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계내역 -->
<style type="text/css">
.Analy_visual {position:relative; vertical-align:top; width:100%; max-width:94rem;}
.Analy_visual > img {max-width:100%;}
.Analy_visual .pc_img {display:block;}
.Analy_visual .mob_img {display:none;}
.Analy_visual a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bottom:3.1%; left:18.1%; width:64.5%; height:11.1%; font-size:0; /*background:rgba(255,0,0,0.5);*/}
.wrap-tabs-01 {position:relative; width:100%; max-width:94rem; margin-bottom:0px; font-size:1.6rem; line-height:1.4; word-break:break-word;}
.wrap-tabs-01 .cont{background-color:#fff; overflow:hidden;}
.wrap-tabs-01 img {max-width:100%;}
.wrap-tabs-01 .full_tab {width:100%; display:flex;}
.wrap-tabs-01 .full_tab li {position: relative;width: 100%;flex: 1 1 auto;height:8rem;margin-right: 0px;z-index: 1;}
.wrap-tabs-01 .full_tab li a {display:-webkit-box;display:-ms-flexbox;display:flex; width:100%; height:100%; padding:0.4rem 1rem; -webkit-box-align:center; -ms-flex-align:center; align-items:center; -webkit-box-pack:center; -ms-flex-pack:center; justify-content:center; font-size:1.8rem; font-weight:bold; border:1px solid #000; color:#6c7283; background:#0c254a; line-height:1.2;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white-space:normal;}
.wrap-tabs-01 .full_tab li a.show {color:#000; background:#fff; border-bottom:0;}
.wrap-tabs .tabss{overflow:hidden; margin-top:3rem; background-color:#f8f8f8; border-top:1px solid #afafaf; border-bottom:1px solid #afafaf;}
.wrap-tabs .tabss li{float:left; height:3.7rem; line-height:3.7rem; margin:0 .5rem;}
.wrap-tabs .tabss li a.show {padding:.2rem; color:#fff; background-color:#2816fe;}
.wrap-tabs-01 .standby {height:20rem; text-align:center;font-weight:bold; display:flex; justify-content:center; align-items:center;}
.wrap-tabs-01 h3 {margin:3rem 0; font-size:2.4rem; color:#178cba; line-height:1.4;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wrap-tabs-01 .cont li p{margin-bottom:.3rem; text-indent:1rem; text-align:justify;}
.wrap-tabs-01 .cont li p.bullBefore {position:relative;text-indent:0;padding-left:1rem;}
.wrap-tabs-01 .cont li p.bullBefore:before {content:'';position:absolute;left:0;top:1.3rem;width:2px;height:2px;background-color:#000;}
.wrap-tabs-01 .gray_box{margin:2rem 0; padding:2rem 2rem 2rem 4rem; border:1px solid #ccc; background-color:#f7f7f7;}
.wrap-tabs-01 .gray_box .listAuto > li {list-style:auto;}
.wrap-tabs-01 .gray_box .listAuto > li > span {color:#6f3436;}
.wrap-tabs-01 .gray_box .listAuto > li > strong {font-weight:normal;color:#178cba;}
.wrap-tabs-01 .font_18 {font-size:1.8rem;}
.wrap-tabs-01 .title-major{display:block; margin:3rem 0 1.5rem; font-size:2rem; color:#6f3436;}
.wrap-tabs-01 .title-minor{display:block; margin:2rem 0 .5rem; font-weight:normal; font-size:1.8rem; color:#178cba;}
.wrap-tabs-01 .title-third{display:block; margin:1rem 0 .5rem; font-weight:normal; font-size:1.6rem; color:#3cba05;}
.wrap-tabs-01 .title-table{display:block; margin:1rem 0; font-size:1.6rem; text-align:center;}
.wrap-tabs-01 .color-blue{color:#178cba;}
.wrap-tabs-01 .color-red{color:red;}
.wrap-tabs-01 .font-bold {font-weight:bold;}
.wrap-tabs-01 .f_green{color:green;}
.wrap-tabs-01 .txt-right {text-align:right; margin-top:1rem;}
.wrap-tabs-01 .boxing{margin:2rem 0; padding:1rem; font-weight:bold; border:1px solid #ccc; background-color:#f7f7f7;}
.wrap-tabs-01 .boxing li,
.wrap-tabs-01 .boxing > p{margin:3px 0; padding-left:1rem; background:url('http://image.ebsi.co.kr/ebsi/images/potalUI/icon/ico_arrowDarkBlue.gif') no-repeat 0 5px;}
.wrap-tabs-01 dl{overflow:hidden;}
.wrap-tabs-01 dt{font-weight:bold; padding-left:1rem; background:url('http://image.ebsi.co.kr/ebsi/images/potalUI/icon/ico_grayRec.gif') no-repeat 4px 7px;}
.wrap-tabs-01 dd{margin:1rem 0; padding-left:3rem;}
.wrap-tabs-01 .tablewrap {width:100%; overflow-x: auto;}
.wrap-tabs-01 table{width:100%; margin:1rem 0;border-spacing:0; border-collapse: collapse; table-layout:fixed;}
.wrap-tabs-01 table th,
.wrap-tabs-01 table td{border:1px solid #ccc; padding:1rem; text-align:center; line-height:1.4;}
.wrap-tabs-01 table th{background-color:#e9e8e9;}
.wrap-tabs-01 table td img {max-width:100%;}
.wrap-tabs-01 .mag_t1 {margin-top:1rem;}
@media screen and (max-width: 1024px) {
.Analy_visual {max-width:100%;}
.Analy_visual img {width:100%;}
.wrap-tabs-01 {max-width:100%; font-size:2.4rem;}
.wrap-tabs-01 .full_tab {display:block; overflow:hidden; border-left:1px solid #000; }
.wrap-tabs-01 .full_tab li {width:calc(100% / 4); flex:none; height:8rem; display:block; float:left; margin:0;}
.wrap-tabs-01 .full_tab li a {font-size:2.4rem; border-left:0; border-bottom:0; overflow:hidden;}
/*.wrap-tabs-01 .full_tab {display:block; overflow:hidden; border-left:1px solid #000; }
.wrap-tabs-01 .full_tab li {width:25%; flex:none; height:8rem; display:block; float:left; margin:0;}
.wrap-tabs-01 .full_tab li a {font-size:2.4rem; border-left:0; border-bottom:0; overflow:hidden;}
.wrap-tabs-01 .full_tab.list7 li:nth-child(5) {width:33%;}
.wrap-tabs-01 .full_tab.list7 li:nth-child(6) {width:33%;}
.wrap-tabs-01 .full_tab.list7 li:nth-child(7) {width:34%;}*/
.wrap-tabs .tabss li{display:inline-block; height:auto; line-height:1.4; margin:.5rem .5rem .5rem 1rem;}
.wrap-tabs .tabss li a.show {padding:.2rem; color:#fff; background-color:#2816fe;}
.wrap-tabs-01 h3 {margin:3rem 0; font-size:3rem; }
.wrap-tabs-01 .cont li p{margin-bottom:.5rem; text-indent:1rem;}
.wrap-tabs-01 .gray_box{border:1px solid #ccc; background-color:#f7f7f7;}
.wrap-tabs-01 .font_18 {font-size:2.4rem;}
.wrap-tabs-01 .title-major{font-size:2.4rem;}
.wrap-tabs-01 .title-minor{font-size:2.2rem;}
.wrap-tabs-01 .title-table{font-size:2.2rem;}
.wrap-tabs-01 .title-third{font-size:2.2rem;}
.wrap-tabs-01 .mag_t1 {margin-top:1.5rem;}
}
@media all and (max-width:719px){
.wrap-tabs-01 .pc_img {display:none;}
.wrap-tabs-01 .mob_img {display:block;}
.wrap-tabs-01 .tablewrap table {width: 719px;}
}
@media all and (max-width:460px){
.mHide {display:none;}
}
</style>
<style type="text/css" media="print">
.visual{display:none;}
</style>
<div class="Analy_visual">
<img src="https://lwdw.ebsi.co.kr/UpDown/upload_files/20240604221707021.jpg" alt="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영역별 연계내역 심층분석" >
<p class="hiddenItem">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영역별 연계내역 심층 분석 출제 경향과 패턴, 연계도, 난이도, 신유형분석을 한눈에!</p>
<a href="https://www.ebsi.co.kr/ebs/xip/xipa/retrieveSCVMainInfo.ebs?irecord=202406043&targetCd=D300&cookieGradeVal=high3" target="_blank" title="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풀서비스 바로가기">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풀서비스 바로가기</a>
</div>
<div class="wrap-tabs-01">
<ul class="full_tab list7">
<li><a href="#none;" class="show" id="tab-1">국어</a></li>
<li><a href="#none;" id="tab-2">수학</a></li>
<li><a href="#none;" id="tab-3">영어</a></li>
<li><a href="#none;" id="tab-4">한국사</a></li>
<li><a href="#none;" id="tab-5">사회탐구</a></li>
<li><a href="#none;" id="tab-6">과학탐구</a></li>
<li><a href="#none;" id="tab-7">직업탐구</a></li>
<li><a href="#none;" id="tab-8">제2외국어 <br>/ 한문</a></li>
</ul>
<!-- 상위뎁스1 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 -->
<div class="tab_panel_wrap">
<!-- 국어 -->
<div class="cont cont1" id="content-1">
<div class="contents activ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1교시 국어 영역
</h3>
<ol>
<li>
<strong class="title-major">1. 출제 경향</strong>
<ol>
<li>
<div class="gray_box">
<p class="color-blue" style="margin-left:-3rem;">※ 출제 경향 특징 4가지</p>
<ol class="listAuto">
<li>작년 수능보다 다소 쉽게 출제됨</li>
<li>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념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변별력 높은 문항을 출제함</li>
<li>최근의 출제(2024학년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 경향을 유지 </li>
<li>EBS 교재에서 50% 이상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연계 체감도 상승</li>
</ol>
</div>
</li>
</ol>
<p>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의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공통과목(독서, 문학)과 선택과목(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으로 출제되었다.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에 제시된 주요 개념을 충실히 반영하고, EBS 수능 연계교재를 연계하여 출제함으로써 수험생들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한다는 원칙을 충실히 구현하였다.</p>
<p>6월 모의평가의 난이도를 본다면 어려웠던 2024학년도 수능(이하 수능)보다는 다소 쉬울 것으로 예측된다. 공통과목인 독서와 문학의 경우 변별력 높은 문항을 적절히 제시하면서도 공교육 과정을 통해 충분히 해결 가능한 문항을 출제하였다.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개념을 문항으로 출제하고 있어, 각 영역의 기본 개념에 대한 충실한 학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
<p>EBS 수능 연계교재의 내용을 50% 이상 연계한다는 방침에 따라 교재에서 다루었던 제재나 작품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되었다. 독서 영역은 사회, 과학ㆍ기술, 인문 주제 통합 등 4개의 지문 중에서 3개의 지문이 연계되어 출제되었다. 문학 영역은 현대시와 고전 시가에서 각각 한 작품이, 현대 소설은 지문의 일부분이, 고전 소설은 EBS 수능 연계교재 수록 부분과 다른 장면이 연계되어 출제되었다.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에서는 EBS 수능 연계교재를 통해 다루어진 핵심 개념, 제재, 문항 유형 등이 두루 활용되었다. </p>
<br>
<p>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다소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EBS 수능 연계교재의 제재와 지문을 실질적으로 연계하여 학생들의 연계 체감도를 높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념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변별력 높은 문항들을 출제하여 적정 난이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ajor">2. 세부 출제 경향</strong>
<ol>
<li><strong class="title-third">1) 영역별 대표 문항</strong></li>
<li>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독서 영역:<br>
9번 – 지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중합 과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br>
16번 – (가), (나)에 제시된 정보와 <보기>에 제시된 정보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문학 영역:<br>
27번 – 작품의 서술방식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br>
34번 – <보기>를 참고하여 현대시를 감상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화법과 작문:<br>
44번 – 자료를 활용하여 생성한 내용의 적절성을 묻는 문항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언어와 매체:<br>
36번 – 담화 맥락을 고려하여 호칭어와 지칭어 사용의 적절성을 묻는 문항
</span>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영역별 평가 특징</strong>
<p>독서 영역은 ‘다양한 분야의 독서 경험을 통하여 일상생활과 학습 상황에서 필요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독서 능력을 기르고 독서 태도를 함양하며 독서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독서 교육과정의 목표를 바탕으로 총 17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여러 글에서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며 읽는 능력의 중요성과 전략을 다룬 독서 이론 지문(1번∼3번), 기업 경영에서 과두제적 경영의 장단점을 다룬 사회 지문(4번∼7번), 고분자 화합물로서의 플라스틱의 특징을 다룬 과학ㆍ기술 지문(8번∼11번), 도덕 문장의 진리 적합성에 대한 에이어의 견해를 다룬 내용과, 논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 문장의 타당성을 다룬 인문 주제 통합 지문(12번~17번)이 출제되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p>
