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center;">
<span style="color: rgb(249, 140, 129); font-family: "KoPub Batang", sans-serif; font-size: 34px; letter-spacing: -1px;">
<b>[고3]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에 따른 입시 전략</b>
</span>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right;">
<span style="color: rgb(249, 140, 129); font-family: "KoPub Batang",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br></span>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text-align: center;">
<span style="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0.5px;">부산 부경고등학교 교사 조국희</span>
</div>
<div class="text_content2">
<span style="color: rgb(249, 140, 129); font-family: "KoPub Batang", sans-serif; font-size: 18px; letter-spacing: -1px; text-align: center;">
<br></span>
</div>
<span style="font-family: "Nanum Gothic", sans-serif; font-size: 0px; letter-spacing: -0.5px;"> </span>
<div class="sub_5titlecont" style="margin: 0px; padding: 35px 0px; 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variant-alternates: inherit; font-variant-positio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16px; font-size: 20px; line-height: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letter-spacing: -1px; display: inline-block; vertical-align: top; text-align:center;">
<div class="table_content" style="margin: 0px auto 4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weigh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16px; font-size: 17px; line-height: 30.6px;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max-width: 1000px; letter-spacing: -1.5px; text-align: justify;">
<div class="text_content2"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에게 적용되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은 2024년 5월 2일에 발표되었다. 수능 수학, 탐구 영역에서의 지정 과목
폐지 기조 지속, 전공자율선택제의 확대, 학교폭력 조치사항의 대입전형 의무 반영 등이 주된 변경 내용이다.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에
따른 입시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 unset;">1.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분석</strong>
<br>2026학년도 전체 모집인원은 345,179명으로 2025학년도 340,934명보다 4,245명 증가하였다. 수시모집에서
275,848명(79.9%)을 선발하고, 정시모집에서는 69,331명(20.1%)을 선발한다. 하지만, 아래 표의 권역별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및
비율을 비교해 보면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ext-align: center;">
<div class="margin_T_10 text_center" style="margin: 10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img src="https://magazine.adiga.kr/adiga/202502/images/sub_1_2_1.png" alt=""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br></div>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수도권
대학은 수능위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위주전형, 실기/실적위주전형 순인데 반해,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위주전형, 실기/실적위주전형, 논술위주전형 순이다. 따라서 수도권 대학을 목표로 할 경우 수능위주전형은 졸업생이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어 재학생에게는 학생부종합전형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비수도권 대학을 목표로 할 경우 학생부교과전형에 우선 순위를 두고
준비를 하는 것이 적절한 전략이 될 것이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23.4) 및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에 따라 2026학년도부터 학교폭력 조치사항이 대입전형에 의무 반영되는데
학교폭력 조치사항 반영방법은 다음과 같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text-align: center;">
<div class="margin_T_10 text_center" style="margin: 10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display: inline-block; width: 715px; text-align: right;">(단위: 개교, 2024. 4. 30. 18시 기준)</span>
<br>
<img src="https://magazine.adiga.kr/adiga/202502/images/sub_1_2_2.png" alt=""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br>
<spa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display: inline-block; width: 715px; text-align: right;">※ 평가방법 및 위주구분에 따라 대학 중복 집계</span>
</div>
</div>
<div class="text_content2"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자세한
내용은 희망 대학의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올해 5월 31일, 9월 1일까지 각각 발표 예정인
수시모집요강, 정시모집요강을 통해서 최종 확정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전공자율선택제와 의대 정원은 모집요강을 통해서 최종 확정이 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의해야 한다.</div>
<br>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 unset;">2.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에 따른 입시 전략</strong>
<br>2026학년도 모집인원이 4,245명 증가했지만, 고3 학생 수가 47,700명(11.8%p) 정도 증가하는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2026학년도 대입 지원 시에는 이전 학년도 입시결과를 좀 더 보수적으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가. 대입 상담</strong>
<br>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운영하는 ‘어디가’에서는 대학정보, 학과정보, 전형정보 등을 찾아볼 수 있고, 성적분석도 가능하다. ‘2026학년도
대입정보 119’ 자료집에서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기준으로 제작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매년 6월 전후로 각 대학에서
공개하는 ‘전형 평가기준 및 전년도 결과공개’를 통해 각 대학별로 정리된 전형별 평가기준과 전년도 입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립대는 매년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 학생부종합전형의 학교 유형별 입시결과를 공개하므로 이를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온라인대입상담(1일 3회),
