 719px) {
#ipsi-column .tablewrap table {width:719px;}
#ipsi-column .top_tit {font-size:2.6rem; line-height:1.3; background-color:transparent;}
}
@media print {
/* 모든 상위/하위 탭 내용 표시 */
.tabcon,
.contents {
display: block !important;
}
/* 배너 고정: 첫 페이지에서 깨지지 않도록 */
.txtC.mgB40 {
display: block !important;
page-break-after: avoid;
break-after: avoid;
}
/* 상위 탭: 두 번째부터 새 페이지 */
.tabcon + .tabcon {
page-break-before: always;
break-before: page;
}
/* 하위 탭: 두 번째부터 새 페이지 */
.sub_panel_wrap .contents + .contents {
page-break-before: always;
break-before: page;
}
/* 인쇄용 wrapper overflow/height 보정 */
.tab-wrap,
.tab-content,
.contents-wrapper,
.ipsiTab-conwrap {
overflow: visible !important;
height: auto !important;
position: static !important;
}
/* 인쇄용 UI 숨기기 */
.tab-buttons,
header,
nav,
footer,
.side-menu,
.ipsiTab,
.tabss {
display: none !important;
}
/* 1 column style */
</style>
<!-- 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4/ -->
<div class="wrap-tabs-01" id="ipsi-column">
<div class="txtC mgB40"><img alt="2025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 src="https://lwdw.ebsi.co.kr/UpDown/upload_files/20250924090948081.png"></div>
<div>
<ul class="ipsiTab"><!-- 기본 6개 셋팅 | list5 -->
<li><a href="#none" class="on" id="tab-1" target="_blank">국어</a></li>
<li><a href="#none" class="" id="tab-2" target="_blank">수학</a></li>
<li><a href="#none" class="" id="tab-3" target="_blank">영어</a></li>
<li><a href="#none" class="" id="tab-4" target="_blank">한국사</a></li>
<li><a href="#none" class="" id="tab-5" target="_blank">사회탐구</a></li>
<li><a href="#none" class="" id="tab-6" target="_blank">과학탐구</a></li>
</ul>
</div>
<div class="ipsiTab-conwrap">
<!-- 국어 -->
<div class="tabcon cont1" id="content-1" style="display:block;">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국어영역 한병훈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국어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평가원 기출의 논리와 구조로 마지막 빈틈 점검</strong></p>
<p class="dep_desc">
지금 시기에는 <b>올해 6월·9월 모의평가 복기</b>가 최우선 과제입니다. 문학(고전시가·고전소설·현대시·현대소설·갈래 복합)과 독서(인문·예술, 사회·문화, 과학·기술) 영역별로 <b>평가원의 독해 요소와 선지 구성 방식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b>이 핵심입니다. “이제 N제·실전 모의고사·고난도 문항·적중 특강에 올인해야 하지 않나?” 하는 불안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공부를 병행하더라도 <b>평가원 기출을 늘 가까이 두고 평가원의 논리 구조에 익숙해지는 것</b>을 절대 놓쳐서는 안 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① 3등급 이하 학생인 경우</strong><br>
최신 5개년 평가원 기출을 아직 분석하지 못한 3등급 이하 학생이라면, <b>남은 기간 기출 분석을 최우선 과제</b>로 두고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단순히 ‘선지의 정오를 지문 근거로만 판단하는 훈련’에 그치지 말고, <b>‘지문 읽는 방법’ 자체를 훈련</b>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② 상위권 학생인 경우</strong><br>
이미 평가원 기출을 여러 차례 회독해 분석을 잘해둔 상위권 학생이라면, 정답을 기억한 채 처음 보는 것처럼 반복해서 푸는 학습은 의미가 없습니다. 대신에 <b>평가원의 정답 논리와 함정 선지 제작 방식</b>을 떠올리며, <b>2017학년도 이전 기출이나 교육청 학력평가처럼 정제된 문항을 실전처럼 풀어보는 것</b>을 추천합니다.혹시 이 과정에서 발견된 빈틈이 있다면 집중적으로 보완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③ 최종 점검 방법</strong><br>
최신 5개년 평가원 기출 중 <b>자신이 특히 어려워했던 지문을 영역별로 3지문씩 선별</b>하세요. (지문 내용 자체가 어려웠거나, 지문은 평이했으나 문제가 풀리지 않았던 지문 모두 좋습니다.)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b>평가원의 선지·지문 구조와 개념 판단 기준에 익숙해지는 것</b>이 핵심이므로, 자신이 선별한 평가원 지문으로 <b>약점을 찾고 보완</b>하며 최종 점검을 하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b>‘어떻게 생각했어야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었는지’</b>를 간단히 양식화해 기록해 두는 것도 좋습니다. 수능 직전에는 이렇게 정리한 <b>교훈 노트를 올해 6월·9월 모의평가 및 작년 수능 지문과 함께 읽어보는 것</b>이 수능 시험장에서 여러분을 가장 단단히 지켜 줄 무기가 될 것입니다.
</p>
<br>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시험 운용 능력의 극대화</strong></p>
<p class="dep_desc">
평가원 기출 학습과 더불어, <b>낯선 지문으로 구성된 실전 모의고사 훈련</b>도 꾸준히 이어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시험 상황에 적응하고 시험을 운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br>
실전 모의고사를 풀 때는 “이 모의고사 기준으로 내가 몇 등급일까?”를 따지기보다 <b>나의 약점을 찾는 데 집중</b>해야 합니다. 즉, <b>“문제를 틀려도 괜찮지만 같은 실수는 반복하지 않는다”</b>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br>
또한, 문제 풀이 과정에서 <b>시간이 부족했다면 어느 부분에서 지체됐는지 정확히 파악</b>하고 개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시험 운용 연습은 단순히 모의고사 한 회를 푸는 것이 아니라, 실제 시험 상황을 가정해 나만의 행동 패턴을 점검하고 운용 매뉴얼을 체화하는 과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① 문제 풀이 순서 훈련</strong><br>
자신에게 맞는 문제 풀이 순서를 정하고, <b>난도에 따라 유연하게 순서를 조정</b>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② 지연 훈련</strong><br>
모르는 문항에서 당황하지 않고, <b>확실히 소거 가능한 선지부터 제거한 뒤 애매한 선지를 남기는 훈련</b>을 해야 합니다. 이는 실전 모의고사 훈련에서 가장 핵심입니다. 시간이 촉박해지면 원래 잘 읽히던 지문도 제대로 못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문제라고 해서 바로 포기하지 말고 <b>‘일단 보류’ 후 다시 돌아와 해결하는 연습</b>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green">③ 시간 감각 훈련</strong><br>
<b>시계를 보지 않아도 어느 정도 시간이 흘렀는지 감각적으로 인지</b>할 수 있도록 미리 훈련해 두면 실전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독서 연계 정리</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00"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특강] 한병훈의 독서 - 핵심 요약 + [초고밀도 강의노트]</a><br>
총 15강으로 <b>수능특강 독서 교재의 모든 지문을 정리</b>할 수 있습니다. 전체 내용을 빠르게 복습하거나 이해가 부족했던 지문을 중심으로 학습하기에 좋습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599#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한병훈의 수능완성 독서 핵심 요약 + [초고밀도 강의노트]</a><br>
총 6강으로 <b>수능완성 독서 전 지문을 압축 정리</b>했습니다. 단기간에 전체 내용을 빠르게 훑거나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기에 적합합니다.
</p>
<p class="dep_tit mgT20"><strong class="blue2">■ 문학 연계 정리</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002"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특강] 한병훈의 문학 - 전 문항 + [초고밀도 강의노트]</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293"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한병훈의 국어 - 독서·문학·화법과 작문 - 전 문항 + [초고밀도 강의노트]</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297"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한병훈의 국어 - 독서·문학·언어와 매체 - 전 문항 + [초고밀도 강의노트]</a><br>
</p>
<p class="dep_desc">
아직 공부하지 못한 작품이 있다면 이 강좌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b>강의노트에는 각 작품의 분석 내용이 꼼꼼히 정리</b>되어 있어 빠른 복습이 가능합니다. 한편, 이미 연계교재를 1회독한 친구들은 <b>아무런 표시가 없는 교재의 지문을 보고, 학습한 내용을 온전히 떠올릴 수 있는지 반드시 점검</b>하세요. (실제 시험장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건 아무런 메모가 없는 백지 위의 지문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본인이 떠올린 내용과 <b>강의노트 내용을 비교해 필요한 부분을 보충</b>하되, 설명을 암기하기보다 <b>전체 흐름을 이해</b>하는 학습 방식을 추천합니다. 특히 <b>현대시·고전시가·고전소설</b>을 우선으로 학습하세요. 전문에 대한 해설이 제공되지만, <b>교재에 수록된 장면의 핵심 내용을 정확히 이해</b>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① 힘을 빼자!</strong></p>
<p class="dep_desc">
잘하고 싶다는 간절함은 분명 나를 움직이는 동력이지만, 시험장에서는 오히려 족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훈련 과정에서 내 발목을 묶고 있던 ‘간절함’이라는 모래주머니는 이제까지 나를 단단하게 만들었지만, 시험 당일만큼은 내려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날만큼은 마음을 비우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시험에 임하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② 변수는 당연하다, 유연하게 대처하자!</strong></p>
<p class="dep_desc">
“화작은 반드시 다 맞아야 해!”, “선택 과목은 무조건 15분 안에 풀어야 해!”와 같은 고정된 생각은 내려놓으세요. 최근 출제 기조처럼 선택 과목이 어렵게 나올 수도, 문학이 까다롭게 출제될 수도 있습니다. 9월 모의평가와 달리 독서가 더 어려울 수도 있죠. 그때그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시험 당일 여유는 “지금 이 문제는 어렵지만, 뒤에는 쉬운 문제가 있을 거야. 전부 어렵지는 않아.”라는 믿음에서 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③ 요청해도 괜찮다!</strong></p>
<p class="dep_desc">
민감할 필요도 없지만, 참을 필요가 없는 불편함을 억지로 참을 이유도 없습니다. 수능 당일, 창가에 앉아 햇빛이 눈에 거슬린다면 감독관에게 커튼을 쳐 달라고 요청해도 됩니다. 의외로 많은 학생이 이를 부담스러워하지만, 필요한 것이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요청하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④ 시각·청각 변수에 대비하자!</strong></p>
<p class="dep_desc">
귀마개와 후드티는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아이템입니다. 시험 당일 갑작스러운 소음이나 빛으로 인한 멘탈 흔들림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귀마개는 감독관의 확인 후 사용 가능하며, 후드티 역시 평가원 복장 규정에 특별한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이 모든 것이 필수 준비물은 아니니 본인에게 익숙한 착장을 선택해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
</div>
</div>
</div>
<!-- //국어 -->
<!-- 수학 -->
<div class="tabcon cont2" id="content-2" style="display:none;">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수학영역 심주석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수학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수능이 30일 앞으로 다가온 지금,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것을 더하려는 욕심이 아니라, <b>이미 쌓아온 학습을 정리하고 실전에서 흔들리지 않을 토대를 다지는 것</b>입니다.<br>
<b>개념의 빈틈</b>을 최종 점검하고, <b>출제 가능성이 높은 유형</b>을 체계적으로 복습하며, <b>시간 관리 전략</b>을 실전 훈련을 통해 연습해 보세요. 특히 <b>2026학년도 6월·9월 모의평가에서 모두 출제되었던 문항</b>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세요. 남은 기간 <b>자신이 취약한 유형을 집중적으로 연습</b>한다면 수능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p>
<table>
<colgroup>
<col width="35%">
<col width="30%">
<col width="35%">
</colgroup>
<thead>
<tr>
<th>수학Ⅰ 유형</th>
<th>문항</th>
<th>이외의 연습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 class="ta_l">지수계산</td>
<td>6월 1번, 9월 1번</td>
<td rowspan="9" class="ta_l">
&nbsp;• 삼각함수의 주기, 최댓값, 최솟값<br>
&nbsp;• 수열의 합 구하기(등차수열의 합)
</td>
</tr>
<tr>
<td class="ta_l">로그 성질을 이용한 계산</td>
<td>6월 16번, 9월 8번</td>
</tr>
<tr>
<td class="ta_l">지수함수(로그함수)에서의 식 세우기</td>
<td>6월 10번, 9월 12번</td>
</tr>
<tr>
<td class="ta_l">지수함수(로그함수)에서의 조건 해석</td>
<td>6월 22번, 9월 22번</td>
</tr>
<tr>
<td class="ta_l">삼각함수 값 읽기</td>
<td>6월 8번, 9월 6번</td>
</tr>
<tr>
<td class="ta_l">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td>
<td>6월 14번, 9월 20번</td>
</tr>
<tr>
<td class="ta_l">등차수열의 항 구하기</td>
<td>6월 20번, 9월 18번</td>
</tr>
<tr>
<td class="ta_l">시그마의 성질</td>
<td>6월 3번, 9월 3번</td>
</tr>
<tr>
<td class="ta_l">수열의 귀납적 정의</td>
<td>6월 12번, 9월 16번</td>
</tr>
</tbody>
</table>
<table class="mgT10">
<colgroup>
<col width="35%">
<col width="30%">
<col width="35%">
</colgroup>
<thead>
<tr>
<th>수학Ⅱ 유형</th>
<th>문항</th>
<th>이외의 연습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 class="ta_l">미분계수 구하기</td>
<td>6월 2번, 9월 2번</td>
<td rowspan="7" class="ta_l">
&nbsp;• 극한값 읽기, 연속의 정의<br>
&nbsp;• 접선의 방정식<br>
&nbsp;• 정적분 계산, 정적분을 이용한 넓이
</td>
</tr>
<tr>
<td class="ta_l">곱의 미분법 이용한 미분계수 구하기</td>
<td>6월 7번, 9월 5번</td>
</tr>
<tr>
<td class="ta_l">극댓값, 극솟값 구하기</td>
<td>6월 19번, 9월 19번</td>
</tr>
<tr>
<td class="ta_l">삼차함수 추론</td>
<td>6월 15번, 9월 15번</td>
</tr>
<tr>
<td class="ta_l">조건을 만족시키는 삼차함수(사차함수) 찾기</td>
<td>6월 21번, 9월 21번</td>
</tr>
<tr>
<td class="ta_l">속도와 가속도/속도와 거리</td>
<td>6월 11번, 9월 11번</td>
</tr>
<tr>
<td class="ta_l">부정적분 계산</td>
<td>6월 17번, 9월 17번</td>
</tr>
</tbody>
</table>
<table class="mgT10">
<colgroup>
<col width="35%">
<col width="30%">
<col width="35%">
</colgroup>
<thead>
<tr>
<th>확률과 통계 유형</th>
<th>문항</th>
<th>이외의 연습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 class="ta_l">확률의 덧셈정리</td>
<td>6월 24번, 9월 24번</td>
<td rowspan="3" class="ta_l">
&nbsp;• 중복조합<br>
&nbsp;• 조건부확률<br>
&nbsp;• 이산확률분포
</td>
</tr>
<tr>
<td class="ta_l">여사건의 확률</td>
<td>6월 26번, 9월 28번</td>
</tr>
<tr>
<td class="ta_l">수학적 확률</td>
<td>6월 29번, 9월 25번</td>
</tr>
</tbody>
</table>
<table class="mgT10">
<colgroup>
<col width="35%">
<col width="30%">
<col width="35%">
</colgroup>
<thead>
<tr>
<th>미적분 유형</th>
<th>문항</th>