<p>문학 영역은 문학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학 작품의 수용・생산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문학 능력을 기르고, 문학의 본질과 양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며, 타인 및 세계와 소통하며 자아를 성찰하고 문학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총 17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고전 소설은 ‘이대봉전(작자 미상)’(18번∼21번)이 출제되었으며, 갈래 복합은 고전 시가 ‘우부가(작자 미상)’, 고전 수필 ‘타농설(성현)’을 엮은 지문(22번∼26번)이 출제되었다. 현대 소설은 ‘아버지의 땅(임철우)’(27번∼30번)이 출제되었고, 마지막으로 현대시는 ‘청산행(이기철)’과 ‘사실과 관습: 고독 이후(김현승)’가 엮인 지문(32번∼34번)이 출제되었다. 각 지문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외적 준거를 활용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p>
<p>화법과 작문 영역은 화법과 작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상생활과 학습 상황에서 필요한 화법과 작문 능력을 기르고, 사회적 소통 행위로서의 화법과 작문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화법과 작문의 태도를 함양하며, 이를 통하여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총 11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화법은 ‘김 양식 방법’을 주제로 한 학생의 발표(35번~37번)가 출제되었다. 화법과 작문 통합으로는 ‘전파 식별 시스템 도입으로 달라진 학교 도서관 안내’를 주제로 한 학생들의 대화와 이를 반영한 안내문(38번~42번)이 출제되었다. 작문은 ‘청소년 국가 유산 지킴이 활동 활성화’를 주제로 지역 신문에 기고하기 위한 학생의 글(43번~45번)이 출제되었다.</p>
<p>언어와 매체 영역은 언어와 매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어 문법과 매체 언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어와 매체 언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개인적・사회적 소통 능력과 태도를 길러 국어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총 11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언어는 교육과정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개념에 주안점을 둔 5개 문항(35번~39번)이 출제되었다. 호칭어와 지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지칭과 부정칭을 이해하는 문항과 개념을 실제 담화 상황에 적용하는 문항(35번~36번), 문장의 필수 성분을 이해하는 문항(37번), 여러 음운 변동이 일어날 때 그 순서를 묻는 문항(38번), 우리말의 차자 표기를 탐구하는 문항(39번)이 출제되었다. 매체는 ‘독도 바다사자 복원’을 주제로 한 텔레비전 뉴스(40~43번), ‘졸업 앨범 앱 시안 작성’을 주제로 한 온라인 화상 회의(44~45번)가 출제되었다.</p>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3. 난이도</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총평</strong>
<p>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보다는 다소 쉽게 출제되었다. 공통과목에서 시간 소요가 다소 증가할 수 있으나, 선택과목에서 정보량을 적정화하고 수험생들이 문항 풀이를 위한 정보 조회의 부담을 줄임으로써 시간 안배의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독서 영역에서는 4개의 지문이 출제되었는데, 다양한 분야의 지문을 통해 깊이 있는 독서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4개의 지문 중에서 3개가 EBS 수능 연계교재의 독서 지문의 내용을 연계하였을 뿐만 아니라, EBS 수능 연계교재에 제시된 정보를 지문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수험생들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학 영역은 전년도 수능과 달리 6개 작품이 출제되었는데, 4개의 작품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되었으며 문항 유형도 수험생들에게 익숙한 유형으로 출제되었다. 화법과 작문은 작년 수능과 모의평가에서 출제되었던 유형이 큰 틀에서 유지되었으며, 지문으로 제시된 정보량 자체도 많지 않았다. 언어와 매체는 교과서 및 EBS 수능 연계교재에 제시했던 개념을 중심으로 출제되어 공교육 과정을 이수한 수험생들은 큰 어려움 없이 문항을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p>
</li>
</ol>
<ol>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과목별 세부 난이도</strong>
<li>
<strong class="title-third">1) 독서</strong>
<p>여러 글에서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며 읽는 능력의 중요성과 전략을 다룬 독서 이론 지문, 기업 경영에서 과두제적 경영의 장단점을 다룬 사회 지문, 고분자 화합물로서의 플라스틱의 특징을 다룬 과학ㆍ기술 지문, 도덕 문장의 진리 적합성에 대한 에이어의 견해를 다룬 내용과, 논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 문장의 타당성을 다룬 인문 주제 통합 지문이 제시되었다. 독서 이론 지문을 제외한 나머지 지문은 모두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되어 출제되었다. 연계된 3개의 지문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룬 핵심 정보들이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문항에서 지문 정보의 세밀한 이해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꼼꼼한 독해가 이루어지 않는다면 문항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p>
<p>여러 글에서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며 읽는 능력의 중요성과 전략을 다룬 독서 이론 지문의 경우,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되지 않았지만 지문의 내용 자체가 어렵지 않고 문항 자체도 평이하게 구성되어 정상적인 공교육을 받은 수험생들이라면 문항의 정답을 찾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다.</p>
<p>기업 경영에서 과두제적 경영의 장단점을 다룬 사회 지문의 경우,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룬 중심 제재가 연계되어 지문으로 구성되었다. EBS 수능 연계교재를 통해 해당 개념을 충실히 학습한 수험생이라면 독해의 부담을 덜 수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p>
<p>고분자 화합물로서의 플라스틱의 특징을 다룬 과학ㆍ기술 지문도 역시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되었다. 지문의 핵심 정보인 ‘중합 과정’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직접적으로 연계하였다. 따라서 EBS 수능 연계교재를 공부한 수험생이라면 지문의 내용이 친숙하게 느껴져서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상당한 도움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p>
<p>도덕 문장의 진리 적합성에 대한 에이어의 견해를 다룬 내용과, 논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 문장의 타당성을 다룬 인문 주제 통합 지문도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교재에서 주요 정보를 밀도 있게 연계하였다. 이 지문의 경우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에이어의 견해’를 (가) 지문의 핵심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나) 지문은 수험생들이 어렵게 느끼는 논리학 제재가 지문으로 제시되어 독해에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생각된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문학</strong>
<p>문학은 고전 소설, 고전 시가와 고전 수필을 함께 엮은 갈래 복합, 현대 소설, 현대시 두 편을 엮은 지문이 제시되었다. </p>
<p>작품을 보면 고전 소설에서 ‘이대봉전(작자 미상)’, 갈래 복합에서 고전시가 ‘우부가(작자 미상)’와 고전 수필 ‘타농설(성현)’을 엮은 지문, 현대 소설에서 ‘아버지의 땅(임철우)’, 현대시에서는 ‘청산행(이기철)’, 사실과 관습: 고독 이후(김현승)‘이 함께 묶인 지문이 출제되었다. 이 중에서 고전 소설 ‘이대봉전(작자 미상)’, 고전 시가 ‘우부가(작자 미상)’, 현대 소설 ‘아버지의 땅(임철우)’, 현대시 ‘청산행(이기철)’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 출제된 작품들이다. 고전 소설 ‘이대봉전’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되지 않은 장면이 출제되었으나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제시된 등장인물의 관계 및 상황이 유사하여 장면 이해에 대한 어려움이 크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전 시가 ‘우부가’와 현대시 ‘청산행’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된 지문과 동일한 지문이 출제되었고, 현대 소설 ‘아버지의 땅’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된 부분 일부와 수록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출제되었기 때문에 수험생 입장에서 높은 EBS 연계를 체감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p>
<p>고전 수필 성현의 ‘타농설’과 현대시 김현승의 ‘사실과 관습: 고독 이후’는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이다. 하지만 성현의 ‘타농설’은 부지런한 농부와 게으른 농부를 뚜렷하게 대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글쓴이의 경험을 통해 얻은 깨달음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어 작품을 감상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현승의 ‘사실과 관습: 고독 이후’는 작품 자체가 낯설게 느껴질 수는 있지만, 감상에 참고할 수 있는 외적 준거가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작품의 이해에 큰 무리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p>
<p>전체적으로 지문이나 문항 구성이 기존의 큰 틀을 유지하였고 2024학년도 수능과 비교했을 때 출제 작품 수가 한 작품 줄어들어 여섯 작품 중에서 네 작품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 출제되었으므로 연계 체감도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각 제재별로 유형화된 문항들이 많아 작품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화법과 작문</strong>
<p>화법과 작문에서는 ‘김 양식 방법’을 주제로 한 학생의 발표, ‘전파 식별 시스템 도입으로 달라진 학교 도서관 안내’를 주제로 한 도서부원 학생들의 대화와 학생들의 안내문, ‘청소년 국가유산 지킴이 활동 활성화’를 주제로 한 학생의 초고가 출제되었다. 화법에서는 일상생활이나 교실 수업에서 흔히 이루어지는 담화 상황을 제시하여 수험생들의 친숙도가 높아 어렵지 않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작문은 내용의 구상과 생성, 조직과 표현, 고쳐 쓰기라는 글쓰기의 일반적 절차를 문항으로 출제하고 있어 문항 해결 과정에서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4) 언어와 매체</strong>
<p>언어는 호칭어와 지칭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지칭과 부정칭에 대해 이해하는 문항과 개념을 실제 담화 상황에 적용하는 문항, 문장의 필수 성분을 이해하는 문항, 여러 번의 음운 변동이 일어날 때의 음운 변동 순서를 묻는 문항, 우리말의 차자 표기를 탐구하는 문항이 출제되었다. 한 가지 문법 개념을 적용하는 단순한 형태에서 벗어나 기본적인 문법 개념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변별력을 확보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p>
<p>매체는 ‘독도 바다사자 복원’을 주제로 한 텔레비전 뉴스와 ‘졸업 앨범 앱 시안 작성’을 주제로 한 온라인 화상 회의에서 출제되었다.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였으며, 제시된 자료를 통해서도 충분히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난도는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p>
</li>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4. EBS 교재와의 연계성 분석</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연계표1: 공통과목(독서, 문학)</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5</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6-288쪽</td>
</tr>
<tr>
<th>7</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6-288쪽</td>
</tr>
<tr>
<th>8</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307-310쪽</td>
</tr>
<tr>
<th>9</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307-310쪽</td>
</tr>
<tr>
<th>10</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307-310쪽</td>
</tr>
<tr>
<th>12</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3-285쪽</td>
</tr>
<tr>
<th>14</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3-285쪽</td>
</tr>
<tr>
<th>15</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3-285쪽</td>
</tr>
<tr>
<th>16</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 283-285쪽</td>
</tr>
<tr>
<th>21</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139-142쪽 / 4번</td>
</tr>
<tr>
<th>22</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71-74쪽</td>
</tr>
<tr>
<th>23</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71-74쪽</td>
</tr>
<tr>
<th>24</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71-74쪽</td>
</tr>
<tr>
<th>26</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71-74쪽</td>
</tr>
<tr>
<th>27</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91-296쪽</td>
</tr>
<tr>
<th>28</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91-296쪽</td>
</tr>
<tr>
<th>29</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91-296쪽</td>
</tr>
<tr>
<th>30</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91-296쪽</td>
</tr>
<tr>
<th>31</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65-269쪽</td>
</tr>
<tr>
<th>32</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65-269쪽</td>
</tr>
<tr>
<th>33</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65-269쪽</td>
</tr>
<tr>
<th>34</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 265-269쪽</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연계표2: 선택과목(화법과 작문)</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화40</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화법과 작문 / 56쪽 / 6번</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다. 연계표3: 선택과목(언어와 매체)</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언44</th>
<td>수능특강 국어영역 언어와 매체 / 119쪽 / 2번</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라. 체감 연계도</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된 문항은 선택과목별 23문항(공통과목 22문항, 선택과목 각 1문항씩)으로 약 51%에 해당한다. 특히 공통과목(독서-9문항, 문학-13문항)의 연계율을 높여 EBS 수능 연계교재를 충실히 학습한 수험생이라면 연계 체감도가 높았을 것이다.