전화상담(1600-1615)를 통해 궁금한 부분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각 시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진로진학센터를 통해서도 대면상담,
화상상담, 온라인상담 등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학생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학교 선생님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나. 학생부교과전형 입시 전략</strong>
<br>수도권 대부분의 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을 지역균형전형으로 운영하고, 일부 대학은 2가지 전형을 운영하기도 한다.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반영 방법, 추천 인원 제한, 수능최저학력기준, 서류평가, 면접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대학 및 전형을 선택해야 한다. 비수도권
대학은 일반전형과 지역인재전형을 함께 운영하기도 한다. 3학년 1학기에는 등급이 산출되는 과목이 상대적으로 적어 상위권 대학과 거점 국립대의
학생부교과전형에서는 극적인 성적 변화를 만들기 어렵다. 하지만, 일부 과목을 선택해서 반영하는 지방 사립대의 경우 3학년 1학기 성적으로 이전
학년도 성적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br>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반영 방법에서 특히 주의할 대학은 가천대(공통 과목, 일반 선택 과목 1~4등급 동일 변환등급 적용), 연세대(등급, Z점수 각 50%
반영), 한국외대(등급 환산점수 또는 원점수 환산점수 중 상윗값 적용) 등이 있다.<br>서류평가를
반영하는 서울 주요 대학 및 거점국립대는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한양대, 경북대, 부산대가 있다. 경북대,
부산대는 교과 이수 현황 등을 주로 반영하므로 실질적인 서류평가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다. 학생부종합전형 입시 전략</strong>
<br>대학별로 학생부종합전형 안내서 또는 가이드북을 통해서 평가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자료를 통해 희망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 되어야 한다. 3학년 1학기 이수 과목의 등급과 성취도는 물론 원점수도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임을 유의해야 한다. 대학별 안내서 또는 가이드북이나 서울대 ‘아로리’의 나도 입학사정관의 이전 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예시를
참고해서 3학년 1학기 학교생활기록부 서술형 기록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br>상위권
대학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에 있어 학생부교과전형은 대체로 적용하지만, 학생부종합전형은 대체로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에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 가능성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고려대 학업우수전형(의과대학
제외)(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과목) 합 8등급), 이화여대 미래인재전형-서류형 스크랜튼대학(스크랜튼학부)(국어, 수학, 영어,
사/과탐(1과목) 합 5등급) 등은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이 가능하다면 보다 더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결코 안정 지원이 될
수 없다는 점도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라. 논술위주전형 입시 전략</strong>
<br>강남대, 국민대가 논술위주전형을 신설하여 44개 대학이 논술위주전형을 운영한다. 각 대학의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최저학력기준, 논술유형 등을 고려한 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이 반영되는 대학이라도 논술의 영향력이 절대적임을
유의해야 한다. 가천대, 삼육대, 상명대, 서경대, 수원대, 신한대, 을지대, 한국공학대, 한국기술교대, 홍익대(세종) 등은 약술형 논술을
실시하는데 대학별 논술 가이드북이나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보고서를 통해 기출문제를 분석한 후 지원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마. 수능위주전형 입시 전략</strong>
<br>수능위주전형은 수능 100%로 선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서류평가를 반영하는 서울대, 성균관대(사범대학), 한양대 등이 있고,
교과성적을 반영하는 고려대(교과우수전형)도 있다. 교육대, 사범대, 의대 등 일부 모집단위에서는 면접을 실시하기도 함을 유의해야 한다. 각
대학별로 활용 지표(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반영 영역 수, 영역별 반영비율, 영역별 가산점/감점 등을 통해 수능 성적이 다양하게 반영되므로
대학별 환산점수를 확인해야 한다. 2025학년도부터 최상위권 대학 중 다군 선발 대학이 대폭 증가해서 다군에서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기는 했지만
다군은 충원 합격이 많기 때문에 안정 지원이 불가능함을 유의해야 한다. 성균관대는 활용 지표로 가군, 다군은 표준점수를 그대로 활용하지만,
나군은 백분위로 변경했으므로 지원자 풀에 변화가 예상된다.</div>
<div class="text_content2 " style="margin: 0px 0px 2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 inherit;">
<strong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inherit; line-height: inherit; font-family: inherit; font-optical-sizing: inherit; font-size-adjust: inherit; font-kerning: inherit; font-feature-settings: inherit; font-variation-settings: inherit; text-decoration-line: underline;">바. 의약계열 입시 전략</strong>
<br>수시모집에서는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이 다수이므로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이 최우선이다.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1등급 중반대를
넘어가면 특별전형이 아닐 경우 합격 가능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2등급대일 경우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이 탁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합격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해당 등급대가 되지 않는다면 3학년 1학기에 다른 모집단위에 대한 진로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필요도 있다. 정시모집에서는 국어, 수학, 탐구 영역 평균 백분위가 최소한 96 이상은 되어야 최하위 대학이라도 지원할 가능성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수능에서는 전국연합학력평가와 달리 졸업생이 1/3 이상 응시하기 때문에 평소 국어, 수학, 탐구 영역 평균 백분위가 안정적으로
98 이상일 경우 정시모집 지원을 고려할 수 있다.</div>
</div>
</div>
</div>
<a href="https://magazine.adiga.kr/adiga/202502/sub_1_2.php" target="_blank">
<font size="3" color="blue">
<ins>기사 내용 전체 보기</ins>
</font>
</a>
<div>
<font color="blue">
<font size="3">
<br></font>
</font>
</div>
<div>
<font size="3">[출처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font>
</div>
<div>
<font size="3">
<br></font>
</div>
<div>
<font size="3">
<br></font>
</div>
<div>
<br></div>
댓글 0개