<th>이외의 연습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 class="ta_l">수열의 극한</td>
<td>6월 23번, 9월 25번</td>
<td rowspan="4" class="ta_l">
&nbsp;• 초월함수의 극한<br>
&nbsp;• 적분을 이용한 부피 구하기<br>
&nbsp;• 치환적분법, 부분적분법
</td>
</tr>
<tr>
<td class="ta_l">등비급수</td>
<td>6월 29번. 9월 29번</td>
</tr>
<tr>
<td class="ta_l">역함수의 미분법</td>
<td>6월 26번, 9월 27번</td>
</tr>
<tr>
<td class="ta_l">이계도함수</td>
<td>6월 28번, 9월 28번</td>
</tr>
</tbody>
</table>
<table class="mgT10">
<colgroup>
<col width="35%">
<col width="30%">
<col width="35%">
</colgroup>
<thead>
<tr>
<th>기하 유형</th>
<th>문항</th>
<th>이외의 연습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 class="ta_l">타원의 성질</td>
<td>6월 28번, 9월 29번</td>
<td rowspan="3" class="ta_l">
&nbsp;• 이차곡선의 성질과 접선<br>
&nbsp;• 구에서의 정사영
</td>
</tr>
<tr>
<td class="ta_l">쌍곡선에서의 접선</td>
<td>6월 26번, 9월 27번</td>
</tr>
<tr>
<td class="ta_l">벡터를 이용한 조건 해석</td>
<td>6월 30번, 9월 30번</td>
</tr>
</tbody>
</table>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 수학 시험 시간은 100분입니다. 이 <b>100분 동안 집중력을 온전히 유지하며,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이 필요</b>합니다. 지금 시점에서 한 문제를 푸는 데 30분 이상 투자하는 연습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최대한 오래 고민한다 해도 10~15분 안에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기준을 스스로 세워야 합니다.<br>
또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약 4주이므로, <b>1주일에 1~2회 정도 실전 모의고사를 꾸준히 풀어보세요.</b> 그런 다음, <b>틀린 문제 가운데 평가원 문항 스타일과 유사한 문제를 골라 오답 정리</b>를 하면 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추천 시리즈</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183&amp;seriesId=PRO_1906#goto2" target="_blank" class="f_bold">&lt;FINAL 실전모의고사&gt;</a><br>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262&amp;seriesId=PRO_1919#goto2" target="_blank" class="f_bold">&lt;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시즌1, 시즌2)&gt;</a><br>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63&amp;seriesId=PRO_1923#goto2" target="_blank" class="f_bold">&lt;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고난도 Hyper&gt;</a><br>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64&amp;seriesId=PRO_1930#goto2" target="_blank" class="f_bold">&lt;수능 직전보강 클리어 봉투모의고사&gt;</a><br>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83&amp;seriesId=PRO_1915#goto2" target="_blank" class="f_bold">&lt;버티컬 모의고사(eBook)&gt;</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31#reference" target="_blank" class="f_bold">&lt;[2026 약점공략] 심주석의 확률과 통계 강의자료&gt;</a>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 아침 눈을 떴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아마도 “내가 긴장하고 있나?”라는 질문과 함께 오는 미묘한 떨림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 떨림은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최선을 다해 보여주고 싶은 마음의 표현입니다. 그러니 잘 준비되어 있다는 확신을 스스로에게 들려주며 마음을 가다듬으세요. 숨을 천천히 깊게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오늘 하루를 차분히 보낼 준비를 하세요. ‘심호흡 세 번, 미소 한 번’을 꼭 기억하고 실행하세요. 이 글을 읽는 모든 듀냐 친구들이 2026학년도 수능 수학 시험에서 최고의 실력을 발휘해 수능 대박을 거두길 응원합니다.
</p>
</div>
</div>
</div>
<!-- //수학 -->
<!-- 영어 -->
<div class="tabcon cont3" id="content-3" style="display:none;">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영어영역 김수연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영어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작년 수능 / 올해 6·9월 모의평가 시험지 살피기</strong></p>
<p class="dep_desc">
최근 수능 영어는 <b>난이도의 강약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b>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25~28번 세부 정보 파악, 43~45번 1지문 3문항 구간은 어휘와 구조가 단순해 빠르게 정답을 찾을 수 있어 시간 절약과 멘탈 안정에 유리합니다. 반대로 함축·빈칸·순서·삽입 유형은 시험의 변별력을 주기 위해 난도가 높게 출제되어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전략은 <b>‘확실히 맞힐 수 있는 문제를 안정적으로 챙기는 것’</b>이어야 합니다.
</p>
<div class="link_box">
<strong class="rBlue">※ 비교적 쉬운 독해 문제는?</strong><br>
➜ 18번 목적, 19번 심경 변화, 20번 필자의 주장, 22번 글의 요지, 25번 도표, 26번 내용 불일치, <br>
27~28번 실용문, 35번 무관한 문장, 40번 요약문, 43~45번 1지문 3문항
</div>
<p class="dep_desc">
듣기 점수(총 37점)에 더해 비교적 쉬운 독해 문제에서 점수를 확보하면 60~70점대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확보한 점수를 발판 삼아 고난도 문항에 한층 여유롭게 접근할 수 있죠. 결론적으로, <b>작년 수능과 올해 6월·9월 모의평가 시험지를 다시 살펴보며 자신이 어떤 유형에서 안정적으로 점수를 얻는지 파악하고, 틀렸던 부분은 전략적으로 보완</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예열 지문 챙기기</strong></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 영어 시험지를 펼쳤는데 긴장으로 머리가 하얘지거나 글자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 상황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지문을 집중해서 읽어도 문장이 정리되지 않고 흩어지는 경우가 대표적이죠.<br>
이럴 때를 대비해 <b>‘영어 예열 지문’</b>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3" target="_blank" class="f_bold">&lt;수능특강&gt;</a>이나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3" target="_blank" class="f_bold">&lt;수능완성&gt;</a>에서 조금 <b>어려웠지만 이미 공부해 익숙해진 지문</b>을 3개 정도 선정해 보세요. <b>수능 당일, 점심시간부터 시험 시작 전까지 이 지문을 반복해서 읽으며</b> “아, 영어 문장은 이렇게 끊어 읽어야지”, “문장 구조 분석은 이렇게 해야지”,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렇지”와 같은 실전 감각을 되살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우리 두뇌를 자연스럽게 영어 지문 읽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영어 시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br>
<p class="dep_desc">
<strong class="orange2">◉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h/retrieveNotcRmTotArtcl.ebs?artclId=000000400473982&amp;bbsId=CZ_NOTICE" class="f_bold" target="_blank">&lt;EBSi 모의고사 시리즈 적극 활용하기&gt;</a></strong><br>
수능 영어 시간은 70분입니다.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b>구간별 목표 시간을 미리 정해두는 것</b>입니다. 즉, 듣기 후 24번까지 몇 분, 30번까지 몇 분 안에 풀지를 정한 다음, 실전 연습을 하면 특정 문제에 시간을 과도하게 쓰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b>평소 아날로그 시계로 시간을 확인하며 문제를 풀면</b>, 수능 당일에도 익숙한 리듬을 유지할 수 있어 훨씬 안정적으로 시험을 치를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strong class="orange2">◉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137&amp;seriesId=PRO_1933#goto3"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 전 마지막 점검, 파이널 체크포인트 필수 수강!&gt;</a></strong><br>
과목별로 제공되는, 수능 직전 최종 점검을 위한 별 다섯 개 특강입니다. 올해도 EBSi 선생님들의 뛰어난 분석력과 소중한 노하우가 담긴 파이널 체크포인트를 꼭 확인해 보세요. <br>
특히 제가 준비한 강의에서는 <b>최근 평가원 주관 시험</b>(2025학년도 수능, 2026학년도 6월 및 9월 모의평가)<b>에 대한 꼼꼼한 분석</b>은 물론, <b>유형별 최신 출제 경향 파악, 평가원 지문을 보는 눈 기르기, 유사 문항 연습</b>까지 알차게 담았습니다. 여기에 <b>연계교재 속 주목할 만한 소재를 정리</b>해 간접 연계 대비를 위한 주요 내용 및 어휘 복습까지 할 수 있습니다. 수능 1등급을 위한 ‘적중의 눈’을 키우는 시간, 김수연 선생님의 파이널 체크포인트에서 만나요!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잠을 깨우는 나만의 방법 찾기</strong></p>
<p class="dep_desc">
아침에는 긴장으로 손에 땀이 나고, 점심 후에는 갑자기 눈꺼풀이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이때 잠을 깨울 자신만의 무기가 꼭 필요합니다. 가볍게 스트레칭하거나 차가운 물 한 모금 마시는 등의 작은 습관이 생각보다 큰 힘을 발휘합니다. 나만의 방법을 찾아봅시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나는 100점을 향해 간다” 주문 외우기</strong></p>
<p class="dep_desc">
각 시험이 끝날 때마다 난이도나 정답을 두고 하는 친구들의 이야기에 마음이 흔들릴 필요 전혀 없습니다. 정답은 이미 내가 마킹한 그 번호입니다. 내가 어렵게 느낀 문제는 다른 친구들도 어렵게 느꼈을 가능성이 높으니 후회하거나 걱정하지 마세요. 시험 중에는 “나는 100점을 향해 가고 있다”라는 주문을 마음속으로 되뇌며 자기 확신을 유지하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점심 메뉴·옷·시계 미리 준비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에는 문제 외에도 고민해야 할 게 많습니다. 따라서, 점심 메뉴, 의상, 시계 등은 모두 미리 준비해 두면 좋습니다. 점심은 평소 자주 먹던 속 편한 음식으로, 간식은 냄새나 소리 없이 조용히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세요. 평소 안 먹던 커피·에너지음료·신경안정제는 피해야 합니다. 옷은 공부할 때 입던 편한 복장이나 얇은 옷을 여러 벌 챙겨 체온을 조절하고, 시계는 아날로그로 준비하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blue2">■ 마법의 주문으로 수능까지 마음 다잡기</strong></p>
<p class="dep_desc">
공부하다가 불안한 생각이 갑자기 올라올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스스로에게 마법의 주문을 걸어보세요. “할 수 있다”를 세 번 반복하면 마음이 한결 진정됩니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입니다. 감기·배탈·마음의 불안 모두 조심하며, 지금부터는 좋은 컨디션이 최고의 전략임을 꼭 기억하세요. 우리 친구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p>
</div>
</div>
</div>
<!-- //영어 -->
<!-- 한국사 -->
<div class="tabcon cont4" id="content-4" style="display: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한국사 김준우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한국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한국사 강사들이 올린 <b>6·9월 모의평가 기출 분석표</b>와 <b>핵심 키워드 정리</b>는 반드시 챙겨야 할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아래 자주 출제되는 주제별 대표 키워드는 꼭 기억해 두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자주 출제되는 대표 키워드</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3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주제</th>
<th>키워드</th>
</tr>
</thead>
<tbody>
<tr>
<td><b>일제의 통치와 수탈</b></td>
<td>
· 1910년대 : 헌병 경찰,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허가), 교원 제복과 칼<br>
· 1920년대 : 산미 증식 계획, 치안 유지법, 회사령 폐지<br>
· 1930~1940년대 : 일본식 성명, 황국 신민 서사, 징병, 징용, 배급제, 공출제, 신사참배
</td>
</tr>
<tr>
<td><b>3‧1 운동</b></td>
<td>
탑골 공원, 태화관, 만세, 민족 대표, 유관순, 제암리 <br>
문화 통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
</td>
</tr>
<tr>
<td><b>대한민국 임시 정부</b></td>
<td>
· 활동 : 연통제, 교통국, 상하이, 독립 공채, 독립신문, 구미 위원부<br>
· 국민 대표 회의(23) : 창조파, 개조파
</td>
</tr>
</tbody>
</table>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아직 공부 시간이 넉넉하고 <b>한국사 개념을 탄탄히 다지고 싶다면,</b>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791" target="_blank" class="f_bold">[수능개념-개념편] (총15강)</a> 이나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26#intro" target="_blank" class="f_bold">[수능특강] 1~16강</a>을 추천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b>이미 개념이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빠르게 총정리하고 싶다면</b>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39" target="_blank" class="f_bold">[약점공략]</a>이나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07#intro" target="_blank" class="f_bold">[파이널 체크포인트]</a> 강의를 들어보세요. 남은 기간 EBSi를 알차게 활용한다면 한국사에서 원하는 등급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많이 들어봤겠지만 정말 중요한 이야기이니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시험 전날에는 <b>반드시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습니다.</b> 이는 갑자기 실천하기 어렵기 때문에, <b>최소 2주 전부터</b> 일찍 자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b>시험 당일 아침에는 평소 루틴에 맞춰 식사</b>하되, 원래 아침을 거르는 학생이라면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초콜릿이나 견과류를 조금 섭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험에 좋다고 해서 평소 하지 않던 행동이나 먹지 않던 음식을 시도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b>수험장에는 조금 일찍 도착해 공간에 익숙해지는 시간</b>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과목이 중요하지만, 가장 긴장되고 결정적인 시험은 1교시입니다. (실제로 국어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면 많은 수험생이 초반에 흔들리곤 합니다.) 시험 시작 전에는 <b>‘나는 무조건 잘 볼 수 있다’</b>라는 말을 마음속으로 되뇌며 긴장과 불안을 내려놓으세요. 문제를 풀다가 막히면 ‘어떡하지?’라는 불안 대신 ‘나만 어려운 건 아니야. 이따 다시 보자’라는 생각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처음의 긴장도 시간이 지나면 모의고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b>4교시 한국사 시험 전에는 불안을 내려놓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최종 정리된 개념을 한 번 훑어보는 것</b>도 도움이 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마지막으로, 평소에 노력해 온 자신을 떠올리며 <b>‘끝까지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하고 결과는 나중에 생각하자’는 마음가짐</b>을 가지세요. 결과를 먼저 걱정하면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 학교 선생님, 그리고 EBSi 선생님들이 함께 응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힘내길 바랍니다. 넌 반드시 잘 해낼 거야!