</p>
<p>
독서의 경우에는 4개의 지문에서 독서 이론 지문을 제외한 3개의 지문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연계되었다. 문학은 총 6개의 작품 중에서 4개의 작품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출제되었다. 현대시 한 작품과 고전 시가 한 작품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활용했고, 현대 소설의 경우 EBS 수능 연계교재의 지문을 일부 포함하여 연계 체감도를 높였다. 화법과 작문 과목과 언어와 매체 과목에서는 공통적으로 1문항씩을 연계하였으며, 문항의 난이도가 평이하여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수월함을 느꼈을 것이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마. 연계 유형</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된 작품이나 제재, 개념과 원리 등이 골고루 활용되어 연계되었다. 독서에서 4~7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지문의 중심 제재를 구성하여 지문과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8~11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 나온 제재와 지문을 활용하여 지문을 구성하고, 문항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12~17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룬 특정 학자의 견해를 (가)의 핵심 정보로 활용하여 지문을 구성함으로써 연계 체감도를 상당히 높였다. 문학에서 22~24, 26번 문항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지문을 활용하였으며, 27~30번 문항, 31~34번 문항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지문에 다른 부분을 추가하여 지문을 구성하였다. 화법과 작문에서 40번 문항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 유형을 활용한 문항이고, 언어와 매체에서 44번 문항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출제된 것이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바. 유형별 세부 분석</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독서</strong>
<p>
독서는 4개의 지문 중 3개가 EBS 수능 연계교재의 제재를 반영하였다. 4~7번은 EBS 수능특강 독서 286~288쪽에 수록된 ‘과두제의 철칙’에서 핵심 제재인 ‘과두제’의 개념을 활용하여 지문을 구성하였다. 8~11번은 EBS 수능특강 독서 307~310쪽에 수록된 ‘생체 내의 화학 결합과 창발성’ 지문 내용 중에서 생체 고분자의 형성 과정을 지문으로 구성하여 출제하였다. 끝으로 12~17번은 EBS 수능특강 283~285쪽에 수록된 ‘직관주의와 정의주의’에 제시된 ‘에이어의 견해’를 (가) 지문으로 구성하여 출제하였다.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제재를 지문의 정보로 많이 활용하고 있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문학</strong>
<p>
문학 영역은 총 6개의 작품이 출제되었는데, 그 가운데 4개의 작품이 연계되었다. 18~21번은 EBS 수능특강 문학 139~142쪽에 수록된 작자 미상의 ‘이대봉전’이 고전 소설로 출제되었다. 22~26번은 EBS 수능특강 문학 71~74쪽에 수록된 작자 미상의 ‘우부가’가 갈래 복합(고전 시가)으로 출제되었다. EBS 수능특강의 수록된 부분이 그대로 연계되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매우 높았을 것이다. 27~30번은 EBS 수능특강 문학 291~296쪽에 수록된 임철우의 ‘아버지의 땅’이 현대 소설로 출제되었다. EBS 수능특강 문학에 수록된 장면이 일부분 활용되었으며, 활용되지 않은 내용도 연계된 내용과 연속성이 커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매우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31~34번은 EBS 수능특강 문학 265~269쪽에 수록된 이기철의 ‘청산행’이 현대시 세트로 출제되었다. EBS 수능특강 문학에 수록된 작품이 직접 연계되어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가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화법과 작문</strong>
<p>
40번은 EBS 수능특강 화법과 작문 56쪽의 6번 문항과 유사한 유형의 문항으로 연계되었다.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는 학생들 간의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초고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문항이 출제되었다. 40번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부원1’이 작성한 메모가 초고에 반영된 양상을 파악하는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제재와 문항 해결의 과정이 유사하다는 측면에서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높았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4) 언어와 매체</strong>
<p>
매체는 44번이 EBS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 119쪽 2번 문항과 유사한 유형의 문항으로 연계되었다.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는 온라인 화상 회의라는 매체의 특성을 묻는 문항이 출제되었다. 44번은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화상 회의라는 매체의 활용 방식을 이해하는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온라인 화상 회의라는 매체가 가진 의사소통 방식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p>
</li>
</ol>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5. 대표 연계 문항</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12~17번 : EBS 수능 연계교재에 제시된 핵심 제재를 활용하여 지문을 재구성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12~17번 지문 및 16번 문항</th>
<th scope="col">EBS 수능특강 283-285쪽 지문 및 7번 문항</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1.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2.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3.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4.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5.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0.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1.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2.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3.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2) 22~26번 :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다룬 작품을 활용하여 출제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22~26번 지문</th>
<th scope="col">EBS 수능특강 71-74쪽 지문</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6.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7.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8.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09.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4.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5.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6.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7.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kor/img01_18.png">
</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div>
<!-- //국어 -->
<!-- 수학 -->
<div class="cont cont2" id="content-2" style="display:none;">
<div class="contents">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2교시 수학 영역
</h3>
<ol>
<li>
<strong class="title-major">1. 출제 경향</strong>
<ol>
<li>
<div class="gray_box">
<p class="color-blue" style="margin-left:-3rem;">※ 출제 경향 특징 5가지</p>
<ol class="listAuto">
<li>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다소 쉬운 수준으로 출제됨.</li>
<li>교육과정 근거(성취기준)를 기반으로 하는 문항들로 변별력 있는 문항들까지 포함하여 출제됨. 각 단원의 대표적인 유형의 문항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추론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수학학습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출제됨.</li>
<li>지나친 계산을 요구한다거나 불필요한 개념으로 실수를 유발하거나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 공교육 내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의 문항, 풀이 시간이 과도하게 오래 걸리는 문항들은 출제되지 않았음.</li>
<li>EBS 연계율은 전년도와 같이 50%이지만 연계 체감도는 더 높게 출제되었고, 공통과목에서 12문항, 선택과목에서 각각 3문항씩 고루 연계하여 출제됨.</li>
<li>개념·원리의 활용,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자료상황의 활용의 세 가지 방식으로 연계됨.</li>
</ol>
</div>
</li>
</ol>
<p>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수학영역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성취수준에 근거하여 고등학교까지의 학습을 통해 습득한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로 출제되었다.</p>
<p>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다소 쉬우며, 지나친 계산을 요하는 문항은 배제되었고 변별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문항들로 출제되었다.</p>
<p>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수학영역은 EBS 연계교재와 개념・원리의 활용,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자료상황의 활용의 관점에서 50% 연계율을 보였다. 공통과목인 수학Ⅰ과 수학Ⅱ는 각각 6문항씩 총 12문항이 연계되었고,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는 각각 3문항씩 연계되어 EBS 수능 연계교재를 통해 다루어진 핵심 개념과 원리를 묻는 문항들이 다수 출제되었다.</p>
<p>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까지 자주 출제되던 합답형 문항, 완성형 문항, 도형을 활용한 급수와 극한에 관련된 문항이 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는 출제되지 않았다.</p>
<br>
<p>이번에 치러진 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는 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다소 쉬운 수준에서 출제되었다. 고차원의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보다는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변별력이 있는 문항들이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에서 고루 출제되었으며, 특히 4점 문항 중에는 EBS 수능 연계교재 문항과 연계된 문항들이 다수 포함되어 연계 체감도는 높았을 것으로 판단된다.</p>
</li>
<li>
<strong class="title-major">2. 세부 출제 경향</strong>
<ol>
<li><strong class="title-third">1) 영역별 대표 문항</strong></li>
<li>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공통 (수학Ⅰ):<br>
22번 – 주어진 규칙에 따라 수열의 항들을 나열한 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의 첫째항을 구하는 문항으로서 수열의 항을 정확하게 나열할 수 있어야 한다.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공통 (수학Ⅱ):<br>
15번 – 정적분의 개념을 적용하여 함수의 조건이 어떤 의미와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후 함숫값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항으로 정적분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선택 (확률과 통계):<br>
30번 – 중복조합의 개념을 바탕으로 조건에 맞는 함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항으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함수를 정확하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선택 (미적분):<br>
30번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극한의 성질을 활용하여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으로 기본적인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사교육에서 반복하여 연습한 패턴화된 문제풀이 기술로 접근한다면 해결하기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기본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span>
<span style="display:block; padding-left:20px;">
선택 (기하):<br>
30번 – 쌍곡선과 평면벡터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벡터의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항으로 조건을 도형으로 나타내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span>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영역별 평가 특징</strong>
<p>공통과목 (수학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에서 4문항, 삼각함수에서 3문항, 수열에서 4문항으로 총 11문항이 출제되었다. 교육과정 및 EBS 수능 연계교재 중심의 출제가 이루어졌으며 단순 암기보다는 수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들이 출제되었다. 특히,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익히게 되는 방법들을 이용하면 조금 더 수월하게 풀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되었다. 과도하게 복잡한 문제해결 과정이 필요한 문항보다는 학교 수업을 충실히 따라 가면서 익힐 수 있는 기본 개념을 활용하거나 문제의 상황을 논리적으로 추론하면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20번 문항의 경우, 많은 계산보다는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고, 22번 문항의 경우는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정한 항을 구하는 문항이다. </p>
<p class="mag_t1">공통과목 (수학Ⅱ): 함수의 극한과 연속에서 2문항, 다항함수의 미분법에서 5문항, 다항함수의 적분법에서 4문항이 출제되었다. 함수의 극한이나 미분, 적분에서의 기본적인 개념과 계산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문항들이 출제되었고, 여러 개의 개념을 이용하면서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으로 실수를 유발할 수 있는 문항들이 배제되었으며, 개념과 원리를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끌어내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도 출제되었다. 출제된 주요 문항 중 21번은 사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찾는 문항이고 15번 문항은 정적분의 의미를 파악하여 주어진 조건을 해석하여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p>
<p class="mag_t1">선택과목 (확률과 통계): 경우의 수에서 4문항, 확률에서 4문항이 출제되었다.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의 수를 구하는 문항(23번)과 서로 다른 의자를 원형으로 배열하는 원순열을 이용한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항(27번), 다항식에서의 특정한 항의 계수를 구하는 이항계수 문항(25번), 중복조합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항(30번), 여사건과 배반사건의 관계를 이용하여 확률을 구하는 문항(24번), 중복순열과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구하는 문항(26번), 조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바탕으로 확률을 구하는 문항(28번), 조건에 해당하는 확률을 구하는 문항(29번)이 출제되었다. 그간 수능과 모의평가에서 자주 제시되었고, 학교교육과정과 성취수준에 맞는 대표적인 문항들로 출제되었으며, 학교교육과 EBS 수능 연계교재의 학습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로 출제되었다.</p>
<p class="mag_t1">선택과목 (미적분): 수열의 극한에서 3문항, 미분법에서 5문항이 출제되었다. 수열의 극한에서는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23번), 급수와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주어진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25번),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식을 정리한 후,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30번)이 출제되었고, 미분법에서는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의 미분계수를 구하는 문항(24번), 지수함수의 그래프에서 얻어진 도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지수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항(26번), 지수함수의 미분법과 주어진 식의 값이 최댓값이 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상수를 구하는 문항(27번)이 출제되었으며,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하는 문항(28번), 주어진 함수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가 되기 위한 조건을 이용하는 문항(29번)이 출제되었다. 복잡한 계산보다는 정확한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되었다.</p>
<p class="mag_t1">선택과목 (기하): 이차곡선에서 4문항, 평면벡터에서 4문항으로 각 단원별로 적절하게 안배된 8문항이 출제되었다. 이차곡선에서는 타원 위에 있는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문항(24번),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문항(26번), 타원과 포물선의 정의를 바탕으로 식을 구성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문항(27번), 주어진 곡선의 식이 타원과 쌍곡선임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는 문항(29번)이 출제되었다. 평면벡터에서는 벡터의 서로 같음을 이용하여 실수배에 포함된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문항(23번), 벡터로 나타낸 도형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의 크기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항(25번), 좌표평면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점에 대한 벡터의 내적을 구하는 문항(28번), 조건을 만족시키는 벡터의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항(30번)이 출제되었다.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 벡터와 그 내적을 적절히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과정 없이 해결할 수 있는 문항 위주로 출제되었다.</p>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3. 난이도</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총평</strong>
<p>
이번에 시행된 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는 2024학년도 수능과 비교하여 공통과목의 문항은 수학Ⅰ이 수학Ⅱ에 비해 변별력이 확보된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고, 선택과목의 문항은 2024학년도 수능과 비슷하게 출제되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성실히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익숙해 보이는 문항이 많이 보여 충분히 접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복잡한 연산이나 독특한 풀이 방법을 이용한 문항보다는 개념과 성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주어진 상황을 수학적으로 추론해야 하는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기 때문에 상위권 학생들의 변별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출제되었다.