</p>
</div>
</div>
</div>
<!-- //한국사 -->
<!-- 사회탐구 -->
<div class="tabcon cont5" id="content-5"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on" id="tabs-51" target="_blank">[생활과윤리]</a></li>
<li><a href="#none;" id="tabs-52" target="_blank">[윤리와사상]</a></li>
<li><a href="#none;" id="tabs-53" target="_blank">[한국지리]</a></li>
<li><a href="#none;" id="tabs-54" target="_blank">[세계지리]</a></li>
<li><a href="#none;" id="tabs-55" target="_blank">[세계사]</a></li>
<li><a href="#none;" id="tabs-56" target="_blank">[동아시아사]</a></li>
<li><a href="#none;" id="tabs-57" target="_blank">[사회·문화]</a></li>
<li><a href="#none;" id="tabs-58" target="_blank">[경제]</a></li>
<li><a href="#none;" id="tabs-59" target="_blank">[정치와법]</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생활과윤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1">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생활과 윤리 강승희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생활과 윤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고난도 사상가 개념 보완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b>이해한 개념을 전제–전개–결론의 논리적 구조로 정리</b>하며 직접 말로 표현하거나 도식화해 보세요. 이렇게 하면 막히는 부분을 스스로 파악하고,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사상가 간 비교·분석 훈련</strong></p>
<p class="dep_desc">
고난도 문항 대비를 위해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target="_blank" class="f_bold">&lt;기출문제&gt;</a>나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89&amp;seriesId=PRO_1922#goto5" target="_blank" class="f_bold">&lt;연계교재&gt;</a> 문제를 풀며, 실제 수능에 출제될 수 있는 <b>사상가별 핵심 주제를 점검</b>하세요. 이 과정에서 출제 가능성이 낮은 주제를 스스로 선별·배제하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고난도 문항이 아니더라도 주목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b>제시문이 주는 단서가 어떻게 선지와 연결</b>되는지, <b>학생들의 단편적 사고를 흔드는 선지</b>는 무엇인지, <b>주제별 핵심 논쟁점</b>은 무엇인지 미리 학습해 두세요. 이를 통해 실전에서의 실수를 줄이고, 득점 포인트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윤리학적 기본 접근 점검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압축된 개념을 공부하더라도. <b><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89&amp;seriesId=PRO_1922#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연계교재&gt;</a> 본문이나 해설지의 정제된 문장을 활용해 각 개념을 꼼꼼히 점검</b>하세요. 내가 오해했거나, 기본 개념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허점을 노린 선지에도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792"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생윤❤덕 키리노트</a><br>
논리적 학습과 윤리적 기반을 다지고, 문항화 가능성까지 고려한 <b>개념 접근</b>과 <b>오답률이 높은 문항 학습법</b>을 담은 강좌입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833"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생윤❤덕_N 선지</a><br>
<b>수능 개념 키리노트 학습을 마친 후, 이어서 활용</b>하면 학습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28"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특강]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 전 문항</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13"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 전 문항</a><br>
이 두 연계교재는 <b>개념과 문항을 깊이 있게 연결</b>하며, 효율적인 학습 접점을 제공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0"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원원나인</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08#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a><br>
<b>2026학년도 6월·9월 모의평가의 출제 의도와 경향을 분석</b>하고 심화 학습할 수 있는 강좌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사상가의 생각을 최대한 정교하게 담아 제시문과 선지에 반영하려는 것이 출제자의 의도입니다. 따라서 <b>나의 사고 과정을 출제자의 사고 흐름에 맞춰 차분히 따라가다 보면, 분명 올바른 답을 찾아낼 수 있을 것</b>입니다. 진심으로 여러분의 수능 대박을 기원합니다!
</p>
</div>
</div>
</div>
<!-- //생활과윤리 -->
<!-- 윤리와사상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윤리와 사상 한보라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윤리와 사상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6월 모의평가 핵심 변별 포인트</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3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사상가</th>
<th>출제 포인트</th>
</tr>
</thead>
<tbody>
<tr>
<td><b>칸트</b></td>
<td class="ta_l">
이성적 존재자는 자유의 이념 아래에서만 객관적 법칙(도덕법칙)을 의욕
</td>
</tr>
<tr>
<td><b>정약용</b></td>
<td class="ta_l">
삶의 추동력인 욕구가 없으면 어떠한 기호도 실현할 수 없음
</td>
</tr>
<tr>
<td><b>주희와 왕수인<br>(공통점)</b></td>
<td class="ta_l">
마음에 내재한 이치를 구현해야 왕도를 실현할 수 있음
</td>
</tr>
<tr>
<td><b>스피노자</b></td>
<td class="ta_l">
외부 세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을 보존하는 개체는 없음
</td>
</tr>
</tbody>
</table>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9월 모의평가 핵심 변별 포인트</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3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사상가</th>
<th>출제 포인트</th>
</tr>
</thead>
<tbody>
<tr>
<td><b>정약용</b></td>
<td class="ta_l">
인간만의 고유한 본성인 영지의 기호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고자 하는 욕구이므로 악으로 기울 수 없음, 도의적인 마음에 상충하는 욕구(사욕)는 완전히 극복해야 함
</td>
</tr>
<tr>
<td><b>스피노자</b></td>
<td class="ta_l">
신(즉 자연)은 인격이 없으며 의지가 없음
</td>
</tr>
<tr>
<td><b>칸트</b></td>
<td class="ta_l">
선의지의 존엄성은 자연이 부여한 인간적 속성이나 자연적 경향성에 근거할 수 없음, 선의지는 경향성에 방해받더라도 그 가치가 결코 훼손될 수 없음
</td>
</tr>
</tbody>
</table>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평가원 핵심 기출문제’ 초압축 정리</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1#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한보라의 윤리와 사상 핵심 기출 분석 특강 (1~9강)</a><br>
: 평가원 핵심 기출문제를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평가원 기출 선지’ 분석</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15#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한보라의 윤리와 사상 – 전문항 (32~40강)</a><br>
: 최신 기출 선지를 완벽하게 분석하며 O·X 체크로 빠르게 점검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09#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한보라의 윤리와 사상 (4~5강)</a><br>
: 올해 6·9월 모의평가 전체 선지를 완벽하게 분석해 마무리 학습에 최적화된 강의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이제 드디어 수능입니다. 그동안 쌓아온 노력의 시간을 떠올리며 침착하게 실력을 발휘할 때입니다. 크게 심호흡하며 긴장을 풀고 마음을 차분히 가다듬어 보세요. <b>시험 도중 낯선 문제가 나오더라도 놀라지 말고 집중력을 유지하세요.</b> 늘 그래왔듯이 ‘쫄지 마’ 정신을 꼭 기억하고, 낯선 선지·제시문·단어를 만나도 당황하지 마세요. 그것은 나에게만 낯선 것이 아니라 모든 수험생에게 똑같이 낯선 상황이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수능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한 관건은 끝까지 침착함을 지키는 것에 있습니다. <b>그동안 공부해 온 내용을 토대로 사고를 정리하며 오답을 하나씩 제거하면 실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b>
</p>
<p class="dep_desc">
여러분이 꿈을 향해 묵묵히 걸어온 지난 시간은 그 자체로 충분히 가치 있는 여정이었습니다. 수능을 준비하며 만난 윤리와 사상 속 여러 사상가의 지혜는 앞으로의 삶에 큰 빛이 되어줄 것입니다. 꿈을 향해 달려가는 여러분을 민아쌤이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우리 모두 파이팅!
</p>
</div>
</div>
</div>
<!-- //윤리와사상 -->
<!-- 한국지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한국지리 이진웅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한국지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연계와 기출에 집중</strong></p>
<p class="dep_desc">
올해 한국지리 영역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높은 연계율’입니다. 따라서, 연계교재인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과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b>교재의 문제 및 자료를 꼼꼼히 분석</b>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또한, 6월과 9월 모의평가 문항은 수능과 밀접하게 연결되므로 반드시 복습해야 합니다. 실제로 2025학년도 수능에서 해당 연도의 6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가 그대로 출제되었습니다. 수능을 앞둔 지금,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b>6월과 9월 모의평가 문제를 다시 한번 꼼꼼히 풀어보는 것</b>을 추천합니다.
</p>
<table>
<colgroup>
<col width="50%">
<col width="50%">
</colgroup>
<thead>
<tr>
<th>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th>
<th>2025학년도 수능</th>
</tr>
</thead>
<tbody>
<tr>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3_01.jpg" alt="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td>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3_02.jpg" alt="2025학년도 수능"></td>
</tr>
</tbody>
</table>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지도 학습은 필수</strong></p>
<p class="dep_desc">
최근에 두드러진 또 하나의 출제 포인트는 ‘지도 문항의 증가’입니다. 따라서, 수능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지금, 등급을 올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지도 학습입니다.
</p>
<p class="dep_desc">
<b>지도에서 주요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역별 특징을 정리</b>하세요. 이때, 단순히 위치를 암기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b>지역이 지닌 자연·인문적 특징을 연계해 학습</b>한다면 실전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2#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이진웅의 한국지리 1등급 자료</a><br>
한국지리 1등급을 노리는 학생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하는 강좌입니다. 이 강의에서는 다양한 <b>지도 자료와 통계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지역별 특징을 빠르게 복습</b>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br>
특히, ‘01강 문풀학개론’에서는 문제 풀이 핵심 팁을 다루고, ‘02~04강 1등급 지도 자료’에서는 각 지역의 위치와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05~09강 1등급 자료’ 시리즈에서는 그래프와 통계 자료 해석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17#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이진웅의 한국지리 – 전 문항 풀이</a><br>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새로운 내용을 무리하게 학습하기보다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 핵심은 바로 ‘문제 풀이’입니다. 이 강좌는 올해 새롭게 탑재된 문항뿐만 아니라 최근 3년간 연계교재에 수록된 주요 문항까지 담아, <b>수험생이 실제 수능과 유사한 문제를 풀며 자신의 취약점을 점검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b>되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호흡으로 마음 가라앉히기</strong></p>
<p class="dep_desc">
긴장이 밀려올 때는 짧게 들이마시고 길게 내쉬는 복식호흡이 큰 도움이 됩니다. <b>시험 시작 직전이나 문제를 풀다가 불안이 올라올 때 3~4회만 깊게 호흡</b>해도 긴장이 한결 완화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시간 관리에 대한 불안 내려놓기</strong></p>
<p class="dep_desc">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는 없습니다. <b>어려운 문제는 과감히 넘기고, 풀 수 있는 문제부터 확실히 해결하는 것</b>이 수능에서 안정적인 점수를 얻는 비결입니다. ‘나만 모르는 게 아니다’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으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긍정적 자기 암시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시험장에서는 <b>“괜찮아, 내가 해온 만큼 보여줄 수 있어”</b>라는 짧은 문장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자신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믿는 마음이 불안보다 훨씬 더 큰 힘을 줄 것입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휴식 시간 활용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b>쉬는 시간에는 새로운 내용을 보기보다, 짧게 눈을 감거나 가볍게 스트레칭을 하며 몸과 마음을 이완</b>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 전날까지 준비한 자료만으로도 이미 충분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마지막으로, 듀나 친구들! 지금까지 쌓아온 여러분의 노력은 절대 헛되지 않습니다. 수능은 그 노력의 결실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긴장보다는 자신감, 두려움보다는 믿음을 갖고 시험장에 들어가길 바랍니다. 모두의 꿈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p>
</div>
</div>
</div>
<!-- //한국지리 -->
<!-- 세계지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4"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세계지리 이다은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세계지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핵심 개념 압축 정리</strong></p>
<p class="dep_desc">
사회탐구는 성실한 반복 학습이 승부를 가르는 과목입니다. 실제로 수능 직전 막판 스퍼트로 개념 학습을 강화해 짧은 기간에 등급을 올린 사례도 많습니다. 수능이 가까워질수록 새로운 내용을 더 많이 공부하고 싶은 조급함이 들 수 있지만, 이 시기에는 <b>핵심 개념을 압축·정리</b>하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최근 출제 경향을 살펴보면, 단순 암기보다 <b>기본 개념을 낯선 자료에 정확히 적용하는 능력을 묻는 문항</b>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보는 자료가 나와도 무조건 모르는 문제라고 넘기지 말고, <b>지금까지 공부한 개념 중 어떤 것을 적용할 수 있을지 차분히 고민</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또한, 개념 학습이 충분하다고 말하려면 <b>‘개념을 자신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을 정도’</b>여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예를 들어, 쾨펜의 기후 구분이라면 각 기후대의 수치를 정확히 말할 수 있어야 하고, 중위도 대륙 서안과 동안의 기후 차이가 생기는 원인과 그로 인한 주민 생활 특성의 차이를 인과 관계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지도 &amp; 자료 해석 능력</strong></p>
<p class="dep_desc">
최근 평가원은 <b>‘지역 지리’</b>를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b>공간적 사고력과 자료 분석 능력을 평가</b>하는 방식으로 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프리카 내륙국, 동남아시아 종교 분포, 유럽 공업 지역, 아시아 도시화 특징 등은 <b>백지도에 관련 개념을 연결하여 정리</b>해 두어야 합니다. 특히 <b>그래프·지도·통계가 결합한 자료형 문항</b>(예: 서울과의 기후 차이, 아프리카의 도시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b>‘자료 인과 관계 파악 → 개념 적용 → 공간적 추론’</b>의 단계별 사고 훈련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기출문제 전략적 복습</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최신 3개년 기출문제&gt;</a>는 반드시 여러 차례 반복해야 합니다. (오래된 기출은 자료와 통계 수치가 달라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최신 기출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출을 통해 <b>평가원의 출제 의도와 사고 흐름을 복기</b>하고, <b>틀리거나 헷갈린 문항은 일주일 간격으로 다시 풀며</b> 평가원의 사고 과정을 내 것으로 만드세요.
</p>
<p class="dep_desc">
수능에는 언제나 처음 보는 낯선 자료가 등장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통계 수치나 순위를 암기하기보다 <b>“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해 보는 학습</b>을 하세요. 이런 훈련이 되어 있다면 어떤 낯선 문제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시험 시간 관리</strong></p>
<p class="dep_desc">
사회탐구는 30분 안에 20문제를 풀어야 하므로 시간 관리가 곧 점수입니다. <b>단순 개념 확인 문항은 빠르게, 자료 해석·추론형 문항에는 적절히 시간을 배분하는 연습</b>을 꾸준히 하세요. 시험장에서 낯선 자료가 등장해도 <b>“낯선 자료 + 익숙한 개념 = 정답”</b> 공식을 기억하고 침착하게 접근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여러 강좌를 동시에 듣기보다, <b>자신의 약점과 학습 상황에 맞는 강좌 한두 개를 선택해 집중적으로 학습</b>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EBS 연계교재만이라도, 제대로 1회독!</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35#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특강] 이다은의 세계지리 - 전 문항</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19#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이다은의 세계지리 - 전 문항</a><br>
&lt;수능특강&gt;과 &lt;수능완성&gt;은 단순 참고서가 아니라 <b>평가원이 직접 감수한 2026 수능 출제 범위 그 자체</b>입니다. 따라서 수능을 약 한 달 앞둔 지금은 새로운 교재를 시작하기보다 <b>검증된 교재와 강의로 핵심을 압축·반복</b>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실제 수능도 연계교재의 자료와 주제를 변형해 출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
<p class="dep_desc">
따라서, 아직 두 교재를 완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반드시 마무리하세요. 특히 <b>선지의 각 문장</b>은 그냥 넘기지 말고 <b>“왜 정답인지?”, “왜 오답이 되는지?”를 꼼꼼히 분석하며 개념과 선지를 연결하는 훈련</b>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공부는 등산과 닮았습니다. 어떤 사람은 정상만 빠르게 찍고 오느라 지나쳐온 풍경을 기억하지 못하고, 또 어떤 사람은 등산의 과정을 즐기며 풍경을 마음에 담습니다. 수능 공부도 단순히 ‘끝내는 것’에 집중하기보다 <b>배운 내용을 선명히 기억하고 스스로 설명</b>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짜 학습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 mgT10"><strong class="navy">■ 핵심 기출만 골라 효율적으로 보고 싶다면 기출×연계.zip</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19#lecture"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완성] 이다은의 세계지리 - 전 문항 (34~40강)</a><br>
<b>연계교재와 함께 최신 3개년 기출을 압축 정리</b>해 주는 강좌입니다. “수능을 예측하는 힘은 기출에서 나온다”고 하지요? 수능 직전 기출 마무리 학습에 적합한 강좌입니다.
</p>
<p class="dep_tit mgT10"><strong class="navy">■ 개념이 흔들린다고? 급할수록 돌아가자</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798#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개념] 이다은의 한 발 빠른 1회독 세계지리</a><br>
수능을 한 달 앞둔 지금, 개념 강의를 다시 듣는 일이 다소 늦은 선택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등급을 올리기 위한 가장 빠른 길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6·9월 모의평가 역시 단순 암기가 아닌 <b>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생소한 자료를 해석하고 논리적으로 적용하는 능력</b>을 확인하는 시험이었습니다.
</p>
<p class="dep_desc">
개념이 흔들린 상태에서 문제 풀이만 반복하면 수능 당일 낯선 자료 앞에서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불안하더라도 지금 <b>개념을 다시 붙잡는 과정이야말로 수능 고득점으로 가기 위한 가장 현명한 선택</b>입니다. 잠시의 조급함보다 목표를 놓쳤을 때의 아쉬움이 훨씬 크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p>
<p class="dep_tit mgT10"><strong class="navy">■ 지도 학습,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4#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이다은의 지도 한 판으로 끝내는 세계지리 개념 1회독</a><br>
방대한 내용을 지도 한 장에 구조화하여 <b>지역 지리와 빈출 국가의 특징을 한눈에 정리</b>할 수 있는 강의입니다. 특히 공간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나 지역 지리에 취약한 학생에게 효과적이며, 50분 × 9강의 짧은 구성으로 <b>수능 직전 취약점 보완용 강좌</b>로 강력히 추천합니다.
</p>
<p class="dep_tit mgT10"><strong class="navy">■ 최종 마무리를 위한 기출X연계 마지막 1회독</strong></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2"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이다은의 세계지리</a><br>
6월·9월 모의평가와 수능 출제 경향을 분석해 <b>오답률이 높은 문항과 연계교재 자료를 압축 정리</b>한 강좌입니다. 수능 직전 <b>“각 자료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b>에 대한 전략을 다지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은 단 하루, 단 몇 시간 안에 지금까지의 모든 노력이 평가되는 무대입니다. 떨림은 당연하지만 나만 긴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 <b>그 순간 조금 더 집중력을 유지하고 끝까지 실력을 발휘하는 사람만이 그에 상응하는 값진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b>
</p>
<p class="dep_desc">
<b>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을 믿고, 매일의 주인공이라는 마음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세요.</b> 11월 13일, 수능이라는 무대에서 빛날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 시험이 끝난 뒤에는 반드시 당당하고 빛나는 결과가 함께할 것입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수면 관리</strong></p>
<p class="dep_desc">
갑작스러운 밤샘 공부는 금물입니다. 남은 기간에는 <b>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생활 리듬을 유지</b>해 시험 당일 최상의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식사·간식 준비</strong></p>
<p class="dep_desc">
시험 당일 도시락은 <b>평소 자주 먹던 음식이나 소화가 잘되는 음식</b>으로 준비하세요. <b>초콜릿·사탕처럼 당분이 있는 간식</b>을 챙기면 집중력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쉬는 시간 활용</strong></p>
<p class="dep_desc">
쉬는 시간에는 새로운 자료 대신 <b>평소 보던 정리 자료나 단권화 노트를 확인</b>하세요. 낯선 자료는 불안감을 높이지만, 익숙한 자료는 안정감을 줍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긍정적 자기 암시</strong></p>
<p class="dep_desc">
시험 준비령이 울리면 <b>“지금까지의 노력은 반드시 값진 결실로 돌아올 것이다”</b>라는 믿음을 되새기며 시험에 임하세요. 낯선 문제를 만나더라도 <b>“내가 아는 개념으로 충분히 풀 수 있다”</b>는 자신감을 잃지 마세요.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작은 루틴 만들기</strong></p>
<p class="dep_desc">
시험 시작 전 심호흡을 세 번 깊게 하거나, 문제지 첫 장 여백에 ‘할 수 있다’라고 적어보세요. <b>자신만의 작은 루틴</b>을 만들면 불안이 가라앉고 긴장을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p>
</div>
</div>
</div>
<!-- //세계지리 -->
<!-- 세계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5"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세계사 류성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세계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세계사는 암기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목입니다. 따라서 <b>수능 한 달 전부터의 학습이 무엇보다 중요</b>합니다. 기본 개념을 확실히 다진 뒤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평가원 기출문제&gt;</a>와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의 <b>주요 문제를 반복적으로 풀어보세요.</b> 그 어떤 과목보다도 세계사는 수능 한 달 전부터 집중해 공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기본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109&amp;seriesId=PRO_1866#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개념&gt;</a>과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으로 <b>역사 기본기를 탄탄히 다지는 것</b>이 가장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하지만 만점이나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6" class="f_bold" target="_blank">&lt;약점공략&gt;</a>과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4#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lt;파이널 체크포인트&gt;</a> 강좌가 <b>수능 마무리 학습</b>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각각 9강과 5강으로 구성된 강좌이니, 남은 기간 반드시 수강해 실전 감각을 확실히 키우길 바랍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b>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잊지 마세요.</b> 분명 좋은 결과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수능이 다가올수록 불안이 커지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그 불안을 ‘나는 잘될 거야’라는 확신으로 이겨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끝까지 긍정의 마인드를 유지한다면, 그것이 곧 수능 결과를 바꾸는 힘이 될 것입니다.