</p>
</li>
</ol>
<ol>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과목별 세부 난이도</strong>
<li>
<strong class="title-third">1) 공통과목 (수학Ⅰ)</strong>
<p>
매우 까다로운 문항들은 배제되었지만 선발고사의 역할로서 학생들을 변별할 수 있는 난도 있고 참신한 문항들이 다수 출제되었다. 특히, 12번, 14번, 20번, 22번 문항은 수험생들의 높은 사고능력을 요하고 있지만 공교육 내에서 학습한 사고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12번 문항은 지수함수의 그래프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반면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는 로그함수의 그래프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EBS의 연계교재로 학습한 학생들은 충분히 접근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14번 문항은 로그의 진수조건과 로그의 성질을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의 합을 구하는 문항으로 공교육 내에서 학습한 개념과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20번 문항의 경우, 많은 계산보다는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으로 EBS 수능 연계교재로 학습한 학생들은 충분히 접근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22번 문항의 경우는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정한 항을 구하는 문항으로 기본적인 개념과 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내용으로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문항이며 공교육 내에서 학습한 학생도 해결할 수 있도록 출제되어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꾀하였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공통과목 (수학Ⅱ)</strong>
<p>
2024학년도 수능보다 변별력을 갖춘 문항수가 적게 출제되어 상대적으로 체감 난이도가 낮게 출제되었다. 2024학년도 수능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문제는 피하면서도 충분한 변별력을 갖춘 문항들이 출제되었다. 주요 출제 문항 중 15번 문항은 정적분의 의미를 파악하여 주어진 조건을 해석하여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으로, 주어진 조건이 낯설게 느껴지나 공교육 내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건의 의미를 충분히 파악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21번 문항 역시 사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찾는 문항으로 도함수와 부정적분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기존의 문제와는 달리 사차함수의 그래프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문항으로 중위권과 중상위권 학생들을 잘 변별해 주었을 것이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strong>
<p>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수준과 성취수준이 잘 반영된 각 단원의 대표 유형 문항들이 다수 포함되어졌기에 중상위권 수험생들에게는 다소 쉽게 느껴졌을 수 있다. 4점 문항 및 변별력을 갖춘 문항으로는 조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바탕으로 확률을 구하는 문항(28번)과 중복조합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항(30번)이다. 2024학년도 수능 30번에 비해 변별력을 보다 확보하여 확률과 통계와 다른 선택과목들과의 난도를 비슷하게 맞추어 출제되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4) 선택과목 (미적분)</strong>
<p>
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쉽게 출제되었다. 23번부터 25번까지는 기본적인 개념을 확인하는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26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그림을 이용하여, 해당 문항을 경험한 수험생들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7번, 28번, 29번도 비례나 역함수의 미분법 등을 활용하여 계산 과정을 줄이고 차분하게 접근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다. 정답률이 가장 낮았을 것으로 보이는 30번도 어려운 개념이 아니기에 어느 정도 수준이 있는 학생들은 높은 난도의 문항으로 느끼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의 문항이 중상위권 학생들도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문항들로 이번 미적분 과목은 참신하면서도 난도는 높지 않은 문항들로 출제되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5) 선택과목 (기하)</strong>
<p>
2024학년도 수능보다는 쉽게 출제되었다. 23번부터 26번까지는 이차곡선과 평면벡터의 정의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구할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었고, 27번과 29번은 약간의 난도가 있어 보이지만 그림을 그리고 이차곡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조건을 이해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고 평면벡터 문제인 28번이나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과 연계된 30번도 기본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은 문항으로 난도 역시 높지 않은 문항이 출제되어 기하를 선택한 상위권 학생들이 느끼는 체감 난도는 높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4. EBS 교재와의 연계성 분석</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연계표1: 공통과목(수학Ⅰ, 수학Ⅱ)</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1</th>
<td></td>
</tr>
<tr>
<th>2</th>
<td>수능특강 수학Ⅱ/38쪽/1번</td>
</tr>
<tr>
<th>3</th>
<td></td>
</tr>
<tr>
<th>4</th>
<td></td>
</tr>
<tr>
<th>5</th>
<td></td>
</tr>
<tr>
<th>6</th>
<td>수능특강 수학Ⅰ/43쪽/유제7</td>
</tr>
<tr>
<th>7</th>
<td>수능특강 수학Ⅱ/61쪽/유제4</td>
</tr>
<tr>
<th>8</th>
<td>수능특강 수학Ⅰ/79쪽/7번</td>
</tr>
<tr>
<th>9</th>
<td>수능특강 수학Ⅱ/25쪽/6번</td>
</tr>
<tr>
<th>10</th>
<td>수능특강 수학Ⅰ/65쪽/4번</td>
</tr>
<tr>
<th>11</th>
<td></td>
</tr>
<tr>
<th>12</th>
<td>수능특강 수학Ⅰ/34쪽/2번</td>
</tr>
<tr>
<th>13</th>
<td>수능특강 수학Ⅱ/98쪽/4번</td>
</tr>
<tr>
<th>14</th>
<td></td>
</tr>
<tr>
<th>15</th>
<td></td>
</tr>
<tr>
<th>16</th>
<td></td>
</tr>
<tr>
<th>17</th>
<td>수능특강 수학Ⅱ/73쪽/유제1</td>
</tr>
<tr>
<th>18</th>
<td>수능특강 수학Ⅰ/99쪽/5번</td>
</tr>
<tr>
<th>19</th>
<td>수능특강 수학Ⅱ/95쪽/예제4</td>
</tr>
<tr>
<th>20</th>
<td>수능특강 수학Ⅰ/51쪽/3번</td>
</tr>
<tr>
<th>21</th>
<td></td>
</tr>
<tr>
<th>22</th>
<td></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연계표2: 선택과목(확률과 통계)</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23</th>
<td></td>
</tr>
<tr>
<th>24</th>
<td>수능특강 확률과 통계/38쪽/3번</td>
</tr>
<tr>
<th>25</th>
<td></td>
</tr>
<tr>
<th>26</th>
<td></td>
</tr>
<tr>
<th>27</th>
<td>수능특강 확률과 통계/12쪽/2번</td>
</tr>
<tr>
<th>28</th>
<td>수능특강 확률과 통계/42쪽/2번</td>
</tr>
<tr>
<th>29</th>
<td></td>
</tr>
<tr>
<th>30</th>
<td></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다. 연계표3: 선택과목(미적분)</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23</th>
<td></td>
</tr>
<tr>
<th>24</th>
<td>수능특강 미적분/49쪽/유제8</td>
</tr>
<tr>
<th>25</th>
<td>수능특강 미적분/17쪽/유제3</td>
</tr>
<tr>
<th>26</th>
<td>수능특강 미적분/37쪽/2번</td>
</tr>
<tr>
<th>27</th>
<td></td>
</tr>
<tr>
<th>28</th>
<td></td>
</tr>
<tr>
<th>29</th>
<td></td>
</tr>
<tr>
<th>30</th>
<td></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라. 연계표4: 선택과목(기하)</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th>
</tr>
</thead>
<tbody>
<tr>
<th>23</th>
<td></td>
</tr>
<tr>
<th>24</th>
<td>수능특강 기하/35쪽/7번</td>
</tr>
<tr>
<th>25</th>
<td>수능특강 기하/65쪽/8번</td>
</tr>
<tr>
<th>26</th>
<td></td>
</tr>
<tr>
<th>27</th>
<td></td>
</tr>
<tr>
<th>28</th>
<td></td>
</tr>
<tr>
<th>29</th>
<td></td>
</tr>
<tr>
<th>30</th>
<td>수능특강 기하/54쪽/3번</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마. 연계 체감도</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된 문항의 문제 상황, 문제 해결 방법 등이 적절히 활용되어 목표한 연계율을 충족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연계교재에 있는 문항을 축소・확대・변형한 경우, 유사한 개념・원리를 활용하여 연계교재에서 다루었던 문제 해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표, 그래프, 도형과 같은 유사한 자료 상황을 활용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EBS 수능 연계교재를 성실히 공부한 학생들은 문항을 접했을 때 익숙함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월함을 느꼈을 것으로 판단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바. 연계유형</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된 문항은 총 15문항씩(공통과목 수학Ⅰ, 수학Ⅱ 12문항,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각 3문항씩)으로 50%에 해당한다. 수학Ⅰ에서 8번, 18번은 개념・원리의 활용, 6번, 10번, 20번은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유형, 12번은 자료상황의 활용으로 볼 수 있다. 수학Ⅱ에서 9번, 17번은 개념・원리의 활용, 2번, 7번, 19번은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유형, 13번은 자료 상황의 활용으로 볼 수 있다. 확률과 통계에서 24번은 개념・원리의 활용, 27번, 28번은 자료상황의 활용으로 볼 수 있다. 미적분에서 24번, 25번은 개념・원리의 활용, 26번은 자료상황의 활용으로 볼 수 있다. 기하에서 24번은 개념・원리의 활용, 25번, 30번은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유형으로 볼 수 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사. 유형별 세부 분석</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공통과목 (수학Ⅰ)</strong>
<p>수학Ⅰ 영역은 총 11개 문항 중 6개의 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수학Ⅰ의 성취기준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EBS 연계교재를 성실히 학습하였다면 해결 가능한 교육과정 내의 문항들로 출제되었다.</p>
<p>① 6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43쪽 유제 7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해하여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는 문항으로 연계교재보다 간단한 형태로 출제되었고,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② 8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79쪽 7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등비수열의 공비를 구하는 문항으로 개념・원리의 활용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③ 10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65쪽 4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항으로 연계교재에서는 삼각형의 넓이를 주고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였다면 10번 문항은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주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항으로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④ 12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34쪽 2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지수함수의 그래프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항으로 연계교재에서는 로그함수의 그래프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항과 자료・상황의 활용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⑤ 18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99쪽 5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시그마의 성질을 이용하는 문항으로 개념・원리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⑥ 20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Ⅰ 51쪽 3번 문항과 연계되었다. 많은 계산보다는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항으로 연계교재에서 제시한 삼각함수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교점의 개수를 구하는 과정이 동일한 문항으로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공통과목 (수학Ⅱ)</strong>
<p>수학Ⅱ 영역은 총 11개 문항 중 6개의 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에서 연계되었다.</p>
<p>① 2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38쪽 1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묻는 문항으로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② 7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61쪽 유제 4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도함수의 활용에서 연계교재와는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에서만 차이가 있는 문항으로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③ 9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25쪽 6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구간으로 정의된 함수에서 연속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을 찾는 문항으로 연계교재와 해결하는 방법이 동일하다는 면에서 개념・원리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④ 13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98쪽 4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매우 유사하여 연계 체감도가 높은 문항으로 자료・상황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 </p>
<p>⑤ 17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73쪽 유제1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부정적분을 구하는 문항으로 개념・원리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 </p>
<p>⑥ 19번 문항은 수능특강 수학Ⅱ 95쪽 예제4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으로 문항의 축소・확대・변형의 관점에서 연계 체감도가 높은 문항이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strong>
<p>확률과 통계 영역은 총 8개의 문항 중 3개의 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에서 연계되었다.</p>
<p>① 24번 문항은 수능특강 확률과 통계 38쪽 3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배반사건에서 확률을 구하는 과정이 같은 문항으로 개념・원리의 활용의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② 27번 문항은 수능특강 확률과 통계 12쪽 2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 상황을 활용하여 구성된 문항으로 연계 체감도가 매우 높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자료·상황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p>③ 28번 문항은 수능특강 확률과 통계 42쪽 2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 상황을 활용하여 구성된 문항으로 해결과정이 매우 유사하다고 판단되며 자료・상황의 활용 관점에서 연계되었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4) 선택과목 (미적분)</strong>
<p>미적분 영역은 총 8개의 문항 중 3개의 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에서 연계되었다.</p>
<p>① 24번 문항은 수능특강 미적분 49쪽 유제8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와 유사하게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음함수의 식으로 나타내었으며,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부분만 활용하여 수능특강보다 간단한 문항으로, 개념・원리의 활용 유형으로 연계되었다. </p>
<p>② 25번 문항은 수능특강 미적분 17쪽 유제3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에서는 급수가 수렴할 때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성질을 2개의 수열에 적용하여 해결하였지만 오히려 6월 모의평가에서는 하나의 수열에만 적용하여 구하는 문제로 계산이나 생각의 양을 줄여 출제되었으며, 개념・원리의 활용 유형으로 연계되었다.</p>
<p>③ 26번 문항은 수능특강 미적분 37쪽 2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와 유사한 함수, 같은 그림으로, 도형을 나타내는 함수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6월 모의평가에 주어진 함수가 조금 더 어렵지만 답을 구하는 과정과 방법이 연계교재와 같아서 EBS에서 학습한 학생들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으로 보이며, 자료・상황의 활용 유형으로 연계되었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5) 선택과목 (기하)</strong>