</p>
</div>
</div>
</div>
<!-- //세계사 -->
<!-- 동아시아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6"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동아시아사 정선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동아시아사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마지막까지 강조하지만, <b>핵심은 개념입니다.</b> 개념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사료를 아무리 완벽히 해석해도 올바른 답을 고를 수 없습니다.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최신 3개년 평가원 기출문제&gt;</a>와 <b>올해 모의평가에서 틀린 문항을 중심으로, 내가 놓친 단원은 없는지 혹은 개념 이해가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반드시 점검</b>해야 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지금 이 시기에는 강좌별 목차를 잘 살펴보고 필요한 부분만 선택해 집중적으로 수강해야 합니다. <b>연표 문제가 불안하다면</b>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5" class="f_bold" target="_blank">&lt;약점공략&gt;</a>, <b>고난도 문항에서 자주 실수한다면</b>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3" class="f_bold" target="_blank">&lt;파이널 체크포인트&gt;</a> 강좌를 추천합니다. 또한, 하나의 나라를 묻는 문제는 무난히 풀 수 있지만, <b>관계사 문항에서 자주 실수한다면</b>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3" class="f_bold" target="_blank">&lt;파이널 체크포인트&gt;</a> 강좌가 특히 효과적입니다.
</p>
<p class="dep_desc2">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3#intro" class="f_bold mgT10" target="_blank">[파이널 체크포인트] 정선아의 동아시아사</a>
</p>
<table>
<colgroup>
<col width="1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강의</th>
<th>강의명</th>
</tr>
</thead>
<tbody>
<tr>
<td>01강</td>
<td>수능 + 6월 모의평가 + 9월 모의평가 파이널 체크 포인트1</td>
</tr>
<tr>
<td>02강</td>
<td>수능 + 6월 모의평가 + 9월 모의평가 파이널 체크 포인트2</td>
</tr>
<tr>
<td>03강</td>
<td>수능 + 6월 모의평가 + 9월 모의평가 파이널 체크 포인트3</td>
</tr>
<tr>
<td>04강</td>
<td>관계사 연표특강 + 매력적인 선지1</td>
</tr>
<tr>
<td>05강</td>
<td>관계사 연표특강 + 매력적인 선지2</td>
</tr>
</tbody>
</table>
<p class="dep_desc2">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5#intro" class="f_bold mgT10" target="_blank" style="text-align: center;">[2026 약점공략] 정선아의 동아시아사, 연표와 사료로 약점만 공략, 1등급 완성</a>
</p>
<table>
<colgroup>
<col width="1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강의</th>
<th>강의명</th>
</tr>
</thead>
<tbody>
<tr>
<td>01강</td>
<td>도시, 지도 특강 : 수능에 나오는 동아시아사 도시만 한방에 정리</td>
</tr>
<tr>
<td>02강</td>
<td>인물 특강 : 수능에 나오는 동아시아사 인물만 한방에 정리</td>
</tr>
<tr>
<td>03강</td>
<td>연표 특강1 : 일본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4강</td>
<td>연표 특강2 : 일본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5강</td>
<td>연표 특강3 : 베트남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6강</td>
<td>연표 특강4 : 중국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7강</td>
<td>연표 특강5 : 중국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8강</td>
<td>연표 특강6 : 중국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r>
<td>09강</td>
<td>연표 특강7 : 한국사 연표 한방에 정리</td>
</tr>
</tbody>
</table>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긴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이제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우리 듀냐 친구들, <b>건강·마음·체력 관리</b>를 꼭 챙기세요. 수능 당일에는 특별한 시도나 평소 하지 않던 일은 피하고, <b>일상의 하루처럼 평범하게 맞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b> 그리고 11월 13일, 고사장을 나서며 “내 실력을 제대로 발휘했다”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p>
<p class="dep_desc">
‘일념통천(一念通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 가지를 간절히 바라고 꿈꾸며 노력한 진심과 정성은 결국 하늘에 닿는다는 뜻입니다. 여러분이 간절히 노력하고 바라며 정성을 쏟은 그 마음이 하늘에 꼭 닿기를 선아쌤이 진심으로 기원하겠습니다.
</p>
</div>
</div>
</div>
<!-- //동아시아사 -->
<!-- 사회&문화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7"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사회문화 박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사회문화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6월·9월 모의평가 공통 출제 요소 확인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b>6월과 9월 모의평가에 공통으로 등장한 개념</b>은 올해 수능에서도 출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b>같은 개념이 문항 번호까지 동일하게 출제된 경우</b>라면, 이를 올해 수능의 핵심 평가 요소로 보고 <b>관련 개념과 문제 유형을 꼼꼼히 점검</b>해 두어야 합니다.
</p>
<table>
<colgroup>
<col width="8%">
<col width="8%">
<col width="*">
<col width="10%">
<col width="10%">
</colgroup>
<thead>
<tr>
<th>대단원</th>
<th>소단원</th>
<th>단원명</th>
<th>6월<br>모의평가</th>
<th>9월<br>모의평가</th>
</tr>
</thead>
<tbody>
<tr>
<td rowspan="5">Ⅰ</td>
<td rowspan="2">01</td>
<td class="ta_l">사회·문화 현상의 이해</td>
<td>1번</td>
<td>1번</td>
</tr>
<tr>
<td class="ta_l">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td>
<td>4번</td>
<td>2번</td>
</tr>
<tr>
<td>02</td>
<td class="ta_l">사회 조사 과정</td>
<td>9번</td>
<td>5번</td>
</tr>
<tr>
<td>03</td>
<td class="ta_l">자료 수집 방법</td>
<td>10번</td>
<td>14번</td>
</tr>
<tr>
<td>04</td>
<td class="ta_l">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태도와 윤리</td>
<td></td>
<td></td>
</tr>
<tr>
<td rowspan="5">Ⅱ</td>
<td>05</td>
<td class="ta_l">사회화, 지위, 역할</td>
<td rowspan="2">8번</td>
<td rowspan="2">13번</td>
</tr>
<tr>
<td rowspan="2">06</td>
<td class="ta_l">사회집단과 사회조직</td>
</tr>
<tr>
<td class="ta_l">관료제와 탈관료제</td>
<td>18번</td>
<td>3번</td>
</tr>
<tr>
<td rowspan="2">07</td>
<td class="ta_l">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보는 관점</td>
<td>2번</td>
<td>7번</td>
</tr>
<tr>
<td class="ta_l">일탈 이론</td>
<td>14번</td>
<td>9번</td>
</tr>
<tr>
<td rowspan="5">Ⅲ</td>
<td rowspan="2">08</td>
<td class="ta_l">문화의 의미와 속성</td>
<td>19번</td>
<td>4번</td>
</tr>
<tr>
<td class="ta_l">문화 이해의 태도</td>
<td>6번</td>
<td>17번</td>
</tr>
<tr>
<td rowspan="2">09</td>
<td class="ta_l">하위문화의 특징</td>
<td>5번</td>
<td>8번</td>
</tr>
<tr>
<td class="ta_l">대중문화의 기능</td>
<td></td>
<td>6번</td>
</tr>
<tr>
<td>10</td>
<td class="ta_l">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td>
<td>3번</td>
<td>12번</td>
</tr>
<tr>
<td rowspan="5">Ⅳ</td>
<td>11</td>
<td class="ta_l">사회 불평등 현상을 보는 관점</td>
<td>7번</td>
<td></td>
</tr>
<tr>
<td>12</td>
<td class="ta_l">사회 계층 구조</td>
<td>12번</td>
<td>10번</td>
</tr>
<tr>
<td rowspan="2">13</td>
<td class="ta_l">사회적 소수자</td>
<td></td>
<td>16번</td>
</tr>
<tr>
<td class="ta_l">빈곤의 유형</td>
<td>17번</td>
<td>19번</td>
</tr>
<tr>
<td>14</td>
<td class="ta_l"><b class="red">사회 복지 제도 (표)</b></td>
<td><b class="red">15번</b></td>
<td><b class="red">15번</b></td>
</tr>
<tr>
<td rowspan="5">Ⅴ</td>
<td rowspan="2">15</td>
<td class="ta_l">사회 변동 이론</td>
<td>16번</td>
<td>11번</td>
</tr>
<tr>
<td class="ta_l">사회 운동의 특징</td>
<td>13번</td>
<td>8번</td>
</tr>
<tr>
<td rowspan="3">16</td>
<td class="ta_l">세계화 </td>
<td></td>
<td>18번</td>
</tr>
<tr>
<td class="ta_l"><b class="red">인구 부양비</b></td>
<td><b class="red">20번</b></td>
<td><b class="red">20번</b></td>
</tr>
<tr>
<td class="ta_l">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의 해결 방안</td>
<td>11번</td>
<td></td>
</tr>
</tbody>
</table>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연계교재 소홀히 하지 않기</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50%">
<col width="50%">
</colgroup>
<thead>
<tr>
<th>2026학년도 6월 모의평가 20번 문항</th>
<th>2026 수능특강 154쪽 4번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8_01.jpg" alt="20번 문항"></td>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8_02.jpg" alt="154쪽 4번 문항"></td>
</tr>
</tbody>
</table>
<p class="dep_desc">
6월 모의평가 20번 문항의 ‘유소년 부양비’는 (유소년(노년) 인구 ÷ 부양 인구) × 100 형태로 제시되어, 유소년 인구와 부양 인구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45#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 문제에서는 같은 개념을 ‘유소년 부양비’라는 용어를 생략한 채, 수치만으로 상대적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습니다. 즉, <b>연계교재의 동일 개념을 모의평가에서 형태만 바꿔 출제한 것입니다.</b>
</p>
<p class="dep_desc">
많은 수험생이 연계교재인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45#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27#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능 고득점을 목표로 한다면 <b>연계교재를 단순히 한 번 읽고 끝내지 말고, 남은 기간 유형과 표현 방식의 차이까지 고려해 반복적으로 점검하고 복습</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표 문제는 기본! 개념 문제도 점검하기</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100%">
</colgroup>
<thead>
<tr>
<th>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13번 문항
</th>
</tr>
</thead>
<tbody>
<tr>
<td>
<b>청년 목수 갑, 펜을 들다!</b><br>
고등학교 졸업 후 갑은 △△건설 회사에서 일하던 중 사내 혼성 합창단에서 친해진 ㉠ <u>외국인 노동자</u> 을의 산업 재해를 목격하였다. 당시 노동조합이 결성되어 있지 않아 을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기 어려웠다. 이에 갑은 마라톤 동호회에서 알게 된 ㉡ <u>인권 변호사</u>를 찾아가 도움을 받았다. 갑은 노동자가 처한 현실을 사회에 알리고자 노동 인권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갑이 투고한 글이 <b class="red">신문</b>에 실려 화제가 되었고, 갑은 작가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갑은 평범한 이들의 노동과 삶이 오롯이 대우받기를 바라며 오늘도 펜을 든다.
</td>
</tr>
</tbody>
</table>
<p class="dep_desc">
이 문항은 매년 출제되는 전형적인 사회집단·사회조직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이 틀린 이유는 바로 ‘신문’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b>최근 평가원은 밑줄로 핵심 정보를 표시하지 않으므로,</b> 수험생이 제시문 속 사회집단을 스스로 모두 찾아내야 하며, 이런 경우 쉽게 놓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즉, <b>실전에서 알고 있는 개념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면 오답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 유형은 반드시 재점검</b>해야 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1"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 박봄의 사회문화</a><br>
<b>수능 직전에 핵심 개념을 효율적으로 정리</b>하고 싶다면 &lt;파이널 체크포인트&gt; 강좌를 추천합니다. <b>2026학년도 6월·9월 모의평가 문제를 평가 요소별로 체계적으로 정리</b>해 수능에서 어떤 개념이 어떤 유형으로 출제될지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험장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간추린 강좌라 길지 않아, 수능 직전 핵심 요약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3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3#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박봄의 사회문화 표분석의 패턴 레벨업</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30000721#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박봄의 사회·문화 표 분석의 패턴(2024)]</a><br>
<b>고난도 표 분석을 완벽히 대비</b>하고 싶다면 &lt;2026 약점공략&gt; 강좌와 &lt;박봄의 사회·문화 표 분석의 패턴&gt; 강좌를 추천합니다. <b>단원별로 가장 어려운 문제 유형을 점검</b>하며, 표 분석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mgT3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196#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FINAL 실전모의고사] 박봄의 사회·문화</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21#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시즌1] 박봄의 사회·문화</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584#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 직전보강 클리어 봉투모의고사] 박봄의 사회·문화</a><br>
<b>실전 감각을 키우고 싶다면</b> <final 실전모의고사="">, &lt;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gt;, &lt;수능 직전보강 클리어 봉투모의고사&gt; 시리즈를 추천합니다. 사회문화는 실전 연습이 곧 실력이므로, 남은 기간 EBS 실전 모의고사를 꾸준히 풀며 <b>시간 단축 연습, 오답 분석, 문제 유형 익히기를 반드시 병행</b>하세요.
</final></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9월 모의평가 이후, 대학생 듀냐 선배들과 수능 대비 방법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끝까지 학업에 몰두한 것이 합격의 비결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목표를 이룬 학생 대부분은 <b>이 시기에 이전보다 한층 더 높은 집중력을 발휘해 6월·9월 모의평가에서 드러난 취약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완하고, 규칙적인 생활과 철저한 시간 관리를 위해 꾸준히 노력</b>했다고 합니다.
</p>
<p class="dep_desc">
많은 수험생이 “이제 30일밖에 남지 않았다”라고 말합니다. 불안감이 커지고 공부가 손에 잘 잡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간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습니다. 그동안 꾸준히 준비해 온 학생도, 후회가 남는 학생도 수능만큼은 완벽히 자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
<p class="dep_desc">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수능 준비 과정의 일부입니다. <b>‘나만 힘든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을 품고 오늘 하루를 성실히 보내는 것,</b> 그것이 남은 한 달을 후회 없이 보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행운을 빕니다!
</p>
</div>
</div>
</div>
<!-- //사회&문화 -->
<!-- 경제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8"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경제 박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경제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6월·9월 모의평가 공통 출제 요소 확인하기</strong></p>
<p class="dep_desc">
<b>6월과 9월 모의평가에 공통적으로 등장한 개념</b>은 올해 수능에서도 출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히 <b>반복 출제된 평가 요소·개념·문제 유형</b>은 반드시 관련 내용을 꼼꼼히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예를 들어 금융 상품의 투자수익을 계산하는 문제가 환율 변동과 연계되어 출제되었는데, 실제로 이 문제는 오답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또한 국내총생산(GDP) 계산 문제와 비교우위론 문제는 고난도로 출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6월과 9월 모의평가 모두에서 유사한 유형으로 출제되었기 때문에 꼼꼼히 복습해 두어야 합니다.
</p>
<table>
<colgroup>
<col width="10%">
<col width="10%">
<col width="*">
<col width="10%">
<col width="10%">
</colgroup>
<thead>
<tr>
<th>대단원</th>
<th>소단원</th>
<th>단원명</th>
<th>6월<br>모의평가</th>
<th>9월<br>모의평가</th>
</tr>
</thead>
<tbody>
<tr>
<td rowspan="4"><b>Ⅰ</b></td>
<td rowspan="2">01</td>
<td>경제의 주체와 객체</td>
<td>1번</td>
<td>2번</td>
</tr>
<tr>
<td>기회비용과 합리적 선택</td>
<td>4번</td>
<td>9번</td>
</tr>
<tr>
<td>02</td>
<td>경제 체제의 유형</td>
<td>2번</td>
<td>1번</td>
</tr>
<tr>
<td>03</td>
<td>기업의 이윤 극대화</td>
<td>12번</td>
<td>3번</td>
</tr>
<tr>
<td rowspan="6"><b>Ⅱ</b></td>
<td rowspan="2">04</td>
<td>대체재와 보완재</td>
<td>9번</td>
<td>4번</td>
</tr>
<tr>
<td>시장 균형의 결정과 변동</td>
<td>17번</td>
<td></td>
</tr>
<tr>
<td rowspan="2">05</td>
<td>사회적 잉여</td>
<td>11번</td>
<td>18번</td>
</tr>
<tr>
<td>가격 규제 정책</td>
<td>7번</td>
<td>12번</td>
</tr>
<tr>
<td rowspan="2">07</td>
<td>외부효과</td>
<td>3번</td>
<td>6번</td>
</tr>
<tr>
<td>공공재 부족</td>
<td></td>
<td>14번</td>
</tr>
<tr>
<td rowspan="6"><b>Ⅲ</b></td>
<td rowspan="2">08</td>
<td><b class="red">국내총생산(GDP)</b></td>
<td>14번</td>
<td>13번</td>
</tr>
<tr>
<td>명목 GDP와 실질 GDP</td>
<td>15번</td>
<td>17번</td>
</tr>
<tr>
<td rowspan="2">09</td>
<td>고용 지표</td>
<td>13번</td>
<td>7번</td>
</tr>
<tr>
<td>인플레이션의 유형</td>
<td>5번</td>
<td>11번</td>
</tr>
<tr>
<td rowspan="2">10</td>
<td>총수요와 총공급</td>
<td></td>
<td>16번</td>
</tr>
<tr>
<td>경제 안정화 정책</td>
<td>5번</td>
<td>11번</td>
</tr>
<tr>
<td rowspan="5"><b>Ⅳ</b></td>
<td rowspan="2">11</td>
<td><b class="red">절대 우위와 비교 우위</b></td>
<td>19번</td>
<td>15번</td>
</tr>
<tr>
<td><b>자유 무역과 보호 무역</b></td>
<td><b>10번</b></td>
<td><b>10번</b></td>
</tr>
<tr>
<td rowspan="2">12</td>
<td>외화의 수요와 공급</td>
<td></td>
<td>5번</td>
</tr>
<tr>
<td>환율 변동의 영향</td>
<td>15번</td>
<td>20번</td>
</tr>
<tr>
<td>13</td>
<td>국제 수지표의 구성</td>
<td>18번</td>
<td>19번</td>
</tr>
<tr>
<td rowspan="3"><b>Ⅴ</b></td>
<td rowspan="2">14</td>
<td>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td>
<td></td>
<td>6번</td>
</tr>
<tr>
<td>가계의 금융 생활</td>
<td>8번</td>
<td>8번</td>
</tr>
<tr>
<td>15</td>
<td>금융 상품의 유형</td>
<td>20번</td>
<td></td>
</tr>
</tbody>
</table>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연계교재 소홀히 하지 않기</strong></p>
<table>
<colgroup>
<col width="50%">
<col width="50%">
</colgroup>
<thead>
<tr>
<th>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17번 문항</th>
<th>2026 수능완성 49쪽 5번 문항</th>
</tr>
</thead>
<tbody>
<tr>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9_01.jpg" alt="17번 문항"></td>
<td><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5_09_02.jpg" alt="5번 문항"></td>
</tr>
</tbody>
</table>
<p class="dep_desc">
경제는 다른 과목보다 문제집이나 실전 모의고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44"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29"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 등 <b>연계교재의 중요성이 더욱 큽니다.</b> 실제로 9월 모의평가에서 실질 GDP와 명목 GDP를 변화율로 출제한 문제가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329"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과 연계되어 출제되었는데,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b>따라서 남은 기간</b>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89&amp;seriesId=PRO_1922#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연계교재&gt;</a><b>를 여러 차례 정리하고</b>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기출문제&gt;</a><b>를 꼼꼼히 분석</b>한다면, 수능에서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6#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박봄의 경제</a><br>
<b>수능 직전, 핵심 개념을 정리</b>하기에 가장 적합한 강좌는 &lt;파이널 체크포인트&gt;입니다. 해당 강좌를 통해 <b>2026학년도 6월·9월 모의평가를 분석</b>해 수능에서 어떤 개념이 어떤 유형으로 출제될지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험장에서 꼭 필요한 내용만 담은 강좌라 분량이 많지 않으니 꼭 수강하길 권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8#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박봄의 경제 1등급 레벨업</a><br>
<b>단원별 취약점을 보완</b>하고 싶다면 &lt;약점공략&gt; 강좌를 추천합니다. <b>1단원 기회비용, 2단원 가격 규제정책과 잉여·외부효과 그래프 분석, 3단원 국내총생산 계산과 실질 GDP·명목 GDP, 4단원 비교우위론·환율, 5단원 투자수익 계산</b> 등 단원별로 가장 까다로운 평가 요소를 ‘기출문제’와 ‘EBS 연계교재’ 문제를 통해 집중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시간이 우리를 뒤쫓아 오잖아요.” 영화 &lt;네버랜드를 찾아서&gt;의 대사입니다. 마치 시간이 우리를 계속 밀어붙이는 듯하고, 우리는 빠른 물살을 타고 수능을 향해 미끄러지듯 나아가는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하루는 너무 짧고 허무하게 지나가고, 수능까지 남은 30일은 무엇을 하기에도, 하지 않기에도 애매하게 느껴집니다.
</p>
<p class="dep_desc">
9월 모의평가 이후, 대학생 듀냐 선배들과 수능 대비 방법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끝까지 학업에 몰두한 것이 합격의 비결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목표를 이룬 학생 대부분은 <b>이 시기에 이전보다 한층 높은 집중력을 발휘해 6월·9월 모의평가에서 드러난 취약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완하고, 규칙적인 생활과 철저한 시간 관리를 위해 꾸준히 노력</b>했다고 합니다.
</p>
<p class="dep_desc">
그렇다면 우리는 남은 30일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개그맨 유재석 씨가 한 말처럼, <b>“일단 오늘을 살자”라는 마음가짐으로 하루하루를 성실히 채워가는 것</b>이 지금 이 시기 가장 현명한 선택이자 최선의 전략이 될 것입니다.
</p>
</div>
</div>
</div>
<!-- //경제 -->
<!-- 정치와법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9"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정치와 법 박민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정치와 법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미성년자의 계약, 특수 불법 행위, 가족 관계와 법, 형사 절차 등 <b>개인 생활과 법 영역의 개념</b>들은 겉보기에는 쉬워 보여도 <b>법적 사고력으로 제시문을 해석하고 선지를 인과 관계에 맞춰 꼼꼼히 파악</b>해야 합니다. 특히 <b>형사 절차 문제</b>는 매년 반드시 출제되므로 <b>주체와 시점을 중심으로 철저히 정리</b>해야 정확히 맞출 수 있습니다. 이 개념들은 전체 50점 만점 중 약 1/3을 차지하지만,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5"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과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기출문제&gt;</a>를 반복 학습하며 집중적으로 대비한다면, 충분히 정복할 수 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5#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박민아의 정치와 법</a><br>
<b>올해 수능에 반드시 출제되는 핵심 개념을 5강으로 압축</b>해 담았습니다. 올해 시행된 &lt;모의고사 기출문제&gt;는 물론 &lt;수능특강&gt;·&lt;수능완성&gt;의 중요 문제를 선별해 다지선다 형식으로 변형했기 때문에 수능 직전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47#intro"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박민아의 정치와 법 1등급 하이파이브</a><br>
선거 결과 분석, 헌법으로 정리하는 국가 기관, 특수 불법 행위 사례 분석 등 <b>감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b>할 수 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어차피 수능은 객관식이기에 다섯 개의 선지 중 정답은 반드시 있습니다. 따라서 수능 당일 어렵고 헷갈리는 문제가 나오더라도 <b>“어차피 정답은 이 안에 있다”, “나는 가장 정답에 가까운 선택지를 찾아가고 있다”고 스스로 믿어야 합니다.</b>
</p>
<p class="dep_desc">
또한, 수능은 기세입니다. 시험장에서 떨리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심지어 감독관도 긴장합니다. 그러니 <b>적당한 긴장감을 유지하면서도 기세에서 밀리지 말고 담담히 자신의 실력을 펼쳐 보세요.</b> 간절히 바란다면 운명은 우연이라는 다리를 놓아줄 것입니다.
</p>
<p class="dep_desc">
우리는 이미 충분히 잘 준비해 왔습니다. 수능 당일, 흔들림 없이 시험과의 기 싸움에서 당당히 승리하고 시험장을 나올 여러분을 이 자리에서 끝까지 응원하겠습니다.
</p>
</div>
</div>
</div>
<!-- //정치와법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사회탐구 -->
<!-- 과학탐구 -->
<div class="tabcon cont6" id="content-6"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on" id="tabs-61" target="_blank">[물리학]</a></li>
<li><a href="#none;" id="tabs-62" target="_blank">[화학]</a></li>
<li><a href="#none;" id="tabs-63" target="_blank">[생명과학]</a></li>
<li><a href="#none;" id="tabs-64" target="_blank">[지구과학]</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물리학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1">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물리학 차영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물리학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실수를 없애기 위한 정확한 개념 정리 &amp; 적용 훈련</strong></p>
<p class="dep_desc">
수능 한 달 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b>지금까지의 학습을 반복 훈련으로 견고히 다져 실전에서의 실수를 최소화</b>하는 것입니다.