<p>기하 영역은 총 8개의 문항 중 3개의 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의 문항에서 연계되었다.</p>
<p>① 24번 문항은 수능특강 기하 35쪽 7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의 쌍곡선이 6월 모의 평가에서는 타원으로, 접선의 기울기가 곡선 위의 한 점으로 변형되어 출제되었으며 학교 교육과정 중에나 EBS에서 많이 연습한 문제로 대부분의 수험생이 충분히 접근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개념・원리의 활용 유형으로 연계되었다.</p>
<p>② 25번 문항은 수능특강 기하 65쪽 8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연계교재와 6월 모의평가 문항이 모든 면에서 완전히 일치하는 문항이다. 연계교재에서는 점을 주고 위치벡터를 정의하여 벡터로 나타낸 도형을 이용하고 해결하는 문제인 반면 6월 모의평가에서는 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내어 구하는 문항이다. 조건의 식이나 질문하는 식, 풀이 방법이 똑같아서 연계 체감도가 매③ 30번 문항은 수능특강 54쪽 3번 문항에서 연계되었다. 벡터의 성질을 이용하여 세 점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고, 이차곡선 위의 점이 비례식에 의해서 변화되는 과정을 이해하여 푸는 문제로 연계교재와 6월 모의평가의 해결 원리와 방법이 일치한다. 또한, 주어진 조건 역시 벡터의 서로 같음의 형식과 이차곡선을 이용하였으며 연계교재에서는 타원의 식을 제시하고 있는데 반하여 6월 모의평가에서는 쌍곡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문제가 구성되고 있다는 점만 다르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느꼈을 연계 체감도가 높아 EBS로 학습한 학생들은 충분히 접근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문항의 축소・확대・변형 유형으로 연계되었다.</p>
</li>
</ol>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5. 대표 연계 문항</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공통과목 (수학Ⅰ, 수학Ⅱ)</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6월 모의평가(공통과목) 20번</th>
<th scope="col">EBS 교재「수능특강 수학Ⅰ」51쪽 3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1.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2.png">
</td>
</tr>
<tr>
<th scope="col">6월 모의평가(공통과목) 13번</th>
<th scope="col">EBS 교재「수능특강 수학Ⅰ」51쪽 3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4.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3.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5.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2)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6월 모의평가(확률과 통계) 28번</th>
<th scope="col">EBS 교재 「수능특강 확률과 통계」 42쪽 2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6.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7.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3) 선택과목 (미적분)</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6월 모의평가(미적분) 26번</th>
<th scope="col">EBS 교재 「수능특강 미적분」 37쪽 2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8.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09.png"><br>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10.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4) 선택과목 (기하)</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6월 모의평가(기하) 30번</th>
<th scope="col">EBS 교재 「수능특강 기하」 54쪽 3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11.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math/img01_12.png">
</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div>
<!-- //수학 -->
<!-- 영어 -->
<div class="cont cont3" id="content-3" style="display:none">
<div class="contents">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3교시 영어 영역
</h3>
<ol>
<li>
<strong class="title-major">1. 출제 경향</strong>
<ol>
<li>
<div class="gray_box">
<p class="color-blue" style="margin-left:-3rem;">※ 출제 경향 특징 4가지</p>
<ol class="listAuto">
<li>작년 수능과 대체로 비슷하게 출제</li>
<li>일상적이고 친숙한 소재의 지문 제시 및 매력적인 오답 선택지로 변별력 확보 </li>
<li>최근의 출제(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 경향을 그대로 유지</li>
<li>EBS 연계 정책을 충실히 반영하여 EBS 교재에서 50% 이상 연계하여 출제</li>
</ol>
</div>
</li>
</ol>
<p>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영어영역은 듣기 17문항, 읽기 28문항으로 출제되었으며, 소위 ‘킬러문항’의 요소는 배제하였다. 문제풀이 기술에 의존하기보다 공교육을 통해 지문을 충실하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수험생들이 정답을 맞힐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문항에서 매력적인 오답 선택지와 참신한 정답 배치를 통해 변별력을 확보하였다.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기본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영역에서 다양한 소재의 글과 대화가 제시되었고, 영어로 소통하는 데 필요한 어휘 및 문법 능력, 사실적 이해력, 추론적 이해력, 종합적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들이 고루 출제되었다.</p>
<p>EBS 수능 연계교재와는 53.3%(24문항)가 연계되었는데, 듣기 및 말하기 문항의 경우 EBS 수능 연계교재에 나온 대화·담화를 재구성하거나 소재와 그림 등을 활용하여 17문항 모두 출제되었고, 읽기와 쓰기 문항의 경우에는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지문 내용과 도표 등을 활용한 문항이 7개 출제되었다. 영어 표현을 우리말로 번역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지나치게 추상적인 내용의 지문은 배제하고, 21번(함축적 의미 추론), 24번(제목 추론), 34번(빈칸 추론), 36번(글의 순서), 39번(문장 삽입) 등의 문항들로 상위권 수험생들을 변별하면서도 듣기 영역의 연계율을 높여 하위권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하였다.</p>
<br>
<p>작년 수능과 대체로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위 ‘킬러문항’의 출제는 배제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유형에서 출제된 일부 문항들로 변별력을 확보하였다. 기계적인 문제풀이 방식을 적용하여 답을 찾는 대신 지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답을 추론해야 하는 문제가 상당수 있어, 수험생이 시간 조절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예상된다.</p>
</li>
<li>
<strong class="title-major">2. 세부 출제 경향</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듣기 및 말하기</strong>
<p>
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와 문항 수는 동일하였고(17문항), 문항 유형 역시 그대로 유지되었다. 듣기·말하기 영역의 17개 문항 중, 듣기 문항이 12개, 간접 말하기 문항이 5개 출제되었다. 듣기 문항은 대화나 담화의 목적, 의견, 요지에 대한 추론적·종합적 이해력을 평가하는 문항이 3개, 그림이나 대화·담화 내용 일치, 언급되지 않은 것, 지불할 금액 등과 같은 사실적 이해를 평가하는 문항이 7개, 그리고 1담화 2문항 한 세트의 복합 이해 문항이 출제되었다. 간접 말하기 문항은 짧은 대화의 응답 2문항과 긴 대화의 응답 2문항, 상황에 적절한 말 1문항이 출제되었다. 17개 문항 모두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되어 출제되었으며,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의 대화 및 담화를 제시함으로써 수험생의 듣기 시험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어법 및 어휘</strong>
<p>
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어법 1문항, 어휘 2문항이 출제되었으며, 어법(29번) 문항과 어휘(30번, 42번) 문항은 모두 밑줄 친 부분 중 잘못 사용된 것을 찾는 유형으로 출제되었다. 어법(29번) 문항은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주어와 동사의 능동·수동 관계, 관계부사 where의 사용, 지시대명사 them의 사용, 전치사 뒤에 이어지는 동명사의 사용 등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어법 요소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어휘 문항은 전체적인 글의 흐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문맥에 적절하지 않은 어휘를 고르는 문항으로 밑줄 친 선택지 어휘 중 정답에 해당하는 어휘의 수준은 다소 평이했으나 맥락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경우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읽기 및 쓰기</strong>
<p>이번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과 비슷하게 출제되었다. 관념적이거나 추상적인 소재보다 친숙한 소재를 활용한 지문이 사용되었으나 전체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문항의 출제로 변별력을 확보하였다. 읽기 문항은 대의를 파악하는 문항 유형(목적, 심경 변화, 주장, 함축적 의미 추론, 요지·주제·제목 추론)이 7개, 도표와 실용문을 포함하여 세부 정보를 파악하는 문항 유형(내용 일치·불일치)이 4개 출제되었다. 대의 파악 유형은 비연계로 출제되었으나, 세부 정보 파악 유형은 4개 문항이 모두 연계되었다. 빈칸 추론 문항은 빈칸이 ‘단어’인 문항 1개(31번), 그리고 ‘긴 어구’인 문항 3개(32~34번)가 출제되었는데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었다. 간접 쓰기 유형은 무관한 문장 1개, 글의 순서 2개, 문장 삽입 2개, 그리고 문단 요약 문항 1개가 출제되었는데 이 또한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었다. </p>
<p>1지문 2문항 장문 독해(비연계)와 1지문 3문항 장문 독해(연계)가 한 세트씩 출제되었다. 1지문 2문항은 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와 마찬가지로 제목 추론과 어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1지문 3문항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평이한 수준의 지문이 제시되었다. 1지문 3문항의 경우 EBS 문항과 소재가 유사한 지문을 활용하여 간접 연계 방식으로 출제되었다.</p>
<p>문항 유형은 새로운 유형 없이 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의 유형을 그대로 따랐고,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글감이 고루 출제되었다.</p>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3. 난이도</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총평</strong>
<p>
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는 작년 수능과 대체로 비슷하게 출제되었다. 모든 문항 유형과 순서가 그대로 유지되어 낯선 유형으로부터 수험생이 받을 수 있는 부담감을 경감시킨 것으로 보인다. 듣기 및 말하기 영역의 경우, 3점 문항으로 출제된 문항 모두가 간접 말하기 유형으로, 흔히 3점으로 출제되는 숫자 정보(6번) 문항 대신 짧은 대화의 응답(11번) 문항이 3점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나머지 문항 또한 EBS 듣기 문항의 소재와 연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친숙한 소재와 적절한 수준의 어휘 사용으로 충분히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어법 및 어휘에서는 글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어법 사항을 기계적으로 암기하여 답을 찾고자 한 수험생은 다소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휘(30번) 문항은 정답에 해당하는 밑줄의 어휘가 난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지만, 지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읽기 및 쓰기에서는 함축적 의미 추론(21번), 제목 추론(24번) 문항이 지문의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사고를 동시에 요하는 문항으로 변별력을 유지한 것으로 판단되며, 빈칸 추론(31번, 34번) 문항은 내용이나 글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지 못한 수험생은 문항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 예상되어 상위권과 중위권 수험생을 가려내는 문항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머지 문항의 경우 친숙한 소재와 적절한 수준의 문장 구조로 교육과정 내에서 문항을 해결할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ol>
<ol>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파트별 세부 난이도</strong>
<li>
<strong class="title-third">1) 듣기 및 말하기</strong>
<p>작년 수능 및 9월 모의평가의 문항을 비교하였을 때 그 유형과 순서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듣기 및 말하기에 배정되는 3점 문항도 세 문항이 유지되었으나, 이번 모의평가에서는 숫자 정보(6번) 문항 대신 짧은 대화의 응답(11번) 문항이 3점으로 출제되면서, 긴 대화의 응답(14번) 문항과 상황에 적절한 말(15번) 문항을 포함하여 3점 문항 모두가 말하기 영역에서 출제되었다. </p>
<p>이전에 변별력이 높은 유형으로 평가되었던 숫자 정보(6번) 문항 대신 출제된 짧은 대화의 응답(11번) 문항은 숙소 예약을 미룰 것인지에 대한 대화로 교육과정 내에서 충분히 다루어졌던 어휘가 사용되어, 3점 문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험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긴 대화의 응답(14번)과 상황에 적절한 말(15번) 문항의 경우 각각 약국에서 안약을 구매하는 상황과, 캠핑을 마친 후 아버지가 딸에게 요청하는 상황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2025학년도 수능특강 영어듣기 문항의 소재와 긴밀하게 연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험생들에게 일상적이고 친숙한 상황을 묘사하였으므로 하위권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을 덜어주었을 것으로 보인다.</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어법 및 어휘</strong>
<p>
어법(29번)과 어휘(30번, 42번) 문항은 모두 밑줄 친 부분 중 잘못 사용된 것을 찾는 유형으로 출제되었다. 어법(29번) 문항은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주어와 동사의 능동·수동 관계, 관계부사 where의 사용, 지시대명사 them의 사용, 전치사 뒤에 이어지는 동명사의 사용 등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어법 요소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30번(내재화를 위한 자율성 강화)과 42번(윤리적 사고를 위한 개인적 요인의 이해)은 글을 읽고 문맥상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어휘를 찾아내는 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p>
<p>
어법(29번) 문항은 밑줄 친 다섯 개의 선택지 중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유형으로, 글의 내용을 꼼꼼하게 해석하지 못한 수험생들은 주어(students)와 동사(give)의 서술관계에서 내용상 어색함을 파악하지 못하여 정답을 찾는 데 다소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휘 유형인 30번과 42번은 모두 정답에 해당하는 밑줄의 어휘의 난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지만, 지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는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읽기 및 쓰기</strong>
<p>
작년 수능과 비슷하게 출제되었으며, 전체 내용을 매우 정확하게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변별력 높은 문항들이 출제되어 수험생의 입장에서 전반적으로 쉽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의 파악 유형의 경우 목적(18번), 심경 변화(19번), 요지(22번), 주제(23번) 문항은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되었지만, 무난하게 풀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었던 주장(20번) 문항에서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지문 내의 핵심어들이 모든 선택지에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문제 해결에 있어 각 선택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요구하는, 난도가 다소 높은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함축적 의미 추론(21번), 제목 추론(24번) 문항은 지문의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사고를 동시에 요하는 문항으로 변별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p>
<p>
빈칸 추론(31~34번)의 경우 4개 문항은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었는데, 32번과 33번은 비연계 문항이기는 하나 지문의 핵심내용을 잘 파악하면 무난하게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추론할 수 있는 문항이라 판단된다. 디지털 정보 보존에 있어 물리적 매체의 중요성 감소를 다룬 31번과, 개인의 음악적 행동과 인식의 차이 및 공통점에 관한 34번은 모두 비연계 문항으로 내용 및 논리적 관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 예상되어 상위권과 중위권 수험생을 가려내는 문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p>
<p>
간접 쓰기 유형은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었고 비교적 무난하게 풀 수 있는 다소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되었다. 다만, 글의 순서(36번), 문장 삽입(39번) 문항은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글의 흐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만 풀 수 있도록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장문 독해(41~42번, 43~45번) 문항은 예년과 유형 및 난이도에 있어서 큰 변화 없이 무난하게 출제된 것으로 판단된다.