</p>
<p class="dep_desc">
이를 위해서는 핵심 개념과 공식을 단순 암기에 그치지 않고, <b>다양한 문제에 정확히 적용</b>할 수 있는지 최종 점검해야 합니다.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389&amp;seriesId=PRO_1922#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연계교재&gt;</a>와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 기출문제&gt;</a>로 개념과 공식을 적용해 온 학생이라도 <b>조건 해석 미흡, 계산 실수 등 세부 오류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100%에 가깝게 정교화</b>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b>자주 범하는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해 체크리스트</b>로 만들고, 문제 풀이 연습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점검하는 훈련을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b>역학·전자기·파동처럼 출제 변형이 잦은 단원은 원리 중심으로 재정리</b>하여, 수능 당일 동일한 원리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더라도 흔들림 없이 풀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결국 핵심은 <b>“정확한 개념·공식 → 적용 연습 → 오류 유형의 체계적 제거”</b>라는 일관된 과정이며, 이 과정을 꾸준히 반복해야 수능에서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기출 분석을 통한 출제 패턴 정리</strong></p>
<p class="dep_desc">
<b>기출 분석은 수능 대비의 핵심 전략</b>입니다. 단원별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최신 5개년 수능과 6월·9월 모의평가 기출문제&gt;</a>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b>반복 출제되는 유형과 핵심 개념을 점검</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표면적으로는 새로운 유형처럼 보여도 실제 수능에서는 기출문제의 변형이 상당수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문제를 풀고 넘어가지 말고, <b>어떤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변형·출제되는지까지 추적하며 학습</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실수 관리 &amp; 시간 관리 훈련</strong></p>
<p class="dep_desc">
물리학은 계산 실수나 조건 해석의 누락·오해로 인해 오답이 발생하기 쉬운 과목입니다. 따라서 자신이 <b>반복적으로 범하는 실수를 유형별로 정리</b>하고, <b>문제 풀이 과정에서 이를 반드시 점검</b>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또한, 실제 시험 시간(30분)을 고려해 <b>모든 문제 풀이를 25분 이내에 마친 뒤 남은 5분 동안 검토하는 훈련</b>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훈련은 문제 풀이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시험장에서 안정적인 시간 관리 능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 마무리 단계에서는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기보다, <b>지금까지 축적한 학습 자료를 활용해 실전 연습과 약점 보완에 집중</b>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198"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FINAL 실전모의고사] 물리학I (9회분)</a><br>
<b>실전 연습</b>을 위해 [2026 FINAL 실전모의고사] 시리즈를 활용해 보세요. <b>5분 검토 시간을 포함해 25분 안에 문제를 푸는 연습</b>을 해보고, 그 과정에서 <b>틀리거나 헷갈렸던 문항은 유사한 기출문제를 추가로 풀며</b> 자신의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mgT10">
<a href="https://ai-plus.ebs.co.kr/ebs/ai/xipa/ItemSearchMain.ebs?sbjId=S01&amp;globalGradeCd=3" class="f_bold" target="_blank">[단추플러스 - 시험지 만들기]</a><br>
<b>특정 단원에 약점이 있다면</b> [EBSi AI 단추 플러스- 시험지 만들기]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예를 들어 『물리학Ⅰ』의 1단원 「역학적 에너지」가 취약하다면 [EBSi 단추] → [AI 문제은행] → [단추 시험지] → [시험지 만들기]에서 해당 파트를 선택하세요. 이렇게 세부 조건을 설정해 검색하면 <b>EBS 교재와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나만의 맞춤형 시험지가 자동 제작</b>되어 자신의 약점을 체계적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br>
<img src="https://lwdw.ebsi.co.kr/UpDown/upload_files/20251002103940460.jpg" style="border: 1px solid #ccc;" alt="단추" class="mgT10">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 아침은 낯선 시험장 환경에 적응해야 하기에 수험생의 긴장이 가장 극대화되는 순간입니다. 이럴 때는 <b>심호흡을 깊게 하고 따뜻한 물을 마시며 몸과 마음을 안정</b>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b>준비해 온 자료를 차분히 살펴보며 “어떤 문제가 나와도 풀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가짐</b>을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p>
<p class="dep_desc">
수험생이 크게 느끼는 심리적 부담 중 하나는 시간 부족에 대한 불안입니다. 이를 완화하려면 <b>평소 과목별 문제 풀이 시간을 전략적으로 분배하는 연습</b>이 필요합니다. 자신 있는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푸는 순서를 미리 머릿속에 그려보는 습관을 들이면 시험 당일 불필요한 긴장을 줄이고 더욱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시험 중에는 <b>예상치 못한 고난도 문제를 만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함을 유지</b>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뒤로 미루고, 자신 있는 문제부터 차분히 해결하세요. 특히 1교시 국어 영역에서 긴장하거나 당황하면 이후 교시까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시험 전에 마음을 안정시키는 연습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p>
<p class="dep_desc">
문제를 풀다가 멘탈이 흔들린다면 3초간 천천히 심호흡을 반복하며 집중력을 회복해 보세요. 모든 운동선수와 연주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실수나 긴장을 빠르게 털어내고 남은 경기나 연주에 집중하듯, 우리 역시 <b>특정 과목이나 문항에서 실수하더라도 빨리 잊고 다음 문제·다음 과목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b>합니다.
</p>
<p class="dep_desc">
여러분은 지금까지 충분히 잘해왔고, 앞으로도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믿고 꾸준히 페이스를 유지해, 인생 최고의 수능을 치르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p>
</div>
</div>
</div>
<!-- //물리학 -->
<!-- 화학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화학 박주원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화학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화학』은 타임 어택이 심한 과목입니다. 따라서 주요 단원에서 반드시 출제되는 요소는 이해를 동반한 완벽한 암기와 실전에서 빠르고 정확한 적용이 가능하도록 마무리 학습을 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아래 내용은 ‘단원별 출제 빈도’와 역대 출제 개념 중 ‘까다로운 문항이 자주 등장하는 주요 단원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부터는 <b>반복적으로 출제되는 핵심 개념 중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학습</b>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b>개념을 완벽히 숙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주 등장하는 표현까지 익혀, 실전에서 자료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시간을 절약</b>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화학식량과 몰</strong>
</p>
<p class="dep_desc">
문제 적용을 위한 <b>핵심 개념 &amp; 자주 나오는 표현</b>을 정리하세요.
</p><ol class="listOnum">
<li>
단위 부피당 분자 수, 단위 부피당 원자 수<br>
· 특히 <span class="green">화학식량(분자량)과 연관</span>지어 생각하기
</li>
<li>1g당 분자 수(기체의 부피) ➜ 분자량에 반비례</li>
<li>1g당 원자 수 ➜ 분자량에 반비례</li>
<li>분자당 구성 원자 수에 비례</li>
</ol>
<p></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화학 반응식과 양적 관계</strong>
</p>
<p class="dep_desc">
<b>유형별 정리는 필수! 풀이 방법과 순서</b>를 완전히 익혀 체화하세요.
</p><ol class="listOnum">
<li>
혼합 기체 유형 <br>
· 한계 반응물 결정/전체 몰수의 변화 △<span style="font-style:italic;">n</span> (△<span style="font-style:italic;">V</span> ) ∝ 반응량 ∝ 생성량
</li>
<!--<img src="https://lwdw.ebsi.co.kr/UpDown/upload_files/20251002100922690.jpg" alt="기호0" />-->
<li>
기체 첨가 유형 <br>
· 처음/완결점(생성물만 존재)/완결 후 상황 정리<br>
· 완결점 전후 기울기 비 이용하여 계수 구하기
</li>
<li>
질량 보존의 법칙 적용(반응 질량비 구하기, 밀도 자료 활용, 진짜 정보 찾기)
</li>
</ol>
<p></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동위 원소, 오비탈, 원소의 주기적 성질</strong>
</p>
<p class="dep_desc">
<b>시간 단축을 위한 핵심 단원!</b> <br>
자주 출제되는 <b>동위 원소의 종류와 존재 비율, 2·3주기 원소의 오비탈 전자 배치 및 주기적 성질</b>을 정리하고 철저히 암기하세요.
</p><ol class="listOnum">
<!--<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6_02_01.jpg" alt="기호1" />
<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6_02_02.jpg" alt="기호2" /> -->
<li><sup>35</sup>C1 : <sup>37</sup>C1 = 3 : 1(평균 원자량 35.5), <sup>79</sup>Br : <sup>81</sup>Br = 1 : 1 (평균 원자량 80)</li>
<li><span class="green">전자가 모두 채워진 오비탈 수,</span> 전자가 들어 있는 오비탈 수, <span class="green">s/p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수(비)</span></li>
<li>원자의 오비탈에 따른 <span class="green">양자수들을 조합한 값</span>을 나타내는 문항<br>
· <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6_02_03.jpg" alt="기호3">, <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6_02_04.jpg" alt="기호4">, <img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column/2025/images/column_06/img06_02_05.jpg" alt="기호5">, n(주 양자수)가 가장 큰 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br>
☞ 원자가 전자 수 (단, 18족 제외)<br>
· (원자 번호 20번 이하) 모든 전자의 부양자수(<span style="font-style:italic;">l</span> )의 합 ☞ p오비탈에 들어 있는 전자 수
</li>
<!--<img src="https://lwdw.ebsi.co.kr/UpDown/upload_files/20251002100928786.png" alt="기호4" />-->
<li>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금속, 비금속 차이), 이온화 에너지(일반적 경향, 예외)</li>
</ol>
<p></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중화 반응 양적 관계</strong>
</p>
<p class="dep_desc">
<b>유형별 정리는 필수!</b> <br>
<b>풀이 방법과 순서를 완전히 익혀,</b> 주어진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세요.
</p><ol class="listOnum">
<li>수용액에서 ‘전하량의 합 = 0’ </li>
<li>유형별 이온 수, 전체 이온 수, 단위 부피당 이온 수 특징, 액성 판단<br>
· 1가(2가)+<span class="green">1가</span> : 중화점까지 <span class="green">전체 이온 수 일정,</span> 단위 부피당 이온수 감소(부피에 반비례)<br>
· 1가(2가)+<span class="green">2가</span> : 중화점까지 <span class="green">전체 이온 수 감소</span> (넣어준 2가 몰수만큼), 단위 부피당 이온수 감소
</li>
<li>자주 나오는 표현 : 모든 이온(양이온, 음이온)의 몰 농도의 합, <br>
<span class="green">전체 양이온 수 – 전체 음이온 수 = 2가 음이온 수 – 2가 양이온 수</span>
</li>
<li><span class="green">3종류 이상</span>의 산·염기 혼합 용액은 액성 파악하여 <span class="green">2가 기준</span>으로 해석 방향 설정</li>
</ol>
<p></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desc">
지금부터는 새로운 내용을 공부하기보다 현재 실력을 냉정하게 분석해 그동안 쌓아온 것을 완벽히 다지는 공부, 즉 <b>공부의 양을 줄이면서 질을 높이는 전략</b>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수능 연계교재인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으로는 <b>마지막까지 헷갈리는 개념</b>을 확실히 잡고,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 문제를 반복해 풀면서 <b>수능 출제 경향을 예측하고 실전 감각을 끌어올려야</b> 합니다. 또한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191&amp;seriesId=PRO_1921#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약점공략&gt;,</a>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199" class="f_bold" target="_blank">&lt;FINAL 실전모의고사&gt;,</a>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22" class="f_bold" target="_blank">&lt;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gt;</a> 강좌를 활용해 계속 실수하거나 헷갈리는 개념·문제 적용이 어려운 부분 등 <b>취약점을 보완하는 마무리 학습</b>에 집중하세요.
</p>
<p class="dep_desc">
이와 함께, 최근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3개년 기출문제&gt;</a>와 올해 수능의 핵심 지표인 <b>6월·9월 모의평가</b>도 <b>실제 시험 시간에 맞춰 풀어보며, 조금이라도 막히는 문제는 해설강의</b>를 통해 빈틈을 반드시 채워야 합니다. 이때, 틀렸거나 헷갈렸던 문제는 이해만 하고 넘어가지 말고, <b>개념노트와 오답노트에 자신의 언어로 확실하게 정리</b>해야 합니다.
</p>
<p class="dep_desc">
마지막으로 <a href="https://ai-plus.ebs.co.kr/ebs/ai/aib/ItemMain.ebs?sbjId=S01&amp;globalGradeCd=1" class="f_bold" target="_blank">&lt;단추플러스-AI 문제추천&gt;</a> 기능을 활용해 <b>취약한 단원의 문제를 자동 추천받아 풀면서</b> 자신의 약점을 강점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b>지금부터는 주변의 상황이나 말에 흔들리지 않고, 스스로 과도한 걱정이나 기대에 빠지지 않으며, 간절하고 담대한 마음으로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b>
</p>
<p class="dep_desc">
<b>‘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b> 강의에서도 선생님이 여러 번 강조했던 말입니다. 이 마음가짐으로 남은 시간을 마무리하면 수능 당일에도 평소처럼 긴장 없이 시험을 치를 수 있을 것입니다.
</p>
<p class="dep_desc">
더불어 수능 날까지 <b>생활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b>하고, <b>시험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머릿속</b>으로 미리 그려보세요. 이렇게 하면 시험 당일의 긴장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desc">
<b>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꾸준함과 집중력입니다.</b> 마라톤의 막바지에 다다른 것처럼, 폭풍 속의 잔잔한 바다처럼 마음을 다스리며 끝까지 최선을 다하세요.
</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에는 지금까지 준비해 온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집중해 보세요.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에게 수능은 후회와 아쉬움이 남지 않는 값진 시간이 될 것입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여러분을 힘차게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 파이팅! ♡
</p>
</div>
</div>
</div>
<!-- //화학 -->
<!-- 생명과학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생명과학 박소현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생명과학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desc">
학습 방향에 대한 조언은 이미 이전 <a href="https://www.ebsi.co.kr/ebs/ent/enta/retrieveEntStudyStrategyList.ebs" class="f_bold" target="_blank">&lt;학습전략칼럼&gt;</a>에서 충분히 다뤘으니, 오늘은 실제 수능에서 꼭 필요한 핵심 포인트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p>
<p class="dep_desc">
첫째, <b>생명과학 과목은 문제지 지면이 좁은 편입니다.</b> 특히 다인자 유전이나 사람의 유전병처럼 복잡한 문항은 풀이 과정을 전개할 공간이 부족하므로, <b>시험지 여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문제를 푸는 연습</b>을 반드시 해두세요. <b>좁은 공간에 작은 글씨로 빠르게 풀다 보면 자신의 글씨를 잘못 읽어 실수할 수 있으니,</b> 이를 미리 대비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둘째, 탐구 시험은 수능 마지막 교시이며, 생명과학은 과목 번호가 뒤쪽이어서 <b>대부분 마지막 과목으로 응시</b>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능 당일에는 집중력을 최대치로 발휘하기 때문에 체력 소모가 크고 피로도가 상당합니다. 따라서 <b>쉬는 시간에 간단한 간식을 먹거나 긴장을 풀 수 있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 끝까지 실력을 발휘</b>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p>
<p class="dep_desc">
셋째, 수능 날 <b>시험장에 가져갈 자료를 미리 정해두는 것</b>이 중요합니다.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이나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109&amp;seriesId=PRO_1866#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개념&gt;</a>처럼 <b>필수 개념이 잘 정리된 교재 한 권, 그리고 그동안 작성한 오답노트</b> 등 꼭 필요한 자료만 선별해 준비하세요. 이 과정을 통해 수능 전까지 추가로 정리해야 할 내용과 남은 기간의 학습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남은 기간 집중이 잘되지 않아 불안할 때</strong>
</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619"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파이널 체크포인트] 박소현의 생명과학Ⅰ</a>은 총 5강으로, <b>6·9월 모의평가 문항을 단원별로 정리</b>하며 <b>최신 평가원 출제 경향</b>을 짚어보고 <b>남은 기간 풀어야 할 연계교재 우수 문항</b>을 담은 강좌입니다. 분량이 많지 않아 한 번에 수강할 수 있으며, 강의를 듣고 나면
<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1&amp;seriesId=PRO_1879#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특강&gt;</a>·<a href="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002&amp;seriesId=PRO_1913#goto6" class="f_bold" target="_blank">&lt;수능완성&gt;</a> 중 어떤 문항을 다시 풀어야 할지 구체적인 학습 방향을 명확히 잡을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아직 기본 개념 정리가 되어있지 않을 때</strong>
</p>
<p class="dep_desc">
기본 개념이 완벽히 정리되지 않았다면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958"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특강] 박소현의 생명과학Ⅰ - 전 문항</a>의 <b>개념 설명을 빠른 속도로 두 번 정도 반복 수강</b>하고,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858"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 기출의 미래] 생명과학Ⅰ</a> 강좌를 <b>풀 버전으로 들으며 문제 적용 방식을 빠르게 파악</b>하는 것이 좋습니다.
</p>
<p class="dep_desc">
특히 『생명과학Ⅰ』은 <b>[3단원] 흥분의 전도와 전달·근육의 수축, [4단원 전체]를 제외한 나머지 단원</b>을 남은 기간 집중적으로 학습하면, 수능에서 충분히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p>
<p class="dep_tit">
<strong class="navy">■ 풀이법이 바로 떠오르지 않을 때</strong>
</p>
<p class="dep_desc">
문제 풀이법이 쉽게 떠오르지 않거나 막힐 때는 <a href="https://bot.ebsi.co.kr/hsc" class="f_bold" target="_blank">&lt;단추 푸리봇–문제검색 서비스&gt;</a>를 적극 활용해 선생님들의 풀이법을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능 준비 중반까지는 스스로 문제 풀이의 시작점을 찾는 연습이 필요하지만, 수능이 가까운 시점에는 전략적 학습이 더욱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따라서 <b>EBS 교재를 푼 뒤에는 해당 문제 코드를 검색해 해설강의를 들으며, 선생님마다 다른 강조점·풀이 시작점·유형 분석을 확인해 자신이 놓친 포인트를 꼼꼼히 보완</b>해야 합니다.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은 ‘완성’이 아니라 ‘정리’의 날입니다. 지금까지 쌓아온 실력을 차분히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자리일 뿐이죠. 수험표를 잘 챙기고 시험장에 늦지 않게 들어갔다면 이미 충분히 준비된 것입니다. 수능이 인생을 결정짓는 최종 승부처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수많은 관문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 <b>이 시험이 여러분의 모든 것을 좌우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세요.</b>
</p>
<p class="dep_desc">
수능 당일에는 ‘잘 봐야 한다’는 강박 대신 “어떤 문제가 나오든 차분히 풀고, 끝나면 집에 가서 맛있는 걸 먹자!”라는 <b>담담한 태도로 시험에 임하는 마음가짐</b>이 필요합니다. <b>시험장에는 꼭 필요한 요약 자료만 챙기고,</b> 가방도 마음도 가볍게 두세요. 너무 많은 자료를 들고 가면 짧은 쉬는 시간에 무엇을 볼지 고민하다가 오히려 불안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까지 뭔가를 더 외우려 하기보다 지금까지 해온 공부를 믿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또한 시험장은 언제나 예측할 수 없는 변수가 있습니다. 옆자리 수험생의 기침 소리, 삐걱거리는 책상, 한 공간에 모인 많은 사람으로 인한 소음 등 <b>돌발 상황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유념하세요.</b> 수능 전에는 <b>미리 카페나 도서관처럼 약간의 소음이 있는 곳에서 모의고사를 풀어보는 연습</b>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로 선생님도 수능 날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크게 나 당황했던 기억이 있으니, 이런 부분도 미리 대비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p>
<p class="dep_desc">
‘혹시 시험을 망치면 어떻게 하지?’ 하는 생각은 내려놓으세요. 만약 기대만큼 보지 못하더라도 인생에는 충분히 만회할 기회가 있습니다. 잠시 속상하더라도 그걸로 끝이 아님을 꼭 기억하고 미리 걱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
<p class="dep_desc">
<b>“할 수 있다! 보여 주자! 기세 좋게 들어가서 기세를 몰아 끝까지 풀자!”</b> 후회 없는 11월 13일을 위해 자신 있게 시험장에 들어가 당당히 실력을 발휘하세요!
</p>
</div>
</div>
</div>
<!-- //생명과학 -->
<!-- 지구과학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4"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p class="top_title mgT10 mgB20 blue2" style="text-align:center;">[EBS 스타 강사진에게 듣다]<br>2026학년도 수능 D-30 초압축 마무리 공부법</p>
<p class="txtR mgB30"><strong>지구과학 양은혜 선생님</strong></p>
<div>
<div>
<p class="top_tit"><span>1</span> 지구과학 영역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가 있다면?</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최종 개념 점검</strong></p>
<p class="dep_desc">
아래 표는 <b>『지구과학Ⅰ』과 『지구과학Ⅱ』의 주요 개념 요소</b>를 정리한 것입니다. 단원별 내용을 보며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 보세요. <b>기억이 흐릿한 부분이 있다면 개념서를 다시 읽거나 관련 개념 강의를 통해 보완</b>하는 것이 좋습니다.
</p>
<p class="dep_desc">
전반적인 개념 숙지를 확인하고 싶다면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814"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개념] 양은혜의 기지개 지구과학Ⅰ</a> 강좌 학습자료실의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814#reference" class="f_bold" target="_blank">[지구뿌셔] 스피드 개념 정리(빈칸 ver.)</a>를 활용해 보세요. 빈칸 채우기 방식으로 취약 개념을 빠르게 점검할 수 있습니다.
</p>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40%">
<col width="40%">
</colgroup>
<thead>
<tr>
<th></th>
<th>지구과학Ⅰ</th>
<th>지구과학Ⅱ</th>
</tr>
</thead>
<tbody>
<tr>
<th>고체 지구</th>
<td class="ta_l">판구조론의 정립, 플룸 구조론, 고지자기, 마그마, 퇴적 구조, 지층의 연령, 지질 시대 환경과 생물</td>
<td class="ta_l">원시 지구의 형성, 지구 내부 구조, 중력장과 자기장, 지질도, 한반도의 지사, 규산염 광물</td>
</tr>
<tr>
<th>대기와 해양</th>
<td class="ta_l">해수의 성질, 해수의 순환, 온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 엘니뇨, 기후 변화의 요인, 지구 온난화</td>
<td class="ta_l">지형류, 천해파와 심해파, 조석과 해일, 단열 변화, 편서풍 파동, 대기 안정도, 바람의 종류</td>
</tr>
<tr>
<th>우주</th>
<td class="ta_l">별의 물리량, 별의 진화, 외계 행성 탐사, 생명 가능 지대, 은하 분류, 우주론</td>
<td class="ta_l">천체 관측, 우주관의 변천, 케플러 법칙, 천체의 거리, 우리 은하의 구조, 성간 물질</td>
</tr>
</tbody>
</table>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올해 기출문제 점검</strong></p>
<p class="dep_desc">
올해 3월부터 10월까지 치러진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c/previousPaperList.ebs?targetCd=D300" class="f_bold" target="_blank">&lt;모의고사 기출문제&gt;</a>는 꼭 다시 한번 풀어보세요. 이 과정에서 “방향은 맞았지만 계산에서 실수했지”, “쉬운 문제였는데 개념 암기가 부족했지”와 같이 <b>오답 원인을 구체화</b>할 수 있습니다. 또한, <b>반복되는 실수 패턴을 파악하고, 올해 모의고사 출제 흐름도 확인</b>할 수 있습니다. 특히 <b>6·9월 평가원 모의평가 문항</b>은 수능과의 연계성이 높으므로 더욱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p>
</div>
<div>
<p class="top_tit"><span>2</span> 수능 마무리 공부를 위해 활용하면 좋을 강좌나 서비스를 추천해 주세요!</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수능 리허설이 필요할 때</strong></p>
<p class="dep_desc">
실전 감각을 키우고 싶다면 아래 실전 모의고사 강좌를 추천합니다. <b>수능 전 범위의 문제를 다룬 모의고사</b>를 반복해 풀면 <b>개념 복습</b>은 물론, <b>시험장에서의 시간 관리 능력</b>까지 자연스럽게 향상됩니다.
</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201"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FINAL 실전모의고사] 지구과학Ⅰ</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24"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만점마무리 봉투모의고사 시즌1] 지구과학Ⅰ</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586"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수능 직전보강 클리어 봉투모의고사] 지구과학Ⅰ</a>
</p>
<p class="dep_tit"><strong class="navy">■ 고난도 문제 훈련이 필요할 때</strong></p>
<p class="dep_desc">
<b>고난도 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파트를 집중적으로 학습</b>하고 싶다면 아래 강좌가 효과적입니다.
</p>
<p class="dep_desc">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52"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서인혜의 지구과학Ⅰ</a><br>
<a href="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50000456" class="f_bold" target="_blank">[2026 약점공략] 한성헌의 지구과학Ⅱ</a>
</p>
</div>
<div>
<p class="top_tit"><span>3</span> 수능 당일, 듀나 친구들을 위한 멘탈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p>
<p class="dep_desc">
남은 30일 동안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일은 막연한 불안감에 압도되어 초조하게 하루를 보내거나, 모든 것을 완벽히 끝내야 한다는 압박 속에서 자신을 몰아붙이는 것입니다. <b>이제부터는 자신감을 가지고, 수능에서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믿어야 합니다.</b>
</p>
<p class="dep_desc">
<b>남은 기간을 어떻게 보낼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하며 하루하루를 채워가세요.</b> 최선을 다해 공부해 온 여러분에게는 분명 좋은 결과가 찾아올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충분히 잘해왔고, 지금도 잘하고 있으며, 반드시 잘 해낼 것입니다!
</p>
</div>
</div>
</div>
<!-- //지구과학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과학탐구 -->
</div>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 상위 탭 */
$('.wrap-tabs-01').each(function() {
var oTab = $(this);
var tabIndex = $(this).find('.on').attr('id').match(/\d+$/);
oTab.find('#content-' + tabIndex[0]).show();
$(this).find('.ipsiTab li a').click(function() {
var tabIndex = $(this).attr('id').match(/\d+$/);
oTab.find('.ipsiTab li a').removeClass('on');
$(this).addClass('on');
oTab.find('.tabcon').hide();
oTab.find('#content-' + tabIndex[0]).show();
return false;
});
});
/* 하위 탭 */
$('.wrap-tabs').each(function() {
var soTab = $(this);
var stabIndex = $(this).find('.on').attr('id').match(/\d+$/);
soTab.find('#contents-' + stabIndex[0]).show();
$(this).find('.tabss li a').click(function() {
var stabIndex = $(this).attr('id').match(/\d+$/);
soTab.find('.tabss li a').removeClass('on');
$(this).addClass('on');
soTab.find('.sub_panel_wrap .contents').hide();
soTab.find('#contents-' + stabIndex[0]).show();
return false;
});
});
</script>
<!-- //@@입시칼럼 -->
이 글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도
- 학년
-
고3(55%)N수생(40%)고2(3%)고1(1%)
- 고교
-
일반(80%)기타(13%)특목(4%)특성(3%)
댓글 49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