</p>
</li>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4. EBS 교재와의 연계성 분석</strong>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10%">
<col width="3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 rowspan="2">유형</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쪽수/문항번호(유형)</th>
</tr>
</thead>
<tbody>
<tr>
<th>1</th>
<td>목적</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04/16강/1번/언급유무</td>
</tr>
<tr>
<th>2</th>
<td>의견 파악</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42/20강/2번/요지</td>
</tr>
<tr>
<th>3</th>
<td>요지 파악</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34/5강/3번/할일</td>
</tr>
<tr>
<th>4</th>
<td>그림 내용 일치</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51/8강/5번/그림 내용일치</td>
</tr>
<tr>
<th>5</th>
<td>할 일</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57/9강/5번/언급유무</td>
</tr>
<tr>
<th>6</th>
<td>숫자 정보</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46/7강/3번/이유</td>
</tr>
<tr>
<th>7</th>
<td>이유</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0/1강/2번/담화의 목적</td>
</tr>
<tr>
<th>8</th>
<td>언급 유무</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87/26강/5번/할일</td>
</tr>
<tr>
<th>9</th>
<td>내용 불일치</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63/22강/6번/숫자정보</td>
</tr>
<tr>
<th>10</th>
<td>도표</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81/25강/4번/그림 내용일치</td>
</tr>
<tr>
<th>11</th>
<td>짧은 대화의 응답</td>
<td>수능특강/영어듣기/113p/17강/4번/할일</td>
</tr>
<tr>
<th>12</th>
<td>짧은 대화의 응답</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47/7강/4번/이유</td>
</tr>
<tr>
<th>13</th>
<td>긴 대화의 응답</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22/3강/2번/관계</td>
</tr>
<tr>
<th>14</th>
<td>긴 대화의 응답</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23/18강/5번/숫자정보</td>
</tr>
<tr>
<th>15</th>
<td>상황에 적절한 말</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35/19강/11번/긴 대화 응답(간접말하기)</td>
</tr>
<tr>
<th>16~17</th>
<td>1담화 2문항</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56/9강/2번/언급유무</td>
</tr>
<tr>
<th>25</th>
<td>도표</td>
<td>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p.209/Mini Test 3/8번/자율주행 자동차 안정성에 (관한 의견) 대한 소비자의 인식</td>
</tr>
<tr>
<th>26</th>
<td>내용 불일치</td>
<td>수능특강/영어/p.148/26강/1번/빈칸</td>
</tr>
<tr>
<th>27</th>
<td>실용문</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24/18강/8번/담화 내용일치 </td>
</tr>
<tr>
<th>28</th>
<td>실용문</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56/9강/3번/언급유무</td>
</tr>
<tr>
<th>43~45</th>
<td>1지문 3문항</td>
<td>수능특강/영어듣기/p.113/17강/6번/자매학교 방문 환영식 준비</td>
</tr>
</tbody>
</table>
</li>
<li>
<strong class="title-minor">가. 연계 체감도</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에 수록된 소재와 그림 및 도표가 골고루 활용되어 목표한 연계율을 적절히 충족한 것으로 보인다. 듣기 및 말하기의 경우, 연계 교재에서 등장한 대화나 담화의 소재나 내용 혹은 그림을 활용하여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를 일정 수준 확보해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어법 및 어휘 그리고 읽기 및 쓰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난도가 있다고 생각되는 유형의 문항들은 비연계로 출제되어서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는 그리 높지는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나. 연계 유형</strong>
<p>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된 문항은 총 24문항으로 약 53.3%에 해당한다. 듣기 및 말하기의 모든 문항에서 EBS 수능 연계교재 대화문과 담화문의 소재와 그림이 활용되었고, 읽기 문항에서도 EBS 수능 연계교재의 듣기 문항에서 다룬 소재가 변형되어 제시되었다. 2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 중 요지 파악 듣기 문항과 거의 흡사한 소재(자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용도로서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의견을 묻는 유형으로 출제되었고, 4번과 10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의 그림이 활용되었다. 또한 말하기 유형의 문항 중 12번과 13번은 EBS 수능 연계교재와 상당히 유사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는 점도 수험생들의 연계 체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6번 내용 불일치 문항에서는 Will Rogers에 관한 글이 지문으로 제시되었고, 두 개의 실용문 문항인 27번과 28번에서는 EBS 수능 연계교재 듣기 문항과 유사한 소재를 실용문으로 변형하여 연계되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minor">다. 파트별 세부 분석</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듣기 및 말하기</strong>
<p>
듣기·말하기 유형의 모든 문항(총 17문항)이 EBS 수능 연계교재와 연계되어 출제되었는데, 모두 <수능특강(영어듣기)>에서 연계되었다. 예를 들어, 2번은 20강 1번 문항과 거의 흡사한 소재(자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용도로서의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의견을 묻는 유형으로 출제되었고, 4번은 8강 5번의 그림이, 10번은 25강 4번의 그림이 활용되었으며, 말하기 유형의 문항들 중 12번은 7강 4번과, 13번은 3강 2번과 상당히 유사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2) 대의 파악(목적, 심경 변화, 주장, 함축적 의미 추론, 요지, 주제, 제목)</strong>
<p>
해당 유형은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어 수험생이 체감하는 난도가 기존의 대의 파악 문항에 비해 다소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번 주장 문항과 22번 요지 문항은 우리말 선지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문항으로, 지문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고도 정답을 선택하는 데 시간이 평소보다 더 소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21번 함축적 의미 추론과 23번 주제 추론은 2점 문항으로 번아웃(burnout)과 음식광고와 같은 현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소재를 다룬 지문이 출제되었다. 3점으로 배정된 24번 제목 추론 문항은 글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충실하게 이해하며 읽어야만 대의 파악이 가능하고, 은유적이면서 함축적인 제목을 추론해야 하므로 상위권과 중위권 수험생들 사이의 변별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3) 도표, 내용 불일치, 실용문</strong>
<p>
도표 문항에서는 <수능특강(영어독해연습)> Mini Test 3 8번의 도표 형식을 연계하여 독서가 취미라고 응답한 사람들에 대한 국가별 그리고 성별 비율을 다룬 도표 문항을 출제하였다. 26번 내용 불일치 문항은 <수능특강(영어)> 26강 1번 문항 지문에 등장하는 Will Rogers에 관한 글이 지문으로 제시되었다. 두 개의 실용문 문항은 모두 <수능특강(영어듣기)>에서 등장한 소재를 활용하여 읽기 문항으로 변형되었는데 27번은 18강 8번에서, 28번 문항은 9강 3번에서 다룬 소재와 유사한 내용의 실용문으로 출제되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4) 어법 및 어휘</strong>
<p>
29번 어법 문항(2점)과 30번 어휘 문항(3점)은 모두 비연계 문항으로 출제되었다. 29번 어법 문항은 다양한 주요 어법 요소를 묻고 있으면서도 지문의 내용을 함께 이해해야 정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기계적인 문제 풀이 방식에 익숙한 수험생이라면 오히려 오답을 정답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다소 보인다. 30번 어휘 문항은 내재화를 위한 자율성 강화에 관한 지문이 사용되었고, 글의 흐름에 대한 정확하고 종합적인 이해를 토대로 문맥에 적절하지 않은 어휘를 선택하는 문항이었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5) 빈칸 추론</strong>
<p>
올해는 빈칸 추론 4개 문항이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었다. 31번과 32번 문항은 2점 문항으로, 빈칸 문장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등장하는 어휘와 소재 또한 친숙하다. 충실하게 이해하며 지문을 읽은 수험생은 지문의 중심 생각을 파악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고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충분히 추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3번은 3점 문항으로 주변 환경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다룬 글이 출제되었고, 문항 해결에 있어서 지문 내용과 각 선지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문항이다. 마찬가지로 3점으로 배정된 34번은 지문의 중심 내용과 글의 흐름을 논리적으로 파악해야 하므로 상위권과 중위권 수험생들 사이의 변별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p>
</li>
<li>
<strong class="title-third">6) 쓰기(무관한 문장, 글의 순서, 문장 삽입)</strong>
<p>
해당 유형은 모두 비연계로 출제되어 수험생이 체감하는 난도가 다소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36번은 글의 순서 문항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들불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두 집단에 관한 내용의 지문이 사용되었다. 글 (A), (B), (C)가 모두 후자 집단인 stockmen의 사례를 말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해야 하므로 순서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적·의미적 단서들을 논리적 흐름에 맞게 종합해야만 정답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9번의 경우, 두 개의 다른 예술 사조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실용주의적 태도와 미학적 태도를 소개하는 심도 깊은 내용의 지문이 사용되었다. 표면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은 주어진 문장의 This active involvement가 가리키는 바를 논리적 흐름을 따라 정확히 이해해야 정답을 고를 수 있다는 점에서 수험생이 체감하는 난도가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p>
</li>
</ol>
</li>
</ol>
</li>
<li>
<strong class="title-major">5. 대표 연계 문항</strong>
<ol>
<li>
<strong class="title-third">1) 2번: 수능특강(영어듣기) 20강 2번의 담화 주제를 활용하여 의견 파악 문항으로 출제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2번</th>
<th scope="col">수능특강(영어듣기) 20강 2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1.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2.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2) 4번: 수능특강(영어듣기) 8강 5번의 그림과 유사한 그림이 제시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4번</th>
<th scope="col">수능특강(영어듣기) 8강 5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3.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4.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3) 10번: 수능특강(영어듣기) 25강 4번 그림에서 등장한 소품을 소재로 도표 문항이 출제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10번</th>
<th scope="col">수능특강(영어듣기) 25강 4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5.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6.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4) 27번: 수능특강(영어듣기) 18강 8번 내용 불일치 듣기 문항이 유사한 소재를 다룬 동일 유형의 읽기 문항으로 변형되어 출제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27번</th>
<th scope="col">수능특강(영어듣기) 18강 8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7.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8.png">
</td>
</tr>
</tbody>
</table>
<strong class="title-third">5) 28번: 수능특강(영어듣기) 9강 3번 언급 유무 듣기 문항의 소재가 내용 불일치 읽기 문항의 실용문으로 변형되어 제시됨</strong>
<table>
<colgroup>
<col width="50%"><col width="50%">
</colgroup>
<tbody>
<tr>
<th scope="col">28번</th>
<th scope="col">수능특강(영어듣기) 9강 3번</th>
</tr>
<tr>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09.png">
</td>
<td style="vertical-align: top">
<img alt="문항" src="https://www.ebsi.co.kr/ebs/public_hsp/html/html_working/hakpyeongFull/2024/0604_fullservice/images/cAnaly/eng/img01_10.png">
</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div>
<!-- //영어 -->
<!-- 한국사 -->
<div class="cont cont4" id="content-4" style="display:none;">
<div class="contents">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4교시 한국사 영역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p.10/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36/1번</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50/병인양요</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p.54/자료탐구</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p.55/자료탐구</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91/2번</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p.107/자료탐구</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p.173/13번</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p.129/8번</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 특강/p.142/남북 화해·협력을 위한 노력</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div>
<!-- //한국사 -->
<!-- 사회탐구-->
<div class="cont cont5" id="content-5"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show" id="tabs-51">[생활과윤리]</a></li>
<li><a href="#none;" id="tabs-52">[윤리와사상]</a></li>
<li><a href="#none;" id="tabs-53">[한국지리]</a></li>
<li><a href="#none;" id="tabs-54">[세계지리]</a></li>
<li><a href="#none;" id="tabs-55">[세계사]</a></li>
<li><a href="#none;" id="tabs-56">[동아시아사]</a></li>
<li><a href="#none;" id="tabs-57">[사회‧문화]</a></li>
<li><a href="#none;" id="tabs-58">[경제]</a></li>
<li><a href="#none;" id="tabs-59">[정치와법]</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생활과윤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1">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생활과 윤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3/3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p.24/자료플러스</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103/3번</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90/4번</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37/2, 3</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169/6번</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p.146/4번</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95/7번</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p.66/1,4</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76, 77/자료플러스</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생활과윤리 -->
<!-- 윤리와사상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윤리와 사상)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80/2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p.52/자료플러스</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p.23/3번</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112/4번</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33/5번</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112/1번</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p.62/자료플러스</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162/5번</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91/1번</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148/3번</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윤리와사상 -->
<!-- 한국지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한국지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0/3번</td>
</tr>
<tr>
<td>2</td>
<td>수능 특강/p.37/3번</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p.35/7번</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79/4번</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60/1번</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26/2번</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157/3번</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p.100/탐구활동</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p.101/4번</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 특강/p.85/2번</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한국지리 -->
<!-- 세계지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4"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세계지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1/3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p.16/7번</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38/건조 기후 지역의 지형</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p.99/5번</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20/자료분석</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86/3번</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144/8번</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113/4번</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p.79/1번</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144/6번</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세계지리 -->
<!-- 세계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5"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세계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1/1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p.21/2번</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78/1번</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116/자료플러스</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p.45/3번, 수능 특강/p.47/2번</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75/절대왕정</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22/8번</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48/4번</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122/3번</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100/7월 혁명</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세계사 -->
<!-- 동아시아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6"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동아시아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 특강/p.29/4번</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p.12/한의 발전</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73/자료 플러스</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p.52/6번</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p.63/자료 플러스</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80/6번</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96/1번</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90/대일본 제국 헌법</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p.127/2번</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p.130/8번</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동아시아사 -->
<!-- 사회·문화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7"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사회ㆍ문화)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4/1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74/2번</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p.94/1번</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p.154/2번</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122/4번</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p.64/1번</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p.164/3번</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144/6번</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160/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td>
</tr>
<tr>
<td>20</td>
<td>수능 특강/p.165/5번</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사회·문화 -->
<!-- 경제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8"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경제)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90/1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76/7번</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p.60/6번</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p.162/1번</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p.16/5번</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156/1번</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124/2번</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p.50/7번</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p.134/4번</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p.94/9번</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경제 -->
<!-- 정치와법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59"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사회탐구 영역 (정치와법)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p.12/1번</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p.47-48/법원</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p.56-57/우리나라의 지방 자치 단체</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p.48/헌법 재판소</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p.43/3번</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p.100/7번</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p.124/6번, 수능 특강/p.129/불기소 처분</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p.99/2번</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p.144/8번</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p.137/3번</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정치와법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사회탐구 -->
<!-- 과학탐구 -->
<div class="cont cont6" id="content-6"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show" id="tabs-61">[물리학I]</a></li>
<li><a href="#none;" id="tabs-62">[물리학II]</a></li>
<li><a href="#none;" id="tabs-63">[화학I]</a></li>
<li><a href="#none;" id="tabs-64">[화학II]</a></li>
<li><a href="#none;" id="tabs-65">[생명과학I]</a></li>
<li><a href="#none;" id="tabs-66">[생명과학II]</a></li>
<li><a href="#none;" id="tabs-67">[지구과학I]</a></li>
<li><a href="#none;" id="tabs-68">[지구과학II]</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물리학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1">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물리학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111/11</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84/핵반응</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29/1</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41/2</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116/5</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193/11</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44/7</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167/9</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142/4</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 특강/31/19</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물리학I -->
<!-- 물리학I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물리학I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52/등가 원리</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104/5</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80/10</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83/16</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57/8</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33/12</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149/9</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119/3</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76/1</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95/2</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물리학II -->
<!-- 화학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화학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 특강/116/결합의 종류에 따른 물질의 성질 비교</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41/2</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140/6</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154/2</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102/4</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59/5</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189/7</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 특강/169/11</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32/12</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175/11</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화학I -->
<!-- 화학I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4"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화학I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 특강/33/2</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104/6</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123/6</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39/8</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73/헤스 법칙</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99/10</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111/19</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16/6</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54/8</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141/11</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화학II -->
<!-- 생명과학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5"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생명과학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 특강/80/8</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126/12</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10/연역적 탐구 방법</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119/9</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85/4</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124/7</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144/8, 수능 특강/146/12</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54/7</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175/1</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177/6</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생명과학I -->
<!-- 생명과학I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6"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생명과학I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19/6</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41/6</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 특강/37/9</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4/미생물과 감염병에 관한 연구</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59/4</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91/7</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63/11</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76/11</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58/2</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 특강/129/3</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생명과학II -->
<!-- 지구과학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7"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지구과학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39-40/퇴적 구조</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179/6</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35/7, 수능 특강/36/9</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110/10</td>
</tr>
<tr>
<td>9</td>
<td>수능 특강/89/17</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 특강/196/11, 수능 특강/205/13</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 특강/159/23</td>
</tr>
<tr>
<td>14</td>
<td>수능 특강/136/10</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 특강/165/12</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66/4</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지구과학I -->
<!-- 지구과학I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8"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과학탐구 영역 (지구과학I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 특강/50/6</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 특강/54/6</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 특강/67/7</td>
</tr>
<tr>
<td>7</td>
<td>수능 특강/19/18</td>
</tr>
<tr>
<td>8</td>
<td>수능 특강/108/22</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 특강/18/15</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수능 특강/96/20</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 특강/69/13</td>
</tr>
<tr>
<td>16</td>
<td>수능 특강/124/편서풍 파동</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 특강/100/6</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지구과학II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과학탐구 -->
<!-- 직업탐구 -->
<div class="cont cont7" id="content-7"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show" id="tabs-69">[농업 기초 기술]</a></li>
<li><a href="#none;" id="tabs-70">[공업 일반]</a></li>
<li><a href="#none;" id="tabs-71">[상업 경제]</a></li>
<li><a href="#none;" id="tabs-72">[수산·해운 산업 기초]</a></li>
<li><a href="#none;" id="tabs-73">[인간 발달]</a></li>
<li><a href="#none;" id="tabs-74">[성공적인 직업 생활]</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농업 기초 기술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69">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농업 기초 기술)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5쪽(1강)/3번</td>
</tr>
<tr>
<td>2</td>
<td>수능특강/41쪽(6강)/3번</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99쪽(14강)/2번</td>
</tr>
<tr>
<td>5</td>
<td>수능특강/51쪽(8강)/비료의 종류</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특강/103쪽(15강)/제빵 원리</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32쪽(5강)/시설 재배 관리</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57쪽(8강)/7번</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131쪽(18강)/10번</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92쪽(13강)/6번</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7쪽(1강)/10번</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농업 기초 기술 -->
<!-- 공업 일반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0"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공업 일반)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143쪽(19강)/직업 세계</td>
</tr>
<tr>
<td>2</td>
<td>수능특강/78쪽(11강)/제조 현장 관리</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8쪽(1강)/7번</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특강/152쪽(20강)/4번</td>
</tr>
<tr>
<td>7</td>
<td>수능특강/114쪽(15강)/2번</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136쪽(18강)/자연환경 보전</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123쪽(16강)/4번</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43쪽(6강)/1번</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83쪽(11강)/10번</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83쪽(11강)/9번</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공업 일반 -->
<!-- 상업 경제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1"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상업 경제)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특강/27쪽(4강)/기업의 분류와 기업가 정신</td>
</tr>
<tr>
<td>3</td>
<td>수능특강/93쪽(12강)/11번</td>
</tr>
<tr>
<td>4</td>
<td>수능특강/3쪽(1강)/경제 활동의 객체</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특강/52쪽(7강)/4번</td>
</tr>
<tr>
<td>9</td>
<td>수능특강/20쪽(3강)/경제 발전과 경제 지표</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108쪽(14강)/6번</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81쪽(11강)/2번</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99쪽(13강)/3번</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67쪽(9강)/7번</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148쪽(20강)/11번</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상업 경제 -->
<!-- 수산·해운 산업 기초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수산·해운 산업 기초)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특강/102쪽(14강)/10번</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특강/136쪽(19강)/6번</td>
</tr>
<tr>
<td>6</td>
<td>수능특강/87쪽(12강)/8번</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37쪽(6강)/수중 정보 수집 기기</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90쪽(13강)/컨테이너 화물 조작장</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49쪽(7강)/5번</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130쪽(18강)/7번</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39쪽(6강)/멸치 권현망 어업</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5쪽(1강)/2번</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72쪽(10강)/4번</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수산·해운 산업 기초 -->
<!-- 인간 발달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인간 발달)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3∼4쪽(1강)/인간 발달 특성</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70쪽(9강)/1번</td>
</tr>
<tr>
<td>5</td>
<td>수능특강/118쪽(15강)/6번</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특강/38쪽(5강)/2번</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22쪽(3강)/8번</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8∼10쪽(2강)/정신 분석 이론</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79쪽(10강)/6번</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12쪽(2강)/밴듀라의 사회 학습 이론</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97쪽(13강)/마샤의 자아정체감 유형</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110쪽(14강)/2번</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인간 발달 -->
<!-- 성공적인 직업 생활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4"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직업탐구 영역 (성공적인 직업 생활)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102쪽(14강)/기업가 정신</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52쪽(7강)/6번</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특강/141쪽(19강)/6번</td>
</tr>
<tr>
<td>7</td>
<td>수능특강/81쪽(11강)/2번</td>
</tr>
<tr>
<td>8</td>
<td>수능특강/2쪽(1강)/직업 가치관</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45쪽(6강)/4번</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133쪽(18강)/7번</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31쪽(4강)/6번</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54쪽(8강)/직업 기초 능력의 종류</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90쪽(12강)/7번</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성공적인 직업 생활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직업탐구 -->
<!-- 제2외국어 / 한문 -->
<div class="cont cont8" id="content-8" style="display:none;">
<div class="wrap-tabs">
<ul class="tabss">
<li><a href="#none;" class="show" id="tabs-75">[독일어I]</a></li>
<li><a href="#none;" id="tabs-76">[프랑스어I]</a></li>
<li><a href="#none;" id="tabs-77">[스페인어I]</a></li>
<li><a href="#none;" id="tabs-78">[중국어I]</a></li>
<li><a href="#none;" id="tabs-79">[일본어I]</a></li>
<li><a href="#none;" id="tabs-80">[러시아어I]</a></li>
<li><a href="#none;" id="tabs-81">[아랍어I]</a></li>
<li><a href="#none;" id="tabs-82">[베트남어I]</a></li>
<li><a href="#none;" id="tabs-83">[한문I]</a></li>
</ul>
<!-- sub_panel_wrap -->
<div class="sub_panel_wrap">
<!-- 독일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5">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독일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7, 8/자음의 발음</td>
</tr>
<tr>
<td>2</td>
<td>수능특강/99, 111, 112/낱말의 철자</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특강/2/인사</td>
</tr>
<tr>
<td>7</td>
<td>수능특강/98/8(활동 빈도 묻기)</td>
</tr>
<tr>
<td>8</td>
<td>수능특강/82/제안하기</td>
</tr>
<tr>
<td>9</td>
<td>수능특강/89/7(표지판 이해하기)</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97/2(몸 상태 말하기)</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157/방 예약하기</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101/상품 문의 및 안내하기</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133, 134/집 내부 묘사하기</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172/12(날씨와 기후)</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115/8(계산서 요구하기)</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48/과목 선호도 표현하기</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td>
</tr>
<tr>
<td>23</td>
<td></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수능특강/81/12(지역사정)</td>
</tr>
<tr>
<td>27</td>
<td></td>
</tr>
<tr>
<td>28</td>
<td></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33/의문 대명사</td>
</tr>
<tr>
<td>3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독일어I -->
<!-- 프랑스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6"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프랑스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5/발음</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34/2(부사)</td>
</tr>
<tr>
<td>5</td>
<td>수능특강/169/5(동사)</td>
</tr>
<tr>
<td>6</td>
<td>수능특강/170/7(교통수단)</td>
</tr>
<tr>
<td>7</td>
<td>수능특강/8/6(인사)</td>
</tr>
<tr>
<td>8</td>
<td>수능특강/71/7(축하)</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129/예약하기</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53/5(음식주문)</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62/8(사물)</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61/4(승낙)</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수능특강/155/생활문화</td>
</tr>
<tr>
<td>23</td>
<td></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수능특강/74/사회문화</td>
</tr>
<tr>
<td>27</td>
<td></td>
</tr>
<tr>
<td>28</td>
<td>수능특강/97/4(관사)</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41/인칭대명사</td>
</tr>
<tr>
<td>30</td>
<td>수능특강/123/부정대명사</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프랑스어I -->
<!-- 스페인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7"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스페인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71/6(관용어)</td>
</tr>
<tr>
<td>5</td>
<td>수능특강/74/동사</td>
</tr>
<tr>
<td>6</td>
<td>수능특강/57/안부</td>
</tr>
<tr>
<td>7</td>
<td>수능특강/63/6(사과하기와 반응)</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71/7(날씨)</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10,12/성격</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1,113/놀람</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150/3(구매)</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42/시간</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127/8(일과)</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수능특강/120/12(국명)</td>
</tr>
<tr>
<td>23</td>
<td>수능특강/141/요리</td>
</tr>
<tr>
<td>24</td>
<td>수능특강/24/12(축제)</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td>
</tr>
<tr>
<td>27</td>
<td>수능특강/90/gustar</td>
</tr>
<tr>
<td>28</td>
<td></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143/5(como)</td>
</tr>
<tr>
<td>3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스페인어I -->
<!-- 중국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8"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중국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수능특강/36/한자 표기</td>
</tr>
<tr>
<td>4</td>
<td>수능특강/28/다의어</td>
</tr>
<tr>
<td>5</td>
<td>수능특강/53, 76/유의어</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수능특강/7/6(구매)</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99/동의</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23/7(안내문)</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47/6(헤어짐)</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64/8(건강)</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7/5(반대)</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td>
</tr>
<tr>
<td>23</td>
<td>수능특강/8/11(언어 문화)</td>
</tr>
<tr>
<td>24</td>
<td>수능특강/128/11(생활 문화)</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td>
</tr>
<tr>
<td>27</td>
<td>수능특강/133/이합동사</td>
</tr>
<tr>
<td>28</td>
<td>수능특강/109/把구문</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117/是∼的 강조 구문</td>
</tr>
<tr>
<td>30</td>
<td>수능특강/5, 77, 85, 108, 141/자동사, 정도보어, 시량보어, 호응관계, 비교문</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중국어I -->
<!-- 일본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79"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일본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수능특강/5/가타카나 어휘</td>
</tr>
<tr>
<td>2</td>
<td>수능특강/29/표기</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52/동사의 다의어</td>
</tr>
<tr>
<td>5</td>
<td>수능특강/44/형용사의 다의어</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수능특강/152/1(행운․기원 물건)</td>
</tr>
<tr>
<td>9</td>
<td>수능특강/142/일본 개관</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164/10(연중 행사)</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15/7(새해 인사)</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90/8(경험)</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39/7(겸손)</td>
</tr>
<tr>
<td>15</td>
<td></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32/9(위로)</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17/권유</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td>
</tr>
<tr>
<td>23</td>
<td>수능특강/153/7(허가)</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td>
</tr>
<tr>
<td>27</td>
<td>수능특강/112/1(조사의 쓰임)</td>
</tr>
<tr>
<td>28</td>
<td></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102/う[よう]형</td>
</tr>
<tr>
<td>3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일본어I -->
<!-- 러시아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80"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러시아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특강/4/발음</td>
</tr>
<tr>
<td>3</td>
<td>수능특강/3/발음</td>
</tr>
<tr>
<td>4</td>
<td></td>
</tr>
<tr>
<td>5</td>
<td>수능특강/72/2(부사)</td>
</tr>
<tr>
<td>6</td>
<td>수능특강/95/음악</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수능특강/112/문학</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25/9(타인 소개)</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33/7(인적 사항)</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81/8(약속)</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148/10(주의, 금지)</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147/6(권고, 제안)</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수능특강/26/출신</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td>
</tr>
<tr>
<td>21</td>
<td></td>
</tr>
<tr>
<td>22</td>
<td></td>
</tr>
<tr>
<td>23</td>
<td></td>
</tr>
<tr>
<td>24</td>
<td>수능특강/58/9(거절)</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수능특강/105/8(예약)</td>
</tr>
<tr>
<td>27</td>
<td></td>
</tr>
<tr>
<td>28</td>
<td>수능특강/38/명사의 성</td>
</tr>
<tr>
<td>29</td>
<td></td>
</tr>
<tr>
<td>30</td>
<td>수능특강/84/어법</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러시아어I -->
<!-- 아랍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81"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아랍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14/아랍 숫자</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특강/50/3(완료동사 활용)</td>
</tr>
<tr>
<td>8</td>
<td>수능특강/16/9(주어와 술어의 성·수 일치)</td>
</tr>
<tr>
<td>9</td>
<td>수능특강/39/laysa동사 용법</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수능특강/47/날씨</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67/2(감사)</td>
</tr>
<tr>
<td>13</td>
<td></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59/1(취미)</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85/8(하루 일과)</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137/9(건강)</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60/6(찬성)</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88/시간</td>
</tr>
<tr>
<td>21</td>
<td>수능특강/67/1(양해)</td>
</tr>
<tr>
<td>22</td>
<td>수능특강/77/7(의견)</td>
</tr>
<tr>
<td>23</td>
<td></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td>
</tr>
<tr>
<td>26</td>
<td>수능특강/31/아랍 서체</td>
</tr>
<tr>
<td>27</td>
<td></td>
</tr>
<tr>
<td>28</td>
<td>수능특강/86/9(관용어)</td>
</tr>
<tr>
<td>29</td>
<td></td>
</tr>
<tr>
<td>3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아랍어I -->
<!-- 베트남어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82"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베트남어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수능특강/4/자음</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64,65/다의어</td>
</tr>
<tr>
<td>5</td>
<td>수능특강/21/형용사</td>
</tr>
<tr>
<td>6</td>
<td></td>
</tr>
<tr>
<td>7</td>
<td>수능특강/68/분류사</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수능특강/138,156/bị, 동사+giúp</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95/6(날씨)</td>
</tr>
<tr>
<td>14</td>
<td></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141/증상</td>
</tr>
<tr>
<td>16</td>
<td></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수능특강/118/5(취미 묻고 답하기)</td>
</tr>
<tr>
<td>19</td>
<td>수능특강/111/7(계산)</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87/9(전화번호 묻고 답하기)</td>
</tr>
<tr>
<td>21</td>
<td>수능특강/80/10(인물 묘사)</td>
</tr>
<tr>
<td>22</td>
<td></td>
</tr>
<tr>
<td>23</td>
<td></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수능특강/161/7(우체국)</td>
</tr>
<tr>
<td>26</td>
<td>수능특강/151/생활 문화 : 오토바이</td>
</tr>
<tr>
<td>27</td>
<td></td>
</tr>
<tr>
<td>28</td>
<td>수능특강/80/12(인물)</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128/12(도시)</td>
</tr>
<tr>
<td>30</td>
<td></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베트남어I -->
<!-- 한문I -->
<div class="contents" id="contents-83" style="display: none;">
<!--<p class="standby">준비중입니다.</p>-->
<h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분석<br>
제2외국어/한문 영역 (한문I)
</h3>
<ol>
<li>
<ol>
<li>
<table>
<colgroup>
<col width="20%">
<col width="*">
</colgroup>
<thead>
<tr>
<th rowspan="2">문항<br>번호</th>
<th>EBS 교재 연계 내용</th>
</tr>
<tr>
<th>교재명/페이지/문항번호(내용요소)</th>
</tr>
</thead>
<tbody>
<tr>
<td>1</td>
<td></td>
</tr>
<tr>
<td>2</td>
<td></td>
</tr>
<tr>
<td>3</td>
<td></td>
</tr>
<tr>
<td>4</td>
<td>수능특강/53/한자의 모양·음·뜻</td>
</tr>
<tr>
<td>5</td>
<td></td>
</tr>
<tr>
<td>6</td>
<td>수능특강/15/7(성어)</td>
</tr>
<tr>
<td>7</td>
<td></td>
</tr>
<tr>
<td>8</td>
<td></td>
</tr>
<tr>
<td>9</td>
<td></td>
</tr>
<tr>
<td>10</td>
<td></td>
</tr>
<tr>
<td>11</td>
<td></td>
</tr>
<tr>
<td>12</td>
<td>수능특강/30/2(성어)</td>
</tr>
<tr>
<td>13</td>
<td>수능특강/39/6(내용과 주제)</td>
</tr>
<tr>
<td>14</td>
<td>수능특강/48/9(문장의 구조)</td>
</tr>
<tr>
<td>15</td>
<td>수능특강/56/9(내용과 주제)</td>
</tr>
<tr>
<td>16</td>
<td>수능특강/41/내용과 주제</td>
</tr>
<tr>
<td>17</td>
<td></td>
</tr>
<tr>
<td>18</td>
<td></td>
</tr>
<tr>
<td>19</td>
<td></td>
</tr>
<tr>
<td>20</td>
<td>수능특강/99/내용과 주제</td>
</tr>
<tr>
<td>21</td>
<td>수능특강/103/7(내용과 주제)</td>
</tr>
<tr>
<td>22</td>
<td>수능특강/129/내용과 주제</td>
</tr>
<tr>
<td>23</td>
<td>수능특강/134/2(내용과 주제)</td>
</tr>
<tr>
<td>24</td>
<td></td>
</tr>
<tr>
<td>25</td>
<td>수능특강152/10(이해와 감상), 수능특강/160/10(이해와 감상)</td>
</tr>
<tr>
<td>26</td>
<td></td>
</tr>
<tr>
<td>27</td>
<td>수능특강/107/내용과 주제</td>
</tr>
<tr>
<td>28</td>
<td></td>
</tr>
<tr>
<td>29</td>
<td>수능특강/69/단어의 짜임</td>
</tr>
<tr>
<td>30</td>
<td>수능특강/104/9(내용과 주제)</td>
</tr>
</tbody>
</table>
</li>
</ol>
</li>
</ol>
</div>
<!-- //한문I -->
</div>
<!-- //sub_panel_wrap -->
</div>
</div>
<!-- //제2외국어 / 한문 -->
</div>
<!-- //상위뎁스1 -->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탭메뉴*/
$('.wrap-tabs-01').each(function(i) {
var oTab = $(this);
var tabIndex = $(this).find('.show').attr('id').match(/\d+$/);
$(this).find('.tab_panel_wrap').find('#content-' + tabIndex[0]).show();
$(this).find('.full_tab li a').click(function() {
/*선택색인*/
var tabIndex = $(this).attr('id').match(/\d+$/);
/*타이틀*/
oTab.find('.full_tab li a').removeClass('show');
$(this).addClass('show');
/*패널*/
oTab.find('.tab_panel_wrap .cont').hide();
oTab.find('.tab_panel_wrap').find('#content-' + tabIndex[0]).show();
return false;
});
});
$('.wrap-tabs').each(function(i) {
var soTab = $(this);
var stabIndex = $(this).find('.show').attr('id').match(/\d+$/);
$(this).find('.sub_panel_wrap').find('#contents-' + stabIndex[0]).show();
$(this).find('.tabss li a').click(function() {
/*선택색인*/
var stabIndex = $(this).attr('id').match(/\d+$/);
/*타이틀*/
soTab.find('.tabss li a').removeClass('show');
$(this).addClass('show');
/*패널*/
soTab.find('.sub_panel_wrap .contents').hide();
soTab.find('.sub_panel_wrap').find('#contents-' + stabIndex[0]).show();
return false;
});
});
</script>
<!-- //연계내역 -->
이 글에 대한 회원들의 관심도
- 학년
-
N수생(59%)
고3(38%)
고2(3%)
고1(1%)
- 고교
-
일반(79%)
기타(14%)
특목(4%)
특성(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